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아파트 관리비 적정할까? 여기서 먼저 확인해보세요
이호입력 2023. 1. 2. 16:51
국토부 ‘K-apt’ 플랫폼 새 구축… 주변단지 비교 가능
▲ 국토교통부 제공
내가 사는 아파트의 관리비와 사업비가 주변 아파트 단지에 비해 얼마나 차이가 나는 지 궁금하면 올해부터 시행되는 플렛폼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서 확인하면 된다.
국토교통부는 2일부터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K-apt)에 공동주택 공사·용역 사업비 비교 서비스와 지도에서 관리비 찾기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K-apt는 전국 약 1만8000개 단지의 관리비, 유지관리이력 등 관리정보를 공유하고, 전자입찰 운영기반을 제공하는 플랫폼이다.
한국부동산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위탁받아 운영하고 있다.
이날부터 지리정보시스템(GIS)을 기반으로 입주민, 관리주체 등이 공동주택 내 시설물 보수 및 교체공사, 유지관리용역의 사업비 등 주요 입찰정보를 사업별·유사아파트별·업체별로비교할 수 있는 기능을 새로 추가했다.
새로 바뀐 K-apt 시스템은 추가된 비교 기능을 활용해 유지보수공사 등의 입찰 및 계약을 담당하는 관리주체는 사업의 적정 입찰가격을 산출하는데 활용하고, 관리비의 직접 당사자이면서도 상대적으로 전문성과 경험이 부족한 입주민은 사업비 집행이 적정한 지 여부를 쉽게 비교할 수 있게 됐다. 입찰 부정행위도 적극적으로 감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최근 물가상승 등 경제여건 악화로 서민 경제가 어려운 상황에서 부당한 관리비 징수를 우려하는 입주민들이 이번에 새로 구축한 관리비 지도를 통해 관리비가 적정하게 부과·징수되는지를 타 단지와 비교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 강태석 주택건설공급과장은 “K-apt 시스템 고도화를 통해 사용자 중심의 맞춤형 정보 제공이 가능해짐에 따라, 관리비 징수·집행 투명성이 강화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 강원도민일보 & kado.net,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