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의 종류와 특성
쑥은 밭둑, 하천둑에서부터 해발 2,000m 의 고원지대에도 잘 자라는 흔한 식물로 국내에 38종이 있다. 약쑥은 애엽(艾葉) 애호(艾蒿), 황초(黃草), 구초(灸草), 라고도 하며 한방에서는 중요한 약초로서 사용되고 최근에는 쑥차나 쑥환 등 다양한 건강식품으로 개발되어 이용범위가 확대될 전망이다. 약쑥은 일반쑥(나물쑥)과는 달리 줄기와 잎 뒷면이 거미줄 같은 흰털이 빽빽이 덮여 있고 줄기의 윗부분이 약간 누른빛을 띤다. 일반쑥은 야산 또는 들의 논두렁에 흔히 자생하며 어린싹을 뜯어 식용하는데, 쑥국도 끓여 먹고 쑥으로 떡도 해먹다. 생육은 키가 15∼20㎝정도 자라며 어릴 때 사용하기 때문에 잎뒷면이 약쑥처럼 솜털이 많지 않고 잎색이 진하고 주로 나물쑥으로 사용하는 쑥은 물쑥, 뼝쑥 종류와 떡쑥등이 사용된다. 약쑥은 한명으로 황초(黃草)라고도 하는데 이것은 약쑥의 봉우리 부분이 약간 누런색을 띠기 때문인데 줄기가 희고 잎 앞면은 녹색이나 뒷면은 흰솜털로 되어 있다. 생육은 60∼90㎝로 자라며 꽃은 8∼9월에 황백색으로 핀다. 약쑥의 종류는 많으나 일반쑥과는 다르게 잎을 비벼보면 향이 진하고 약쑥을 수확하여 건조 하였을 때 잎이 떨어지지 않고 줄기가 잘 꺽어지지 않는다.
| |||||||||||
| |||||||||||
약쑥의 이용방법 | |||||||||||
|
약쑥의 효능. 2 ● 습진 말린 약쑥 줄기와 홍고추를 태워 가루로 만든 다음 참기름으로 개어 습진이 난 곳에 서너 번 발라준다. ● 땀띠 여름에 땀띠가 많이 난 아이는 물 1되에 약쑥잎 10g을 넣고 달인 물로 씻어 주면 괜찮아진다.
● 신경통 약쑥잎을 진하게 달여, 뜨겁게 한 다음 수건을 그 물에 적셔 아픈 곳을 찜질해 주면 좋다. 쑥잎2, 마늘1의 비율로 헝겊에 싸서 뜨거운 물을 받아 둔 욕조에 넣은 다음 그 물에 목욕을 하면 좋다.
● 중풍 뜸과 병행. 쑥차를 오래도록 마시면 쾌유가 빨라진다.
●산후조리 물 한 대야에 약쑥 10g을 넣고 푹끓여, 입이 오목한 튼튼한 그릇에 그 물을 부은 다음 산모가 옷을 벗고 걸터앉아 쑥김을 쐬면 산후 회복과 후유증이 없어 좋다.
● 타박상 말린 약쑥과 마늘을 동일 분량으로 가제나 망사에 싸서 욕조를 넣은 다음 그 물로 목욕을 하면 빨리 낫는다.
● 토사곽란 3년 숙성시킨 약쑥을 진하게 달여 마시게 한다.
● 편도선염 생쑥잎을 짓찧어 편도선이 부어 있는 곳에 붙여 놓는다.
● 위장병 3년 숙성시킨 약쑥으로 만든 쑥엑기스를 드시거나 쑥차를 끓여 오래도록 마시면 증상이 훨씬 좋아진다.
● 인후염 목이 아파 쉰 소리가 날때 생쑥에 식초를 약간 넣고 짓찧어 목에 붙인 다음 헝겊으로 감싸 놓으면 아픈 증상이 좋아진다.
● 코피 코피가 자주 나면 쑥차를 연하게 끓여 1주일 정도 마시면 괜찮아 진다. 또 갑자기 피가 날때는 3년 숙성시킨 약쑥을 손으로 비벼 둥글게 해서 콧속에 넣으면 금방 멎는다.
● 여드름 3년 숙성시킨 약쑥잎 5g에 물 2ℓ를 붓고 연하게 달여 그 물로 자주 씻어내면 좋아진다.
● 부스럼 약쑥잎을 태워 재로 만들어 부스럼이 난 자리에 뿌린 다음 붕대로 감아 둔다. 또 약쑥을 물에 넣고 삶아 부스럼이 난 자리를 그 물로 씻어내도 된다.
● 하혈, 생리불순 약쑥 10g 1묶음 + 생강 5조각을 달여 2~3회 복용
● 감기(열), 오한 쑥잎 10g + 생강 5조각 + 물 2사발을 끓여 물이 반으로 되면 복용. 쑥을 깨끗이 씻어서 적당량의 물을 붓고 대추나 감초 등 각종 한약제를 첨가하여 처음에는 강한 불에서 약한 불로 2시간 정도 다려서 냉장고에 보관하여 차게해서 수시로 드시면 좋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