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미라지나이트 입니다.
무더운 일요일이네요..간만에 실차정보 하나 정리해 올립니다.
오늘은 현대전차의 아버지로 불리는 독일군의 3호전차에 대해 정리해봤습니다. 3호전차는 2차대전 초반 독일군의 주력전차로 사용한 전차로 4호전차만큼이나 화려한 계보를 보여주는 전차 입니다. 정리할라면 박터지겠네요.. 차근차근해보죠..
3호전차 Panzerkampfwagen III Sd Kfz. 141 ( PzKpfw III)
제2차 세계대전의 나치 독일군 기갑차량 | |||||||||||||||||||||||||||||||||||||||||||||||||||||||||||||||||||||||||||||||||||||||||||||||||||
장갑차 | 반궤도 장갑차 | Sdkfz251 하노마크 | |||||||||||||||||||||||||||||||||||||||||||||||||||||||||||||||||||||||||||||||||||||||||||||||||
장륜 장갑차 | Sdkfz222, Sdkfz232, Sdkfz234 푸마 | ||||||||||||||||||||||||||||||||||||||||||||||||||||||||||||||||||||||||||||||||||||||||||||||||||
전차 | 경전차 | 1호 전차, 2호 전차 | |||||||||||||||||||||||||||||||||||||||||||||||||||||||||||||||||||||||||||||||||||||||||||||||||
중(中)전차 | 3호 전차, 4호 전차, 5호 전차 판터 | ||||||||||||||||||||||||||||||||||||||||||||||||||||||||||||||||||||||||||||||||||||||||||||||||||
중(重)전차 | 6호 전차 티거, 6호 전차 B형 티거 2 | ||||||||||||||||||||||||||||||||||||||||||||||||||||||||||||||||||||||||||||||||||||||||||||||||||
돌격포 | 3호 돌격포, 4호 돌격포, 4호 돌격전차, 슈투름티거 | ||||||||||||||||||||||||||||||||||||||||||||||||||||||||||||||||||||||||||||||||||||||||||||||||||
구축전차 | 마르더, 헷처, 4호 구축전차, 나스호른, 야크트판터, 엘레판트, 야크트티거 | ||||||||||||||||||||||||||||||||||||||||||||||||||||||||||||||||||||||||||||||||||||||||||||||||||
자주포 | 1호 자주포, 베스페, 2호 자주포, 그릴레, 훔멜 | ||||||||||||||||||||||||||||||||||||||||||||||||||||||||||||||||||||||||||||||||||||||||||||||||||
노획전차 | 35(t), 38(t), 소뮈아 S-35, 샤르 B1 bis, T-34 | ||||||||||||||||||||||||||||||||||||||||||||||||||||||||||||||||||||||||||||||||||||||||||||||||||
프로토타입 | 경 트랙터, 판터 2, 8호 전차 마우스, E-100 | ||||||||||||||||||||||||||||||||||||||||||||||||||||||||||||||||||||||||||||||||||||||||||||||||||
페이퍼플랜 | 3/4호 전차, VK 1602 레오파르트, 7호 전차 뢰베, 9호 전차, 10호 전차, E 시리즈, 라테, 몬스터 | ||||||||||||||||||||||||||||||||||||||||||||||||||||||||||||||||||||||||||||||||||||||||||||||||||
그 외 | 골리아트, 보르크바르트 4호, (독일 기갑 병기/기타) |
사람이 올라탄 J형의 사진.(J형이 아니라 지휘타입인 K형이다. K형에도 더미형태의 포가 달렸는데 지휘형타입에는 결정적으로 긴 안테나가 붙어있다)
<3호 전차 M형 제원> | |
전체길이 | 6.41m |
전체너비 | 2.95m |
전체높이 | 2.51m |
주포높이 | 1.90m |
전비중량 | 22.3t |
탑승인원 | 5명 |
엔진 | 마이바흐-HL120TRM A형 수랭식 60도 V형 12기통 가솔린엔진 |
엔진출력 // 회전수 | 300Ps // 3000rpm |
배기량 | 11.87L |
연료적재량 | 470L |
연료소비량 | 183L / 100Km (도로) |
최고속력 | 40km/h(도로),19km/h(야지) |
항속거리 | 175km(도로), 97km(야지) |
중량당 마력 | 13.5Ps/t |
변속기 | 싱크론 ZF.SSG77 (전진6단 후진1단) |
조향장치 // 구동륜 위치 | 클러치 브레이크 // 전방 |
선회반경 | 5.85m |
현가장치 | 토숀 바 |
무한궤도 폭 // 매수 | 40cm // 좌,우 각 99매 |
접지길이 // 접지압력 | 2.86m // 0.94Kg/㎠ |
초호능력 | 2.59m |
초월능력 | 60cm |
등판능력 | 30도 |
잠수도하능력 | 1.30m |
주포조준장치 | TZF 56 |
포탑회전방식 | 수동식 |
무장 | 39식 60구경장 50mm 전차포×1 (78발) |
7.92mm 기관총 MG34×1 (4,950발) | |
9mm 기관단총 MP40×1 (전차병 휴대용) | |
장갑 | 차체 전면 50mm / 69도 |
차체 측면 상부 30mm / 90도 | |
차체 하부 30mm / 90도 | |
차체 후면 50mm / 77도 ~ 80도 | |
차체 상면 18mm / 0도 | |
차체 바닥 30mm / 0도 | |
포탑 방패 최대 57mm | |
포탑 전면 57+20mm / 75도 | |
포탑 측면 30mm / 65도 | |
포탑 후면 30mm / 78도 | |
포탑 상면 10mm / 0도 ~ 7도 |
[3호전차는 현대전차의 아버지로 불리우는데 그 이유는 하나의 포탑과 하나의 주포 그리고 전차장,포수,장전수 그리고 무전수와 드라이버로 구성되는 5명 승무원 형태를 최초로 확립한 전차였기 때문이다.이는 당시로는 획기적인 시도로 이후 많은 나라에서 5인 전차 승무원 형태를 이어가게 된다 다만 최근에는 자동화 자동장전장치의 도입과 통신기술의 발전으로 4명이나 3명으로도 운영되는 전차가 등장하기도 하였다]
[초기 3호전차의 디자인 전체적으로 2호전와 포탑만 다를뿐 크게 다른부분이 없다 특히 로드휠의 경우 4개라는점이 2호전차의 연장이라는 인상이 강하다]
[개량된 3호전차 프로토타입안.. 로드휠의 갯수가 6개로 늘어난점이 다르다 이후 이타입으로 쭈욱 생산되게 된다]
1936년에 생산이 시작되었으나 이는 사실상 3호 전차라고 하기도 어려운 A~D형을 포함한 생산시기. 실제로는 E형의 양산개시 시점인 1938년부터 실질적인 생산이 시작되어 1944년까지 생산, 적어도 개조가 계속되었는데, 1940년부터 1943년 봄까지는 확고한 주력전차 역할을, 1943년 가을까지도 최소한 주력의 큰 축을 차지하는 전차였다. 그리고 차체를 이용한 파생차량의 경우에는 2차대전이 종전될 때까지 사용되었다.
[ 첫 양산형 3호 전차 E형은 45구경장 37mm포를 주포로 채택하였다. 원래는 37mm로는 화력의 부족이 예상된다고 반대의견이 많았으나, 보병이 보유하는 PaK 36 대전차포와 탄약 및 부품을 호환하기 위해서 억지로 주포가 다운그레이드 되었다. 그래도 화력보강이 필요해질 미래를 생각해서 차체와 포탑은 50mm 주포에 걸맞는 기준으로 만들었으며, 37mm 전차포 자체도 좀 더 장포신화하고 개량해서 적어도 보병용 대전차포보다는 강력하게 만들었다. 그리고 이런 예측은 틀리지 않아서 곧 화력강화를 위해 42구경장과 60구경장의 50mm포를 장비하게 된다. ]
[3호전차 A~C형의 모습 이는 일종의 프로토타입으로 현가장치의 경우 나뭇잎 모양의 판스프링방식의 현가장치를 장착하였고 나중에 등장하게 되는 3호전차와는 다른 종륜타입의 작은 로드휠이 여러개 장착된 타입이였다. 1~10여대 가량이 생산되어 폴란드전과 노르웨이전투에 시험적으로 투입된다]
[본격적인 양산형 모델인 E형을 판단할수있는 부분중 하나가 주포 부분에 볼베어링으로 장착되어진 동축기관총 이다.]
[본격적인 양산형이라 할수 있는 E형의 모습 비로서 이때되면 로드휠이 대형의 6개의 로드휠로 바뀌게 되고 서스펜션이 낙엽모양에서 스프링을 이용한 토션바 방식으로 재설계되었으며 6개의 로드휠이 장착되었다 엔진 역시 300마력급의 HL120 엔진으로 교체 되었다]
[3호전차는 대전초반 북아프리카 전선에서 소련의 혹한전선 까지 거의 대전초반 모든전선에 투입되어 활약하였다. 보병지원임무의 2호전차와는 달리 본격적은 대전차임무로 설계된것이 바로 3호전차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개전초반 이미 소련전차들의 주포는 75~76밀리 포였고 전면장갑 역시 이에 맞추어져 있는터라 장착한 37밀리 포로는 씨알도 먹히지 않았다]
[소련의 극한의 동절기에도 3호전차는 기동성이 좋은편이였는데 비교적 가벼운 무게에 나름 출력이 높은 엔진과 강력한 성능을 가진 사스펜션 덕분이였다 하지만 폭이 좁은 궤도덕에 러시아에서 자주볼수 있는 진탕에 곧잘 빠지기도 했으며 특히 T-34 나 KV 전차가 문제없이 다니는 눈밭에서도 자주 기동불능이 빠지기도 했다 (하지만 이는 비단 3호전차만의 문제는 아니였다)]
[대전 중반에 이르면 3호전차는 주포의 확대와 장갑판의 추가등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주포는 37밀리포에서 50밀리포로 장갑은 20...> 50 밀리 최종적으로 70밀리에 달하게 강화된다]
[후기형인 J/L형에 이르면 50밀리 주포로 교체됨은 물론이고 이것도 모자라 포신의 길이를 늘여게 되는데 이는 3호전차의 경우 포탑이 작아 75밀리 이상의 주포를 장착하기 어려웠기 때문이였다. 더구나 이미 75밀리 주포를 장착한 4호전차가 생산되고 있었기 때문에 굳이 중복해서 만들이유도 없었고. 또한 부족한 방호력을 위해 추가장갑을 장착하기도 하였다]
[중기형 3호전차들에 이르면 비로서 우리가 아는 그 모습이 나오게 되는데 일단 여러개의 종륜타입의 로드휠 대신 큰 형태의 로드휠이 6개 달리고 리프형태의 현가장치도 스프링을 이용한 토션바 방식의 현가장치로 바뀌게 된다. 무장면에서도 부족한 37밀리 포대신에 구경을 50밀리로 늘린 타입이 등장하게 되고 방호력 역시 증가장갑을 추가 장착하는 형태로 개선되기에 이른다. 하지만 어렇게 개량되었다 하더라도 이미 개전초반 3호전차를 능가하는 소련의 전차들이 등장하여 전차로서 한계를 분명히 보여주게 된다]
[점령한 파리를 질주중인 F형의 모습 E형의 첫번째 성능개량형으로 주포가 50밀리 ( 5 cm KwK 38 L/42) 로 교체된 성능강화형이다]
[G형에 이르면 만텔부분의 추가장갑이 장착되면서 비약적으로 방호력이 증가되었다]
[ 이미 소련군은 그때까지의 독일전차를 능가하는 T-34나 KV-1를 장비하고 있었으며, 3호 전차가 이를 정면에서 상대하기는 버거웠다. 그래서 3호 전차는 M형까지 지속적으로 개량을 실시하였으나 주로 화력 측면에서 한계를 드러냈다.이는 3호 전차나 4호 전차나 기본적으로 포탑 규격은 거의 같으나, 대구경 화포를 장착하기 위한 적절한 전투공간의 확보 측면에서는 3호 전차가 크게 불리했다. 따라서 3호 전차의 화력은 50mm급으로 제한되기 십상이었다. 심지어 지휘전차용으로 공간이 넓은 4호 전차 포탑을 장착한 형식인 K형도 존재하지만, 지휘용의 고성능 통신장비 설치로 인해 주포만은 결국 50mm로 유지했다.덕분에 주포 구경을 75mm로 강화시키려 했으나, 장포신 75mm포를 장착하는 것이 차체와 포탑의 한계로 불가능했기 때문에 결국 포기했다. 애초에 3호 전차를 지원하기 위해 개발된 보다 대형의 4호 전차가 그나마 설계에 여유가 있었기 때문에 장포신 75mm 전차포를 장착하여 주력이 되었다. ]
[1943년까지 주력이었던 3호 전차는 기존 차량을 개수하여 4호 전차가 개전 초에 장비하던 화력 지원용 단포신 75mm포로 무장을 교체하고 4호 전차를 지원하는 입장이 되어 버린 것이다. 이런 차량을 N형으로 부르지만 그나마 단포신 곡사포의 존재가치가 거의 없었던 탓에 1943년 가을을 전후해서 결국 주력전차에서 사실상 퇴출되었다]
Panzerkampfwagen III production[11] | ||||||||||||
Medium tanks | ||||||||||||
Ausführung | A | B | C | D | E | F | G | H | J | L | M | N |
---|---|---|---|---|---|---|---|---|---|---|---|---|
Year | 1936 | 1937 | 1937/38 | 1938,1940 | 1939/40 | 1940 | 1940/41 | 1940/41 | 1941/42 | 1941/42 | 1942/43 | 1942/43 |
Produced | 10 | 10 | 15 | 25 + 5 | 96 | 450 | 594 | 286 | 1521 | 1470 | 517 | 614 |
Command tanks | Flame tank | |||||
Ausführung | D | E | H | J | K | Flamm |
---|---|---|---|---|---|---|
Year | 1938/39 | 1939/40 | 1940/41 | 1941/42 | 1942/43 | 1943 |
Produced | 30 | 45 | 175 | 81 | 50 | 100 |
[Panzer III Ausf. K - Panzerbefehlswagen 으로 불리는 지휘형전차타입으로 극소량만 생산 포탑에는 무전기를 장착하였으며 이로인해 발사기능이 없는 더미의 포신을 장착 보통 J형과 혼돈하기 쉬우나 지휘전차에는 긴 안테나가 장착되어있다]
한편 3호전차의 한계를 체감한 독일군은 구경을 늘리기 위한 다른방편으로 3호전차의 차체를 이용한 돌격포를 대량생산하게 되는데 이는 3호전차의 다른 계열로 이후 별도 취급하기로 한다.
출처 리그베다위키백과사전 (http://rigvedawiki.net/r1/wiki.php/3%ED%98%B8%20%EC%A0%84%EC%B0%A8)
사진과 내용은 추가하였습니다.
PT2에 계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