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광주·전남 폭설대란…휴교사태 |
호남지방 ‘첫눈’ 관측이후 최고 |
광주·전남지역에 기록적인 폭설이 내리면서 대부분의 초·중·고교가 5일 휴교에 들어갔으며 내린 눈이 밤새 얼어붙어 출근길 시민들이 큰 불편을 겪었다. 이 때문에 지각사태가 속출하고 통화량이 폭주, 통신장애 현상까지 나타났으며 이틀째 항공편 결항사태도 이어졌다. 이번 첫눈은 기상청 관측 이후 최고를 기록하면서 비닐하우스 붕괴, 오리 폐사 등으로 인해 7억 원의 재산피해를 냈다.
◇폭설로 600여 개 학교 휴교 4일부터 폭설이 내린 광주·전남 지역 600여 개 학교가 5일 임시휴교했다. 광주의 경우 유치원, 초· 중·고교 전체 268개교 중 42.9%인 115개교가 이날 하루 휴교했다. 전남지역은 전체 862개교 중 56.6%인 488개교가 임시휴교했다 시·도교육청은 적설량 등 기상상황을 봐가며 6일 휴교도 검토하기로 했다. ◇비닐하우스·축사 붕괴 재산피해 속출 이번 폭설로 인해 5일 오전까지 전남지역에서 집계된 재산피해는 7억여 원으로 나타났다. 비닐하우스 15동이 붕괴되고 오리 9천500여 마리가 폐사했으며 수산물 양식시설 9곳이 피해를 입고 축사 0.38㏊가 파괴됐다. 강진에서만 모두 12곳의 비닐하우스가 전파되고 뱀장어, 넙치 등 수산물 양식시설, 돼지·한우 등 3개 축사가 파손됐다. 영광에서도 비닐하우스 5곳과 축사 4곳이 전파돼 모두 4억8천900여만 원의 재산피해를 내는 등 전남지역에서만 모두 7억123만 원의 피해가 발생했다. ◇출근 대란, 항공편 결항, 통신장애 5일 오전 광주와 무안을 오가는 전남도청 출근버스 12대는 제 시간에 출발했으나 얼어붙은 도로 사정 탓에 거북이 주행을 거듭한 끝에 5대가 지각했다. 광주에서 전남 화순, 나주, 장성 등 인접 시·군을 오가는 직장인들은 너릿재 터널, 광산-남평 간 오르막길 등 상습 지·정체 구간을 지나느라 지각을 피할 수 없었다. 이날 광주에서는 지산유원지, 광산구 임곡동, 오룡·산정동, 동구 내남동 등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10개 노선이 단축·우회 운행했으며 제설작업이 이뤄지지 않은 이른 아침에는 택시조차 찾아볼 수 없어 직장인들이 애를 먹었다. 호남고속도로의 교통통제는 전날 밤 11시부터 해제됐으나 빙판길로 인해 구간구간 지정체가 계속되고 있다. 목포항과 여수항 등 여객선 출항은 강한 바람으로 인해 아직까지 금지되고 있다. 항공편 결항도 이틀째 계속돼 이날 오전 7시 30분발 김포행 아시아나항공 OZ8700편을 비롯해 오전 8시 출발하는 김포행 대한항공 KE1302편의 운항이 취소되고 오전 9시발 제주행 대한항공 KE1901편과 9시30분발 김포행 아시아나항공 OZ8702편도 결항됐다. 출근대란과 휴교가 겹치면서 안부와 출근방법을 묻는 통화량이 폭주해 114 안내, 철도 이용 안내 등 전화는 연결이 힘들 정도였다. ◇호남지방 첫눈 관측 이후 최고 이번 ‘첫눈’은 광주지방기상청의 관측 이후 최고를 기록했다. 이날 오전 9시 현재 적설량은 해남이 38.5㎝, 장흥 34㎝, 목포 30.1㎝, 광주 29.7㎝, 순천 13.6㎝를 기록했다. 이는 1939년 광주지방기상청이 관측을 시작한 이후 최고기록이며 1953년 3월 30일 5.2㎝의 적설량을 보인 이후 가장 많은 ‘첫눈 적설량’이다. 광주의 경우 ‘첫눈’이라는 조건을 제외하고 적설량만을 따져도 1996년 이후 가장 많다. 기상청은 한두 차례 눈 또는 비(강수확률 40~80%)가 더 내린 다음에 내일 오전께에야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기온은 이번 주 내내 영하권에 머물러 매우 추운 날씨가 계속될 것으로 예보했다. 연합뉴스 |
첫댓글 대구에서는 이러한 눈을 볼수가 없지요? 눈 꽃이 정말로 아름답습니다..
광주는 29센티로 11년 만의 최고 폭설이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