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프랙틱' 치료의 위험성
영국의 한 20대 여성이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다 사망(死亡)한 사연이
공개됐다. 지난 1월 28일(현지시각) 영국 매체 'The Sun 誌'에 따르면,
'조안나 코발치크(29)' 가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고 뇌졸중으로
사망(死亡) 했다. 그녀는 2021년 9월 운동 중 입은 목 부상을 치료하기
위해 '카이로프랙틱' 클리닉을 찾았다.
코발치크의 목 부상은 '동맥박리'와 연관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동맥박리' 는 경동맥·뇌동맥·대동맥 혈관 내부 파열로 혈관벽이 찢어져
발생 하는 질환이다. 그녀는 몇 주 동안 4번의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다가 같은 부위에 급성 '동맥박리' 를 겪었다.
하지만 이후 '코발치크'는 오른손과 오른발이 따끔거리고 말이 어눌해
지는 '뇌졸중' 증상을 겪었고, 병원으로 이송되는 중에 상태가 악화됐다.
'코발치크' 는 기도 삽관과 인공호흡이 필요한 상황까지 갔고, 3일 후에
사망했다. 그녀가 받았던 '카이로프랙틱' 은 시술자의 손으로 여러 질환을
치료하는 대체의학이다.
'카이로프랙틱' 치료에서 목이나 척추를 심하게 비트는 기술이 뇌(腦)에
혈액을 공급하는 경동맥과 척추동맥을 손상시킬 수 있다.
만약 목이나 척추 부위에 골절이 있거나 안정성이 떨어진 상태에서
치료를 받을 경우 신경마비, 심한 경우 전신마비까지 올 수 있다.
실제로 2022년 미국 28세 여성 '케이틀린 젠슨'은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받던 중 목에서 ‘우두둑’하는 소리를 들은 후 고통을 호소하다
의식을 잃었다. 검사 결과 목 부위 동맥 4개가 끊어진 것으로 확인됐다.
곧바로 응급 수술을 받았지만, 뇌손상이 이미 진행돼 전신이 마비됐다.
코발치크가 '카이로프랙틱' 치료 후 앓은 '동맥박리' 는 '뇌졸중' 과
관련이 깊은데, 이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다.
◇ 동맥박리, 뇌졸중 유발할 수도
'뇌졸중' 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짐으로써
뇌가 손상되는 질환이다.
'동맥박리' 는 '뇌졸중' 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 중 약 25%를 차지한다.
혈관 벽이 찢어지는 경우 혈관이 막힐 수도 있고, 반대로 혈관이 부풀면서
터질 수도 있다.
'뇌졸중' 은 뇌혈관이 막히는 뇌경색과 뇌혈관이 터지는 뇌출혈인데,
수많은 혈관 중에서 뇌에 혈류를 공급하는 혈관, 상행대동맥, 경동맥,
대뇌동맥이 찢어지는 경우에 뇌경색이나 뇌출혈을 유발할 수 있다.
경동맥이 찢어지는 경우 눈으로 가는 혈류가 부족해지면서 한쪽 눈이
안 보이는 증상, 한쪽 팔다리의 힘이 빠짐, 말이 잘 안 나오는 증상이
나타난다.
목 뒤로 지나가는 척추동맥이 찢어지는 경우에는 주로 어지러움,
걸을 때 비틀거리는 증상, 구토 증세가 나타난다.
또 물체가 두 개로 겹쳐 보이는 증상이나 심하면 의식 저하가 나타날 수
있다. 이 외에도 갑작스러운 목이나 얼굴 통증, 극심한 두통이 생기면
신경과를 방문해 뇌영상검사를 반드시 받아야 한다.
◇ CT나 혈관조영술로 진단 가능
'동맥박리' 의심 시 받게 되는 검사는 CT나 MR 혈관조영술로서 경부·
대뇌동맥을 모두 포함한 혈관조영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CT나 MR 혈관조영술에서 '동맥박리' 가 의심되면 카테터를 직접 삽입
해서 검사하는 뇌혈관조영술과 혈관 벽을 정밀하게 관찰할 수 있는
고해상도 혈관벽MRI를 이용해서 '동맥박리' 의 특징적인 영상소견이
보이면 '동맥박리' 를 확진할 수 있다.
'동맥박리' 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거나 여러 혈관이 동시에 찢어지는
경우나 '동맥박리' 의 위험성을 높이는 결체조직질환이 의심되는 경우
에는 뇌혈관 이외에 다른 혈관에 대한 검사가 시행된다.
'동맥박리' 가 진단되면 우선 피를 묽게 만드는 항혈전제를 이용한
약물 치료를 시작한다.
머리 안쪽 대뇌혈관이 찢어진 경우는 뇌출혈을 일으킬 수 있어 출혈
위험성을 고려해 항혈전제를 선택한다. 경부·대뇌혈관이 좁아지거나
막힌 경우는 혈관을 넓혀주고 스텐트(그물망)를 넣는 치료를 한다.
'동맥박리' 는 재발률이 높기 때문에 진단받고 약 4주~6개월까지는
마사지나 과격한 운동을 조심해야 한다.
'동맥박리' 가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경우 마사지나 과격한 운동을 평생
피하는 것이 좋다.
목을 과하게 뒤틀거나 '카이로프랙틱' 치료를 과하게 하는 것 역시
피해야 한다.
<출처 : 헬스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