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번 풀 때 109번처럼 임의의 실수 a가 속하는 유계폐구간을 설정해서 풀면 될 것 같다고 생각했는데 110번 답지가 조금 다르더라구요. 그냥 다른 풀이 중 하나라고 생각하면 되나요? 아님 109번처럼 풀면 안 되는 이유가 있는 걸까요?
첫댓글 109번에서는 f가 R에서 미분가능함을 보이기 위해 임의의 실수 a를 고정하고 정리를 이용하기 위해 a를 포함하는 유계구간을 선택했고, 110번에서는 "임의의 유계 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로 균등수렴함을 보이라고 해서 임의의 구간을 설정하고 풀었습니다.
아 약간 다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
첫댓글 109번에서는 f가 R에서 미분가능함을 보이기 위해 임의의 실수 a를 고정하고 정리를 이용하기 위해 a를 포함하는 유계구간을 선택했고, 110번에서는 "임의의 유계 구간에서" 미분가능한 함수로 균등수렴함을 보이라고 해서 임의의 구간을 설정하고 풀었습니다.
아 약간 다르군요...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