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afe.daum.net/cta 카페에서 퍼 왔습니다...그냥 읽어보시라고여...
근데 거기 운영자 허락없이 막 퍼와도 되는지 모르겠네요...
그냥 세무사 셤이 아니더라도 공부하시는 분들 알아두면 좋을것 같아서...
그럼 많은 도움되시길...
1. 계산기는?
세무사 시험에 있어서 계산기는 재무용 계산기나 공학용 계산기처럼 고기능
다기능 계산기는 필요 없습니다. 주로 쌀집 계산기라고 부르는 주위에서
흔히보는 단순기능 계산기면 충분합니다. 또한 현역 회계사나 세무사도
거의 모두 쌀집계산기로 업무를 본답니다. ^^; 아무래도 자판이 커서 빨리
두들길수 있고 자릿수 표시가 된다는 점, 현가계산하기 편하다는 점이
쌀집계산기가 선호되는 가장 큰 장점이라 생각됩니다.
그렇다고 쌀집계산기라고 해서 모두 다 되는 것인 아닌데...
우선 쌀집계산기는 주로 CASIO JS-20LA(12자리표시),40LA(14자리표시)를
많이 사용합니다. (참고: 보통 40LA의 경우 가격이 39,000원, 용산에서
갂지 않고 34,000~35,000원 입니다. 02/10/15 기준)
굳이 위 계산기 뿐만 아니라 SHARP나 AURORA등 12자리에 밑에서 다시
설명할 쌀집 계산기 기능(특히 현가 계산 기능)이 되는 거면 상관이 없을
듯 합니다.(12자리 이하는 곤란합니다. 세법계산하다보면 10억은 쉽게
넘는 경우가 많거든요. ^^;) 글구 평평한 계산기 보다는 액정판이 있는
부분이 높은 계산기가 형광등 밑에서도 화면이 잘보이고 두들기기도 편하답니다.
2. 계산기 사용법
1.GT 기능 (Grand Total)
영문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총합을 계산하는 기능입니다.
계산한 결과를 보기 위해선 "="을 치시죠? 2*3= 6
글구 다시 계산하구 "="... 2*2= 4
그런 다음에 계산기의 [GT]를 누르시면 지금까지 계산한 결과의 총합을
나타내 줍니다. 즉 10 이 나오죠.
이 기능은 나중에 연금현가 계산할때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2.K 기능
이 기능은 주로 CASIO 계산기에 해당되는 것 같던데.. 그렇다고 다른
계산기가 안되는 건 아닙니다. 보통 표시만 안되는 것이고 자동으로
계산기내에서 처리하거든요. 근데 가끔 싸구려 계산기에 경우 정말로
안되는 수가 있습니다. ─ ─;; 이건 어쩔수가 없죠. 사실때 직접 두들겨
보시고 확인하셔야 합니다.
우선 계산기의 *를 두번 누르면 화면 상단에 K가 뜹니다.
k 기능은 주로 카시오 계산기에 있는 기능이며.. 샤프 계산기등 어떤
계산기의 경우에는 자동으로.. 즉 *를 두 번 누르지 않아도 되는 것이
있습니다.
연급 계산시도 그렇고.. 종합원가 계산시 매우 유용한 기능인데...
100*2 + 100*3 + 100*4 계산시 다음과 같이 키를 누릅니다...
100**2=, 3=,4=, GT ---> 이러면 총합이 계산이 됩니다.
(곱하기를 두번 누르면 K가 뜹니다. 한번만 눌러도 되는 계산기도 있습
니다. 이때는 K가 뜨지 않습니다. 기능이 되는지 안되는지는 직접 계산기를 두들겨서 확인해 보시길 바랍니다)
3.메모리 기능
M+는 계산한 결과를 기억시키는 겁니다. 즉 더하기와 똑같죠
M-는 계산한 결과를 메모리에서 제거시킵니다. 즉 빼기와 같다고 할수 있죠.
MR은 =과 똑같은 것으로 메모리상 계산한 결과를 보여줍니다.
2*3 - 3*6 + 4*4 계산시.....
2*3M+,3*6M-, 4*4M+, MR ---> 이런면 총합이 계산이 됩니다.
MC는 메모리 클리어, 즉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내용만 지워집니다.
(AC는 올 클리어, 즉 입력한 모든 내용이 지워집니다.)
이 메모리 기능은 현가계산하는데 대단히 중요합니다.
4, 현가 계산방법.
(1) 카시오 계산기의 경우, 즉 k표시가 되는 계산기의 경우(ㅎㅎㅎ님의 글을 인용했습니다)
이자율 10%일 경우 1년의 현가는 1을 먼저 누르고 나눗셈을 누른 후 1.1(=1+0.1)을 하면 됩니다.
그러나 1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먼저 1.1을 누릅니다.
그리고 나눗셈버튼을 두번 누릅니다. 그럼 액정화면에 k가 생깁니다. 이거 위에서 설명드렸지요..?
그리고 1을 누르고 '='을 구하고자 하는 기간 만큼 누르면 됩니다. 그러면 1원의 현재가치를 구할수 있습니다.
(ex: 1.1//10,000 = =...)
연금현가는 구하고자 하는 기간만큼 누른후 GT버튼을 누르면 바로 구할수 있습니다.
좀 더 익숙해지면 1원에 대해 구할 필요없이 바로 현가를 구하실수 있을 겁니다.
여기에다 메모리 버튼(M+,M-)을 적절히 사용하신다면 사채문제 같은 경우 차금상각표 없이도 장부가액을 신속하게 구하실수 있을 겁니다.
(2) 기타 계산기. 즉, k표시가 안 되는 계산기의 경우
10000원의 10% 3년 현가계산할때 10000/1.1를 한 다음 "="을 누르면 1년 현가가
(주의 : 카시오처럼 이자율을 먼저 누르면 안됩니다. 계산기 종류마다 다를수도 있겠지만...)
나온답니다. 거기서 다시 "="을 한번 더 누르면 2년 현가가 나오죠. 글구 한번 더
누르면 3년 현가가 나온답니다. 거기에서 "GT"를 누르면 바로 3년 연금현가가 나오게
된답니다. 즉 "="만 누르면 몇십년이든 현가와 연금현가가 금방 구해지는 겁니다.
쉽죠? ^^;;;
M+와 MR을 사용해도 현가와 연금현가를 구할 수 있습니다.
글구 미래가치는....
10000원의 10% 3년 미래가치를 계산한다고 할때
10000*1.1해서 "="을 3번 누르면 안됩니다. 계산결과가 이상하게 나옵니다.
(제 계산기만 그런지도 모르겠지만... ─ ─;;)
1.1*10000하시고 "="을 3번 누르셔야 제대로 미래가치 결과가 나올 겁니다.
참고>> 밑의 글은 사이버회계학원 게시판에서 퍼왔습니다.
회계사, 세무사 공부하시는 분들은 대게 FC-200과 카시오JS-40LA 를 많이 쓰시는데 세무사 공부하시는 분들은 FC-200은 필요 없습니다. 왜냐하면 재무관리계산이 필요없기 때문이지요.
그대신 카시오JS-40은 권해드리고 싶습니다. 저도 여러 계산기를 써 봤지만 카시오계산기가 제일 잡음도 안나고 좋은것 같습니다. 가끔 쌀집계산기로 도서관의 소음도를 높이시는 분들이 계신데 그럴 염려가 없으니까요. 그리고 공부를 시작하신지 얼마 안되시는 분들은 왼손으로 계산하시길 권합니다. 오른손은 볼펜을 잡고 쓰시고 왼손으로 계산하시는 것이 숙달이 되면 훨씬 빠르게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계산기의 MR과 M+를 잘 사용하시면 계산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M+가 메모리기능이란것은 다 아시죠.
또한가지 작은수를 먼저 계산하고 큰수에서 작은수를 빼고 싶을 경우 -를 두번 누르시고 큰수를 빼시면 되고 나누기도 먼저 계산한 것을 분모로 가게 하고 싶으시면 나누기를 두번 누르시면 됩니다.
공부하시다 경지에 오르면 계산기의 숨은 팁이 다 보이겠지만 한동안은 그런 기능들을 못써먹는 경우가 허다하거든요. 이러한 작은 기술들이 시험장에서 시간과의 싸움을 절약시켜줍니다.
여러분 열심히 공부하세요. 그럼 이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