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명기에 대하여
1.개요: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탈출한뒤 40년 광야여정을 지나 모압 평원에 이르렀다. 약속의 땅을 목전에 두고 요르단 강을 건너려는 이스라엘 백성에게, 모세가 행한 세 번의 연설문 형식으로 되어 있다. 내용의 전개는 주로 역사의 회고, 교훈 성찰, 십계명 및 계약의 정신 반복 강조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당부등의 내용을 담고 있다. 모세는 신명기에서 3가지를 강조 한다. 1) 부모 세대들이 불순명 잘못으로 인해 겪었던 호된 시련을 잊지 말라. 2) 돌보아 주신 하느님의 은혜를 항상 기억하라(신명 1,31-33참조) 3)이 교육의 대상은 당대 세대용이며 동시에 미래 세대=오늘 우리도 하느님과 계약을 맺은 당사자들도 포함된다. (차동엽 신부)
*신명기는 마치 신명기계의 머리말처럼 다음으로 이어질 역사서 앞에 배치되어 역사서의 관심사를 분명히 드러낸다. 신명기는 두 가지의 주요한 요소를 지니고 있다. 하나는 하느님과 이스라엘의 계약으로 하느님이 왜 이스라엘을 벌하는지를 이야기하고, 다른 하나는 왜 이스라엘이 하느님께 약속받은 땅을 잃게 되었는지 이야기한다. 신명기는 수백 년간의 이스라엘 역사를 해석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신명기는 모세의 권위로 계약의 법들을 설명해주고 예언자의 정신으로 장차 일어날 일들에 대하여 경고하고 있기 때문이다. (주석서 519p)
2. 서명:
신명기의 히브리어 서명은 “이것은 ~모세)의 말이다.”라고 한다. 칠십인역 성경 이름은 그리스어로 ‘두 번째 법전’이라고 한다. 약속의 땅으로 들어가기 직전, 모압 벌판에서 모세의 법을 ‘이스라엘 백성에게 ’또‘, ’다시‘ 알려준(재교육) 것을 기록한 것이라 해서 붙인 이름이다. (신명기 28, 69) 신명기는 구약성경의 핵심을 담고 있으면서 유대인들의 신앙생활에 가장 큰 영향력을 행사하는 책이다. 신약성경에서 신명기는 창세기 시편 이사야서와 더불어 많이 인용되는 구약성경이다.
3.저술 목적:
이스라엘 율법의 최고 권위자인 모세의 입을 열어 이스라엘이 망하지 않고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길은, 하느님을 믿고 따르며 그분이 일러주신 말씀과 율법을 준수를 제시한 것이다.
4.성립 시기:
1).
신명기의 주요 부분인 5-29장은, 모세 시대부터 전승되던 갖가지 자료인데, 북이스라엘에 전해져 기원전 721년경에 최초로 정리한 것이 신명기의 기초가 된 것으로 추정한다. 이 사본이 기원전 622년경 남 유다 요시야 왕 성전 복구 때 발견되어, 종교 개혁의 계기가 되었다. 그 후 바빌론 유배 시대나 그 직후에 사제들에 의해 앞뒤 장이 추가되어 현재의 형태로 정리되었다. (간단 정리,백주간)
2).신명기12-26장은 법전의 규정들을 담고 있는데 여기서 신명기 법전이라는 이름이 설명된다. 북이스라엘은 모세 시대 이후의 갖가지 규정을기원전 721년경에 하나로 정리하였고 이것이 신명기기초가 된 듯하다(신명기 초본).
사본이 기원전 622년 남 유다 요시야 왕 성전 수복 공사 때에 발견되었다. (요시아왕 18년 곧 기원전 622년에 예루살렘 성전에서 ‘율법서(2열왕,8.11)또는 ’계약 책‘(2열왕 23,2.21)이 발견되었다. 요시아 왕은 북왕국 멸망 후 예루살렘에 망명한 북 왕국 출신 여 예언자인 훌다(2열왕 22,14/참조:2열왕 22,1-23;.30;2역대34,1-35,26)에게 이 책을 확인하였다.) 요시아 종교개혁서(2열왕 23,4-20)를 신명기 원본으로 추정한다. 요시아 임금은 계약을 갱신하고 종교 개혁을 선포한다. 그런데 요시아 왕이 시행한 이 개혁의 내용이(2열왕 23,4-20) 신명기의 기본 요구와 일치한다. 즉 지방의 모든 성소를 파괴하고 모든 성소와 예배를 예루살렘으로 집중 시키는 것이다(신명12장-유일한 성소) 따라서 요시아가 선포한 개혁 문서는 원래의 짧은 신명기 원본이었던 것으로 여겨진다.)
그 후 바빌론 유배 시대나 그 후에 앞뒤의 장이 첨가되어 현재 우리가 보는 형태로 정리 된 것으로 본다(백주간)
5.구분:
모세의 첫째 설교(1,1-4,43)은 하느님의 계약에 충실할 것을 말한다. 둘째 설교 4,44-28장은 주 하느님을 사랑하라는 것으로 12-26장은 신명기 법) 지켜야 할 온갖 규정과 법령이다. 셋째 설교 29-30장은 주님의 말씀을 생명의 말씀으로 항상 네 옆에 있다. 31-34장은 모세의 시대가 끝나고 여호수아가 후계자로 계승된다.
입력:최 마리 에스텔 수녀 2023년 11월 25일,PM 10:27분/ 참고:성서백주간 도움책 역사서, 가톨릭 성경 주석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