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S08B구용2005성과
성과 생물학
구용(Pierre-Henri Gouyon, 1953-), in 여자 남자 차이의 구축(Hommes, femmes: la construction de la différence, 2005), 배영란, 알마, 2009. pp. 49-63(P.175)
성의 분화가 자가 생식으로 인한 소멸보다 환경에 대한 적응이 더 낫기 때문이라는 것은 일반적 설명이다. 단성생식은 왜 환경에 더 잘 적응하지 못하고 양성이 더 잘 적응하는 것인가? 아직은 답이 없다.
5장에 나오는 이야기: Y염색체가 출현한 시기는 대략 3억년 전으로 추정하고 있다. / 사실의 선을 추적해야 하는데, 아직도 고생물학의 유전자 연구는 어려운 모양이다. (49WMB)
****
제2장. 성과 생물학 49-63
피에르 앙리 구용(Pierre-Henri Gouyon, 1953-), 진화 생물학자
생물학자들은 언제나 성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 인간이 종종 채택하는 굉장히 인간중심적인 시각에 의해 자신들이 관찰한 것에 대한 왜곡된 이해를 하지 않으려 노력하고 있다. (49) [오랫동안 인간중심적 관찰과 체계는 사회체에 영향을 미쳤다. (49WMA)]
생물계에는 얼마나 많은 성이 존재할까? 50
생물학은 우리에게 세상에는 단 두 개의 성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가르쳐주었다. 하지만 모든 건 우리가 무엇을 ‘성(性)’이라고 부르냐에 따라 달라진다. / 1차적 정의에 따르면 가령 박테리아도 ‘성’이란 게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서로 다른 두 개체가 교미하여 유전적 정보를 공유한 뒤 제3박테리아를 만들어 내기 때문이다. (50)
식물은 보통 자웅동체가 기본이며 대부분의 꽃들은 암수의 기능을 동시에 보유하고 있다. 아스파라거스와 같은 극소수의 식물들만이 암수가 구별된다. (51)
클로버는 성이 약 100여개에 달한다. (51)
생식은 무엇을 복제하는가? 53
또 다른 선입관이 하나 있다. 이 역시 자연에서 얼마든지 그 반박 사례를 찾아볼 수 있는 데 생식의 기본이 유성생식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유성생식은 특별한 경우에 속할 뿐이다. (53)
이 문제는 다윈의 자연선택설에서 비롯된 진화론적 설명과 최근에 나온 유전학의 굉장한 발견 결과의 중심에 놓인다. (53)
이러한 계통수 가운데 최초는 찰스 다윈(Charles Darwin, 1809-1882)의 종의 기원(1859)에서 나왔다.(종의 기원의 유일한 삽화였다) (54)
진화론자들은 암컷의 입장에서 봤을 때 성별이 오히려 유전정보의 복제에 제약을 준다는 점을 알게 됐다. (57)
암컷과 수컷은 어떻게 구별하는가? 57
정자를 만나기 전 ‘감수분열’이란 과정이 일어나는데, 이 과정에서 난자가 가진 유전자의 절반이 제거되고 그 ‘자리’를 정자가 가진 유전자에게 내어 준다. 따라서 우리는 난자에 대한 정자의 ‘기생’적인 생존 방식을 보게 된다. (59) [정자의 “기생” -> 남성의 기생으로 간다면 비약일까? (49WMB)]
사실 무성생식을 하는 종들은 거의 대부분 매우 역사가 짧다. 이것으로 무성생식을 하는 종은 다른 종들보다 훨씬 빨리 멸종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지 않을까? (61)
암컷은 수컷 없이 살아갈 수 있을까? 61
두 개의 성별을 가진 종에서, 만일 암컷이 처녀생식을 한다면 수컷은 사라져버릴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현상이 왜 모든 종에서 일어나지 않는 걸까? / 이 질문에 대한 첫 번째 답변은 모두가 공감하고 있는 것으로, 유성생식이 처녀생식과는 반대로 빠른 진화를 가능하게 해준다는 점이다. 처녀생식을 하는 경우는 환경이 변화할 때 환경에 대한 적응을 확보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른 속도의 진화를 허용하지 않는다. 이로써 무성생식을 하는 종이 멸종하는 이유도 설명된다. (61-62)
암컷은 수컷 없이도 살아갈 수는 있지만 그렇게 되면 해당 종은 장기적인 미래를 생각할 수 없게 된다. / 여자들의 호의로 인류의 생존이 보증되는 것이라면 여자들이 기꺼이 동의한 희생은 존중의 대상이어야지 결코 강요의 대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63)
(49WMB)
**
찰스 로버트 다윈(Charles Robert Darwin, 1809-1882) 영국 생물학자, 지질학자. 진화론에으로 철학자이다. 앨프리드 러셀 월리스(Alfred Russel Wallace)와의 공동 논문에서 인위적인 선택인 선택적인 교배와 비슷한 현상이 생존경쟁을 거쳐 이루어지는 자연 선택(Natural Selection)을 소개했다.
책S08B구용2005성과.hw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