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 하루도 힘내시길 바라겠습니다.
태양광 전문기업 주식회사 파랑티에스에너지 입니다.
오늘은 태양광 발전사업 유지관리 5가지 방법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오늘 하루도 힘내시길 바라겠습니다.
1. 전기안전관리자를 선임하라
태양광 발전 사업에 적용되는 전기사업법에 따르면 일정한 규모 이상의 태양광 발전 설비에 대해서는 정기적으로 검사를 실시하도록 강제해 기준에 적합하도록 하는 규정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20kW를 초과하는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소의 경우 전기안전관리자를 무조건 선임해야 하고 250kW 미만인 경우에는 전기 분야의 기술을 가진 자격자인 개인 대행자 혹은 1,000kW 미만인 경우 대행 사업자 혹은 한국전기안전공사에 전기안전관리 업무를 위탁할 수 있습니다.
2. 항상 안전 사고를 주의하라
전기설비인 태양광 발전 설비는 접속반이나 인버터 모듈로 구성이 되어있는데, 전기가 흐르기 때문에 모든 기자재들은 일반인들이 함부로 조작하다 감전에 걸릴 위험이 존재합니다. 무엇보다 햇볕이 강한 낮 시간에는 더 위험하기 때문에 태양광 발전 사업자의 경우 태양광 접속반 및 어레이에 직접적인 접촉은 삼가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 설비를 점검할 때에는 눈으로 관찰하고 피부 접촉은 피하기를 추천드리겠습니다. 이렇게 하면 인버터 가동 소음이나 타는 냄새 등은 어느 정도 문제 여부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접속반, 어레이, 인버터 주변에는 항상 화재의 위험이 없도록 하기 위해 불필요한 물건, 폭발의 우려가 있는 물질들을 놓아두지 않는 것이 좋을 것입니다.
3. 태양전지 어레이를 관리하라
특수 처리된 강화 유리로 태양광 모듈의 표면은 구성되어 있지만 강한 충격으로 인해서 파손될 위험은 항상 존재합니다. 모듈의 후면이 손상되는 것에도 주의해야 하지만 한편으로는 날카로운 물체로 인한 손상에도 신경을 써주시길 바라겠습니다. 무엇보다도 모듈의 표면에 그늘이 지거나 황사먼지, 나뭇입, 새의 배설물 등의 이물질이 표면에 있다면 전체적으로 효율이 감소하기에 당연히 태양광 수익이 감소할 수 있기에 바로 제거하는 것을 추천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언급했던 거 처럼 대기 오염으로 인해서 공해물질인 황사 먼지 등으로 태양광 발전소 효율을 감소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 직접 고압 분사기를 태양광 모듈 표면에 뿌려서 이물질을 제거하는 방법을 이용해서 발전소의 효율 하락을 막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복사열로 인해서 모듈의 표면 온도가 높아진다면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원인이 되기에 항상 여름철에 물을 뿌려서 모듈 온도를 식히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하겠습니다.
이밖에도 모듈 프레임에 심한 충격이 가해지면 특수 코팅이 벗겨지면서 부식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노력을 항상 해주시길 기억하겠습니다. 그리고 진동 혹은 풍압등으로 인해서 구조물과 모듈의 연결 부위 부분이 느슨해진다면 태양광 발전 사업주의 경우 정기적인 점검을 하길 추천 드리겠습니다.
4. 인버터와 접속함을 관리하라
태양광 발전 사업을 지속하다 보면 태야광 발전 사업 설비 내의 주된 고장의 주요 원인들은 대부분이 인버터에서 발생하는 기기적 문제들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기적으로 정상 가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해야 하며, 가급적으로 햇볕이 강해 전력 생산량이 맍은 낮 시간에 인버터거제대로 동작하는지 신경서 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외부로부터의 습기 및 누수를 방지하기고 접속함의 경우에는 방수 처리가 되어 있습니다. 그렇기에 점검하기 위해서가 아니면 함부로 여는 것은 추천 드리지 않겠습니다. 만약 상태 표시창이나 표시 화면이 이물질로 더러워졌다면 더이상의 판독이 불가능 하다면 젖은 천등으로 깨끗이 닦아주시길 바라겠습니다.
최근에는 접속함과 인버터가 일체형으로 나온 제품들이 많기에 관리가 편하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5. 구조물과 전선줄을 관리하라
용융아연도금으로 처리되어 있는 보통의 구조물의 연결 부위의 경우 녹이 슬지는 않지만, 외부에 장기간으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설비의 특성때문에 녹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경우 태양광 발전 사업주는 직접 녹방지 스프레이를 구입해서 도포처리를 해주면 불필요할 수 잇는 인건비 발생을 줄일 수 있으며 물론 녹 발생이나 부식이 일어나는 것도 예방이 가능합니다.
전선 연결부(커넥터)와 전선 피복에 대해서 문제가 없다면 정기적으로 점검을 해야 하는 문제이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면 함부로 하지 말고 반드시 as를 요청해서 관련 보수들을 진행해야 합니다. 그리고 커넥터 연결 불량 및 어레이 내부의 전선 상태 문제로 수리가 필요하다면, 발전이 돌아가지 않는 저녁 시간대를 이용해서 만약의 경우에 대비해서 먼저 차단기를 끈뒤 인버터 작동도 정지해서 보수 작업을 진행해야 합니다.
태양광 전문기업 (주)파랑티에스에너지는 신뢰와 믿음으로
태양광 발전사업에 대한 올바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태양광 발전사업 유지관리 5가지 방법에
대한 설명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공감 버튼 한번씩 부탁드립니다.
#태양광발전사업 #태양광 #파랑티에스에너지
#태양광유지관리 #태양광발전
|
첫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