
귀의불_()_ 귀의법_()_ 귀의승_()_
개경게
무상심심미묘법 백천만겁난조우
아금문견득수지 원래여래진실의
개법장진언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옴 아라남 아라다
원각경(圓覺經)
제10 보각보살장
그때에 보각보살이 대중 가운데 있다가 자리에서 일어나
부처님 발에 정례를 하고 오른쪽으로 세 번 돌고는 꿇어앉아
양 손가락으로 깍지를 끼시고 부처님께 여쭈었습니다.
“대비하신 세존이시여,
참선하는 선병禪炳을 흔쾌히 말씀하시어 저 모든 보살들로 하여금
선병을 쓸어버리는 미증유의 편안함을 얻게 하셨습니다.
세존이시여,
부처님께서 돌아가시고 세월이 지나면
성현은 숨어버리고 삿된 사도의 법이 더욱 치성할 것입니다.
이런 때에 말세의 모든 중생들이
마땅히 어떠한 사람을 구해야 하며,
무슨 법에 의지해야 하며, 어떤 수행을 해야 하며,
무슨 병을 제거하고, 어떻게 발심 해야만
저 눈먼 자들이 사견에 떨어지지 않겠습니까?”
이 말을 마치고 오체를 땅에 던지면서
이렇게 세번 청하기를 마치고
간절한 마음으로 부처님의 말씀을 기다렸습니다.
그때에 세존께서 보각보살에게 말씀 하셨습니다.
“착하고 착하도다 선남자야,
너희들이 이제 여래에게 이와 같은 수행의 방법을 물어서
말세의 일체중생에게 두려움이 없는 도안을 충분히 베풀어서
저 중생으로 하여금 성불하는 성도聖道를 이루게 하는구나.
마땅히 너희들을 위하여 설하리니, 이제 자세히 들어라.”
그때에 보각보살이 가르침을 받들고 환희한 마음으로
대중들과 함께 조용히 세존의 설법을 기다렸습니다.
“ 선남자야,
말세 중생이 장차 거룩한 마음을 내어
잘 아는 선지식을 구해서 수행을 하고자 하면,
마땅히 일체를 바르게 보는 지혜로운 사람을 구해야 한다.
정지견을 가진 사람은 일체 현상에 마음이 머물지 않고,
식심이 없어진 성문이나 마음의 근본 뿌리가 없어진
연각의 경계에 집착하지 않는다.
비록 티끌 세상의 번거로운 모습을 나투어 보이나
마음은 항상 청정하다.
혹 많은 허물을 보이나 부처님의 계행을 잘 지키는 범행梵行을 찬탄한다.
그러므로 중생들로 하여금 계율을 어기지 못하게 한다.
이와 같은 자를 구하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는다.
말세 중생이 이와 같은 사람을 보거든
응당 공양하되 신명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저 선지식이 세상을 살아가면서 항상 청정함을 보이거나 ,
더 나아가 여러가지 허물과 환난을 보이더라도
선남자들은 그에 대한 마음에 교만이 없어야 하는데,
하물며 음식과 재물과 처자 권속에 대해서는 더 말할 것도 없다.
만일 세상에 선남자가 저 벗과 같은 선지식에게
나쁜 악념을 일으키지 아니하면, 곧 구경의 정각正覺을 성취함으로
빛나는 마음을 발해서 시방세계를 두루 비추게 된다.”
선남자야,
저 선지식이 증득한 묘법은 당연히 네 가지 병을 여의었다.
어떤 것이 네 가지 병인가?
첫째는 무엇을 하겠다는 작병作病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이 말하기를
‘내가 본심本心으로 여러가지 행위를 지어서 원각圓覺을 구한다고 하면
저 원각성圓覺性은 지어서 얻는 작득作得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말한다.
둘째는 맡겨버리는 임병任炳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이 말하기를
‘내가 지금 생사를 끊지도 않고 열반을 구하지 않아도
저 열반과 생사에는 마음을 내고 말고 할 것도 없이
저 일체 모든 법성을 따름에만 맡기면 저절로 원각이 이루어진다고 하면,
저 원각성은 맡겨서 있는 임유任有가 아니므로 병’ 이라고 말한다.
셋째는 그만하겠다는 지병止炳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이 말하기를
‘내가 지금 내 마음에 영원히 모든 생각을 쉬게 해서
일체 성품이 고요하게 되는 평등함을 얻어 원각圓覺을 구한다고 하면,
저 원각성은 사념망상이 그치어서 원각과 합하는
지합止合의 성질이 아니므로 병’이라 말한다.
넷째는 모든 것을 멸해버리겠다고 말하는 멸병滅炳이다.
만일 어떤 사람이 이와 같이 말하기를
‘내가 이제 일체 번뇌를 영원히 끊어서
신심身心이 필경에 텅 비어서 있는 바가 아무것도 없다.
하물며 육근의 육식인 근진根塵은 다 허망한 경계이니
일체가 영원히 고요히 멸함으로써 원각을 구하고자 한다고 하면,
저 원각성圓覺性은 고요한 모습인 적상寂相이 아니므로 병’이라고 말한다.
이런 네 가지 병을 여윈 자라야 곧 청정한 원각圓覺을 안다.
이렇게 구경의 원각을 보는 관觀을 짓는 자는 정관正觀이라고 하고,
만일 다르게 관觀을 짓는 자는 원각성을 삿되게 보는 사관자邪觀者라 말한다.
선남자야,
말세 중생이 수행하고자 하는 자는
응당 좋은 친구 같은 선지식을 목숨이 다하도록 공양하면서 섬겨야 한다.
저 선지식이 친근하게 가까이하고자 하거든
응당 교만심을 끊어야 하고,
만일 혹 멀리하더라고 당연히 성내는 원한을 품지 말아야 한다.
혹 법도에 맞고 맞지 않는 역순의 경계를 보이더라도
그는 마치 허공과 같아서 몸과 마음은 필에경에는 다 평등하여서
모든 중생과 더불어 일심동체가 되어 있다.
그러므로 그 누구와도 한 몸과 다름이 없는 분임을 꼭 알아야 한다.
이와 같이 수행해야만 바야흐로 원각에 들어간다.
선남자야,
말세중생이 성도하지 못하는 큰 이유는
비롯함이 없는 때로부터 나다 남이다 하는 증애와
일체를 가지려하는 소유욕 때문에 해탈을 얻지 못한다.
만일 어떤 사람이 원수를 보되 부모와 같이 하여
밉고 고운 두 마음이 없으면 곧 모든 병을 제거한 것이다.
저 모든 법 가운데에서 맞다 틀리다 하는 시시비비 또한 이와 같다.
선남자야,
말세중생이 원각을 구하고자 하면
응당 발심부터 하고 이와 같이 말해야 한다.
‘허공에 있는 일체 중생을 모두 다 내가 필경에
두루 다 깨닫는 원각에 들어가게 하지만
저 원각을 구하는 자들 중에서
나는 원각을 깨달았다고 말하는 자는 있을 수 없다.
그것은 아상과 인상과 일체 모든 모습인 중생상을 모두 제거하였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알고 발심을 하게 되면 절대로 사견에 떨어지지 않느니라.”
그때에 세존께서 거듭 이 뜻을 밝히시고자
게송으로 읊으시었습니다.
普覺汝當知 보각여당지 보각아, 너는 잘 알라
末世諸衆生 말세제중생 말세의 모든 중생이
欲求善知識 욕구선지식 선지식을 구하려 하면
應當求正覺 응당구정각 응당 정각자를 구하고
心遠二乘者 심원이승자 마음으로 이승자를 멀리하라
琺中除四病 법중제사병 법 가운데 네 가지 병은
謂作止任滅 위작지임멸 작·지·임·멸이라 한다
親近無驕慢 친근무교만 선지식은 가까워도 교만치 말고
遠離無瞋恨 원리무진한 떠나도 원망치 말라
見種種境界 견종종경계 갖가지 경계 보여도
心當生希有 심당생희유 당연히 희유한 마음 내어
還如佛出世 환여불출세 부처님 오신 듯이 모셔라
不犯非律義 불범비율의 계율과 위의를 범치 않아
戒根永淸淨 계근영청정 계근은 영영 청정하리라
度一切衆生 도일체중생 중생을 모두 제도하고
究竟入圓覺 구경입원각 마침내 원각에 든다
無彼我人相 무피아인상 아상 인상을 씀이 없고
常依止智慧 상의지지혜 늘 지혜에 의지해 머물면
便得超邪見 변득초사견 문든 사견을 초월해서
證覺般涅槃 증각반열반 원각을 증득해 반열반하리라
부처님 감사합니다
일체중생 모두가 행복하여지이다 _()()()_
첫댓글 고맙습니다...
감사합니다...
나무금강반야바라밀()()()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금강반야바라밀경 고맙습니다 ()
나무마하반야바라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