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PE FRANCIS ANGELUS, The Second Sunday of Advent, St. Peter's Square, Sunday, 10 December 2023
Dear brothers and sisters, buongiorno! On this second Sunday of Advent, the Gospel speaks to us about John the Baptist, the precursor of Jesus (cf. Mk 1:1-8), and it describes him as “the voice of one crying in the desert” (v. 3). The desert, an empty place, where you do not communicate; and the voice, a means to speak – these seem like two contradictory images. But they are joined in the Baptist.
프란치스코 교황 삼종 기도, 대림 제 2주일, 성 베드로 광장, 2023년 12월 10일
친애하는 형제자매 여러분, 안녕하십니까! 오늘 대림 제2주일의 복음은 우리에게 예수님보다 앞서온 세례자 요한을 소개하고 (마르코 1,1-8 참조) 그를 “광야에서 외치는 이의 소리” (3절)라고 묘사합니다. 텅 빈 곳, 소통할 수 없는 곳인 광야, 그리고 말하는 수단인 목소리 - 이 둘은 서로 모순되는 이미지처럼 보이지만 이 둘이 세례자 안에 결합됩니다.
The desert. John preaches there, near the Jordan River, near the place where his people had entered the promised land many centuries earlier (cf. Joshua 3:1-17). In so doing, it is like he was saying: to listen to God, we must return to the place where, for forty years, he accompanied, protected and educated his people, in the desert. This is the place of silence and essentials, where someone cannot afford to dwell on useless things, but needs to concentrate on what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live.
광야, 요한은 그곳에서 가르칩니다. 그곳은 요르단 강 근처이고, 수 세기 전에 그의 백성이 약속의 땅에 들어간 곳 (여호수아 3,1-17 참조) 가까이에 있습니다. 그렇게 하는 그는 마치 다음과 같이 말하였던 것 같습니다. 하느님의 말씀을 듣기 위해서 우리는 하느님께서 40년 동안 그분의 백성과 동행하셨고, 그들을 보호하셨고, 가르치셨던 곳 광야로 돌아가야 한다. 이곳은 침묵과 근본적인 것의 장소로서 필수적이 아닌 것에 연연할 여유가 없고, 살기 위해서 필수적인 것에만 집중해야 합니다.
And this is an always relevant reminder: to proceed on the journey of life, we need to be stripped of the “more”, because to live well does not mean being filled with useless things, but being freed from the superfluous, to dig deeply within ourselves so as to hold on to what is truly important before God. Only if, through silence and prayer, we make space for Jesus, who is the Word of the Father, will we know how to be freed from the pollution of vain words and chatter. Silence and sobriety – from words, from the use of things, from the media and social media – these are not just fioretti (translator’s note: a common practice in Italian devotional life in which someone offers a small sacrifice, a resolution, or the proposal to do a good deed to Our Lord or Our Lady) or virtues, they are essential elements in the Christian life.
그리고 다음은 항상 적절한 깨우침입니다. 삶의 여정에서 우리는 “more, 즉 잉여”를 버려야 합니다. 왜냐하면 잘 산다는 것은 쓸모없는 것으로 가득 찬 것이 아니고 잉여로부터 벗어나 하느님 앞에 참으로 중요한 것을 붙잡기 위해 우리 안에 깊이 파고드는 것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침묵과 기도를 통해 아버지의 말씀이신 예수님을 위한 자리를 마련할 때에만 우리는 헛된 말과 잡담의 오염으로부터 자유롭게 되는 법을 알게 될 것입니다. 침묵과 깨어 있음 - 말, 사물의 사용, 미디어와 소셜 미디어의 홍수 속에서 유지하는 침묵과 깨어있음은 단지 피오레티 (역자 주: fioretti: 이탈리아 신자들이 하는 일반적인 실천 즉 작은 희생, 주님께 또는 성모님께 선행을 할 결심 또는 제안 등) 또는 덕이 아니라 크리스천 삶의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And we come to the second image, the voice. This is the means by which we manifest what we think and what we bear in our hearts. We understand, therefore, that it is quite connected with silence, because it expresses what matures inside, from listening to what the Spirit suggests. Brothers and sisters, if someone does not know how to be quiet, it is unlikely they will have something good to say; while, the more attentive the silence, the stronger the word. In John the Baptist that voice is linked to the genuineness of his experience and the purity of his heart.
이제 두 번째 이미지인 목소리를 살펴보겠습니다. 목소리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과 마음속에 품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수단입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목소리와 침묵이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음을 이해합니다. 왜냐하면 목소리는 성령의 말씀을 경청하고 내적으로 자라는 것을 표현하기 때문입니다. 형제자매 여러분, 침묵하지 못하는 사람은 좋은 얘기를 하기 어렵습니다. 반면에 침묵에 집중할수록 말은 더 힘이 있습니다. 세례자 요한의 목소리는 그의 체험의 진정성과 그의 마음의 순수성과 연결되어 있습니다.
We can ask ourselves: What place does silence have in my days? Is it an empty, perhaps oppressive, silence? Or is it a space for listening, for prayer, for guarding my heart? Is my life sober or filled with superfluous things? Even if it means going against the tide, let us value silence, sobriety and listening. May Mary, Virgin of silence, help us to love the desert, to become credible voices who testify to her Son who is coming.
우리는 스스로에게 질문할 수 있습니다. 나의 일상에 침묵은 어떤 자리를 차지하고 있나? 그것은 빈, 아마도 강압적인 침묵인가? 아니면 경청을 위한, 기도하기 위한, 마음을 지키기 위한 공간인가? 나의 삶은 깨어있는가 아니면 잉여로 가득 차 있는가? 비록 세상의 조류에 역행하는 것을 의미할지라도 침묵, 깨어있음 (냉정함), 경청을 소중히 여깁시다. 침묵의 동정 마리아여, 저희를 도우셔서 저희가 광야를 사랑하고, 우리에게 오시는 그분의 아드님을 증거하는 믿을만한 목소리가 되게 하소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