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양조=계면>
추월(秋月)은 만정(滿庭)하야, 산호주렴(珊瑚珠簾) 비쳐 들제, 청천(靑天)의
외기러기는, 월하(月下)에 높이 떠서, 뚜루낄룩, 울음을 울고 가니, 심황후(沈
皇后) 반기 듣고, 기러기 불러 말을 한다. 오느냐 저 기럭아. 소중랑(蘇中郞)
북해상(北海上)에, 편지(便紙)전튼 기러기냐. 도화동(桃花洞)을 가거들랑 불
쌍하신 우리 부친 전에,편지(便紙) 일장 전(傳)하여라. 편지(便紙)를 쓰랴 할 제.
한 자 쓰고 눈물 짓고, 두 자 쓰고 한숨 쉬니, 글자가 번져 수묵(水墨)이
되니, 언어(言語)가 오착(誤錯)이로구나. 편지(便紙)를 손에 들고, 문을 열고
나서보니 기럭은 간 곳 없고, 창망(蒼茫)한 구름 밖에, 별과 달만, 뚜렷이 밝
았구나.
<아니리>
이때, 황제(皇帝) 내궁(內宮)에 들어와 황후(皇后)를 살펴보니, 수색(愁色)이
만면(滿面)하니, 무슨 근심이 있나니까. 심황후(沈皇后) 여짜오되, 솔토지민
(率土朕人)의 막비왕토(莫非王土)라. 세상(世上)에, 불쌍한게 맹인(盲人)이라.
천지일월(天地日月)을 못 보니, 적포지한(積抱之恨)을 풀어 주심이, 신첩(臣
妾)의 원(願)이로소이다. 황제(皇帝), 칭찬하시고, 국모지(國母之) 덕행(德行)
이요. 즉시 그날부터, 맹인(盲人)잔치를 여시는데, 각도(各道) 각읍(各邑)으로
행관(行關)하시되, 대소인민간(大小人民間)에 맹인(盲人)잔치 참여(參與)하게
하되, 만일(萬一) 빠진 맹인(盲人)이 있으면, 그 고을 수령(守領)은, 봉직파면
(奉職罷免) 하리라. 각처(各處)에 전령(傳令)하여노니, 어명(御命)인지라 지어
(至於) 애기봉사까지, 잔치에 참여하게 되었구나.
<세마치(잦은 진양)>
그때의 심봉사는, 모진 목숨이 죽지도 않고, 근근도생(僅僅) 지내갈 제.
무릉촌 승상부인(丞相夫人)이, 심소저(沈少姐)의 효행(孝行)에 감동(感動)되어,
망사대(望思臺) 옆에다 타루비(墮淚碑)를 세웠는데 비문(碑文)에 하였으되,
지위기친(至爲其親) 폐쌍안(廢雙眼)하야, 살신성효(殺身成孝) 행선거(行船去)
라. 연파만리(煙波萬里) 상심벽(常深碧)하니, 방초연연(芳草年年) 환불귀(還
不歸)라. 이렇듯 비문(碑文)을 하야, 세워 놓으니, 오고 가는 행인(行人)들이 ,
뉘 아니 슬펴하랴. 심봉사도, 딸생각이 나거드면, 지팡막대 흩어짚고, 더듬
더듬 찾아가서, 비문을 안고 우드니라. 일일(一日)도 시봉사, 마음이 산란하
여, 지팡막대 흩어 짚고, 타루비(墮淚碑)를 찾아 가서, 후유, 아이고 내 자식
아. 내가 또 왔다. 너는, 애비눈을 띄우려고, 수궁고혼(水宮孤魂)이 되고, 나
는 모진 목숨이 죽지도 않고, 이지경이 웬일이란 말이냐. 날 데려 가거라,
나를 데려 가거라. 산신(山神) 부락귀(部洛鬼)야 나를 잡아 가거라. 살기도
나는 귀찮하고, 눈 뜨기도 내사 싫다. 비문(碑文) 앞에가 엎드러져서, 내려둥
글 치둥굴며, 머리도 찧고, 가슴 꽝꽝. 두발을 굴러, 남지서지(南之西之)를
가리키는구나.
삭제된 댓글 입니다.
모자란 소리 부끄럽지만 기념 삼아 올렸습니다. 좋게 봐주셔서 고맙습니다. ㅎ
멋진 느티님!!!! 정말 잘 하십니다.
진심으로 축하!!!! 축하 드립니다.
더욱더 발전 하시와유~~~~
좋게 봐주시고 격려의 말씀 해주셔서 고맙습니다.
느티님 멋져불어요.진양조가 힘든 대목이라 생각 되는데 잘 소화해 내셨네요.저의 샘이랑 같이 호흡을 맞추셨네요.
이원태선생님이 북을 잘 쳐주셔서 소리하기가 편했습니다.
고맙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