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낄 모(摹)자는 의부(義符)로 손 수(手,扌,才)자 변에 성부(聲符)로 없을 막(莫)자와 손 수(手,扌)자의 배열이 달라서 다른 글자가 되었습니다. 좌우(左右)로 배열하면 찾을 모(摸)자가 되고, 상하(上下)로 배열하면 베낄 모(摹)자가 됩니다. 모방(摹仿) 모방(摹倣) 모사지(摹寫紙) 모출(摹出) 모각(摹刻) 모인(摹印) 모품(摹品) 모천주일(摹天晝日)
사옥 모(瑁)자는 의부(義符)로 구슬 옥(玉)자에 성부(聲符)로 무릅쓸 모(冒)자를 했습니다. 무릅쓸 모(冒)자는 쓰개 모(冃)자 아래에 눈 목(目)자를 했습니다. 눈을 가린 모양을 해서 무릅쓴다는 뜻을 나타냈습니다. 대모(玳瑁) 화대모(華玳瑁) 대모갑(玳瑁甲) 흑대모(黑玳瑁) 해왕모(海王瑁) 모홀(瑁笏)
눈동자 모(眸)자는 의부(義符)로 눈 목(目)자에 성부(聲符)로 소우는 소리 모(牟)자를 했습니다. 소우는 소리 모(牟)자는 소 우(牛)자 머리에 사사 사(厶)자를 해서 소의 울음소리를 표시했습니다. 여기서 사사 사(厶)자는 소리가 나오는 모양 또는 나팔 같은 것을 표시한 글자입니다. 모자(眸子) 명모(明眸) 쌍모(雙眸) 명모호치(明眸皓齒) 일모(一眸) 취모(醉眸) 정모(睛眸)
풀 우거질 모(芼)자는 의부(義符)로 풀 초(艸,艹)자에 성부(聲符)로 털 모(毛)자를 했습니다. 털 모(毛)자는 털의 모양을 그린 상형(象形) 글자입니다. 모혜(芼兮) 모묵(芼墨) 모골(芼骨) 모지(芼之) 모활(芼滑) 상모(上芼) 좌우모지(左右芼之)
이 글은 국화선생님의 "한자의 비밀" 카페에서 퍼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