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증권전문 site에 철강등
우리들이 흔히 아는 전통적인 산업들을 “legacy 산업”이라고 하네요
뜻은 “유산, 유물, 업적, 결과, 여파, 유물등”이라고 하구요
유명인터넷에도 어원(語源)이 없습니다
세계의 언어할배들에게도 물어 봤습니다
(유산을 남겨) 놔놨뒀을까봐
(유산을) 남겨둠
유산
遺産 (유산)
(기술을) 알렸었네
(결과를) 내겠다
(기술을, 유산을) 알리겠다
(기술을) 알려뻐리삐쓰 ⇒ 알려버렸어
(남겨진 것들이) 알려디다 ⇒ 알려지다
(기술을) 알려삐
(결과물을 들고) 오라캤었지 ⇒ 오라고 했었지
(결과물을 들고) 오더라 했었다
(유산을) 떼뒀다삐 ⇒ 떼뒀다
(계속해서) 해냈다지
(먼저) 써봤었잖아
(결과물을) 빼낸다
앞으로 말야
(후대에) 미뤘어 |
발음을 그대로 차용하면
“(유산을, 여파를, 결과를, 유물을, 유산을) 내겠어”로 보이구요
약간의 생각을 더해 보면
“(유산을, 여파를, 결과를, 유물을, 유산을) 남겼어”가 됩니다
아무래도 자연스럽기는 “(유물을) 남겼어”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
2528. legacy (레거시, 유산, 업적, 결과, 여파, 유물):
1. (유산을, 업적을, 결과를, 유물을, 여파를) 남겼어, 남기다가 어원 (* n 탈락)
2. (업적을, 여파를, 결과를, 유물을, 유산을 만들어) 내겠어, (만들어) 내다
* 남아프리카: nalatenskap ((유산을 남겨) 놔놨뒀을까봐)
* 네덜란드: nalatenschap ((결과물을 남겨) 놔놔뒀어삐)
* 크로아티아: naslijede ((유산을 남겨) 놨습니다) (* j 묵음)
* 라틴어: legatum ((유산을) 낭겨둠 ⇒ 남겨둠)
* 한국: 유산
* 중국: 遺産 (유산)
* 일본: 遺産 (유산)
* 베트남: di san (遺産)
*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warisan ((기술을) 알렸었네)
* 포르투갈, 스페인: legado ((결과를) 내겠다)
* 카탈루냐: llegat (알리겠다)
* 아이슬란드: arfleifð (기술을) 알려뻐리삐쓰 ⇒ 알려버렸어)
* 이탈리아: eredita ((남겨진 것들이) 알려디다 ⇒ 알려지다)
* 노르웨이, 스웨덴: arv ((기술을) 알려삐)
* 독일: erbe ((기술을) 알려삐)
* 헝가리: orokseg ((결과물을 들고) 오라캤었지 ⇒ 오라고 했었지)
* 아일랜드: oidhreacht ((결과물을 들고) 오더라 했었다)
* 체코: dedictvi ((유산을) 떼뒀다삐 ⇒ 떼뒀다)
* 프랑스: heritage ((계속해서) 해냈다지)
* 폴란드: spuscizna ((먼저) 써봤었잖아)
* 핀란드: perinto ((결과물을) 빼낸다)
* 덴마크: eftermæle (앞으로 말야)
* 터키: miras ((후세대에) 미뤘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