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문제 15번에 5번
" 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낮으면 자산으로 인식해서는 안된다 " 이게 옳지않은 문장이라고 하는데
자산의 정의 관점에서 보면 자산은 과거 사건의 결과로 기업이 통제하고 있으며, 미래 경제적 효익을 창출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원이니까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낮더라도 자산으로 정의는 가능하지만
자산의 인식은
미래 경제적 효익이 기업에 유입될 가능성이 높고, 그 자산의 원가나 공정가치를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어야 하니까
경제적 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낮으면 자산으로 인식해서는 안되는거 아닌가요? 옳은 문장인 것 같은데 이해가 안가서 여쭤봅니다 ㅜㅜ
해설도 자산이 될수있다 라고 써있는거 보면 자산의 정의에 대해서 말하는것같은데 질문은 자산의 인식과 측정에 관해서 물어봐서 헷갈려서요.
첫댓글 해당 경우 자산을 인식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예외적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틀린 문장입니다.
만약 경제적효익의 유입가능성이 낮으면 자산으로 인식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라고 서술하면 맞는 문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