잘되는 업종을 찾기보다는 무엇을 가장 잘 팔 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산업사회의 주류계층인 4,50대가 디지털세대인 2,30대에 밀려 '퇴출세대' 딱지를 달고 있다. 구조조정의 회오리를 피해 직장에 다니고 있는 어느 직장인은 '회사생활도 예전 같지 않고 동료를 바라보는 눈 또한 여유가 없다'고 토로한다. 앞날을 생각하면 정말이지 갑갑함만 드는게 바로 오늘날 4,50대 직장인의 현주소다. 이를 반영하듯 최근 여러 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창업 설명회에 참가하는 예비창업자들은 4,50대가 주축을 이루고 있다. 구조조정에 따른 퇴직자의 증가에서 비롯된 문제이겠지만 창업대열에도 합류하지 못하고 계속 적체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강도 높은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를 부르짖고 있는 기업의 현실을 감안 할 때 더 이상 정년 퇴직은 보장받기 어려워졌다. 4,50대의 경우, 나이, 소득, 자녀양육 등 여러 가지 여건을 고려할 때 딱 들어맞는 업종을 찾는게 어려울 것이다. 그렇지만 퇴직 뒤의 시간이 직장에서 생활한 인생만큼 길게 남아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창업을 준비하지 않을 수 없다.
업종에 따라 여러 가지 제약이 따를 수 있으나 신세대가 갖지 못한 사회생활의 경험과 노하우를 활용 한다면 오히려 창업에 유리 할수도 있다. 우선은 잘되는 업종을 찾기보다는 무엇을 가장 잘 팔수 있을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 이와 함께 창업에 관한 올바른 정보수집과 판단 잣대를 가져야 한다. 창업을 가로막는 가장 큰 장애물은 먼저 퇴직한 선배 창업자들이 대부분 실패한 데 따른 막연한 공포감이다. 실패에 대한 두려움은 바로 정확한 창업정보의 부족에서 비롯된다. 너무 많은 정보의 습득으로 올바르게 판단 할 수 있는 잣대가 실종 되었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이다.
일부 창업자들 가운데에는 남다른 노력으로 성공을 거둔 사람들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시도도 해보지 않고 의기 소침할 필요는 없다. 창업목표를 세우고 정보를 수집하되 자신만의 잣대를 정해 놓고 정보를 수집하면 자신감이 생길 것이다. 특별한 기술이나 전문성이 있는 사람은 그 분야를 직장의 연장선으로 보고 소규모로 창업을 준비하면 별 무리가 없을 것이다. 문제는 특별한 능력이나 기술이 없는 경우인데, 어떤 업종이 잘될 것인가를 찾기 이전에 무엇을 팔수 있을 것인지 생각해야 한다.
또한 ‘기본생활비 확보’를 최우선으로 고려해야 한다. 적합한 업종 몇가지를 알아보면 임대 관련업, 직장생활의 연장선에서 시도할 수 있는 아웃소싱. 나이에 영향을 적게 받는 저가 할인점, 편의점, 외식업 분야에서는 고객접객 부분보다는 경영 또는 조리부분 등에 도전해 볼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담분야나 컨설팅, 사회사업등 휴먼서비스 분야는 4,50대의 경험과 노하우를 잘만 활용한다면 매우 유리한 분야이다.
창업자가 최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부분이 기본 생활비 확보문제다. 안전창업을 지향하는 만큼 자녀교육비와 생활비 등을 최대한으로 확보하고 사업을 시작하는 전략이 필수다. 돈에 관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하는 일은 바로 자금계획을 세우는 것이다. 우선 창업에 쓸수 있는 자기자본 규모를 알아봐야 한다.
순수자기자금인 현금예금, 적금해약금등 동원 가능한 금액을 측정하고 규모에 알맞은 아이템으로 도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 다음에 사업을 위한 입지 선정이나 아이템에 관한 정보수집과 함께 사업계획서를 작성해야 한다. 직장생활과 더불어 시간 나는 대로 휴가나 수면도 줄이면서 창업에 관한 집념으로 창업공부를 하고 창업 지식을 습득해 나가는 것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머릿속의 구상으로만 그치지 말고 치밀한 계획으로 사업계획서를 작성하고 실천하는 것만이 안전 창업의 지름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