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논쟁: 문제와 과제
1. 여는 말
최근에 출간된 김승학의 떨기나무1)는 시내 산이 시내 반도가 아닌 사 우디아라비아 반도, 미디안 땅에 위치한다는 주장을 하여 대중들의 많은 관심을 받고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논쟁을 촉발시킨 계기가 되었다. 이미 시내 산의 지리적 위치와 출애굽 여정에 대해 김성에 의한 다수의 논문2)이 발표되었지만 학술적인 분야였던 만큼 대중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았다. 사 실 시내 산이 시내 반도 남부에 있다는 전승도 열 곳이 넘는 후보지 중의 하 나일 뿐이다. 따라서 특정한 지역을 시내 산으로 확정하는 주장의 오류와 문제점을 알리기 위해 최근에 학자들이 모여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해 지리 적,3) 성서해석학적,4) 고고학적5)인 분야로 나누어 논의를 하였다.6) 본 연구 는 이번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논쟁을 계기로 성경의 주요 사건들이 일어 난 장소들에 대해 위치 확인(identification)을 할 때 올바른 방법론이 무엇인 지를 점검하고 앞으로의 과제를 전망하려는 시도이다. 그러므로 지난 발표 회 때 논의에서 제외되었던 시내 산의 위치를 둘러싼 논쟁의 초기 역사와 근대 이후 최근까지의 논쟁을 방법론을 중심으로 살펴보면서 논쟁의 문제점과 그에 따른 미래의 과제를 찾는 일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탈출한 이후 가나안 땅으로 향하는 전체 여정을 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친 장소로는 하나님께 율법을 받고 언약을 맺 은 시내 산, 그리고 가나안 땅 입성을 앞둔 시점에서 극적으로 광야 40여 년 유랑이 시작된 가데스바네아를 들 수 있다. 시내 산은 이스라엘이 애굽을 떠나올 때 1차적인 목적지였다. 그들은 모세가 하나님을 처음 만나 애굽으 로부터 백성을 탈출시키라는 위대한 임무를 받은 장소로 가서 하나님과 언 약을 맺어야 했다. 가나안 땅에 입성하기에 앞서 그들이 율법을 받음으로 써 그들은 하나님의 백성이 되고 그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었다(레 26:12).가데스바네아는 가나안 땅을 코앞에 두고 입국을 준비하려던 최종 목적지 인 셈이었지만 이스라엘의 불평으로 인해 가나안이 아닌 광야로의 먼 여정 이 시작된 장소가 되고 말았다. 따라서 출애굽 여정은 원래 두 목적지를 중 심으로 계획되었을 것이다. 그러한 정황은 두 장소에서 이스라엘이 장기간 체류했다는 점과 출애굽 여정지 목록인 민수기 33장에서 두 장소가 중요한 거점으로 나타난다는 사실에서도 알 수 있다.7) 더욱이 시내 산의 특별한 위 치는 이 산을 ‘여호와의 산’(민 10:33), 혹은 ‘하나님의 산’(출 4:27; 18:5; 24:13)이라고 부른 호칭 속에서 잘 나타난다. 그러나 시내 반도의 고대 지명 들이 대부분 남아있지 않아 시내 산을 포함한 출애굽 여정지들의 위치를 확인하기 어렵다. 따라서 고대 이래 유대인과 기독교인, 이슬람교인들 사 이에서 거룩한 산,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관심이 지대했기에 이곳을 찾으려는 노력이 최근까지 이어져오고 있다.
1) 김승학, 떨기나무 (서울: 두란노, 2007).
2) 김성, “가데스 바네아로부터 모압 평지까지: 출애굽의 후반부 루트와 고대 이스라엘의 영토관”, 「현대와 신학」 19 (1994), 89-122; “출애굽의 루트와 이집트의 광산개발”, 「신학지평 12 (2000), 79-84; “시내 산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연구”, 「구약논단」 10 (2001), 27-42.
3) 정연호, “시내 산은 어디인가?: 성서지리학적 접근”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1-33.
4) 정현호, “시내 산 위치에 대한 성서적 고찰”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35-48.
5) 강후구,“시내산은어디인가?:시내산위치에대한고고학적고찰”(시내산은어디인가,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51-59; 임미영, “시내 산은 어디인가?:Appendix”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60-65.
6) “시내산은어디인가”,한국이스라엘학회제8차학술세미나(2014.12.4.).
7) 민 33장은 이스라엘이 실제로 머물렀던 장소들의 목록이므로 시내 산은 언급되지 않는다.그러나 여정지들은 도로, 거리, 방위에 따라 1 애굽-시내 광야(민 33:5-15), 2 시내 광야-에 시온게벨(민 33:16-35), 3 에시온게벨-가데스바네아(민 33:36), 4 가데스바네아-모압 평지(민 33:37-49)의 네 구간으로 나뉜다. 그런데 세 번째 구간인 에시온게벨-가데스바네아 여정 은 두 장소가 꽤 멀리 떨어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간 여정지들이 없다. 이는 다른 구간들의 상세한 여정지들과 대조적이다. 이렇게 본다면 사실상 출애굽 여정의 주요 목적지는 시내 산에서 율법을 받기 위해 머무른 시내 광야와 가나안 입국을 준비할 수 있는 가데스바네아 라는 점이 더 분명해진다.
2. 시내 산 위치에 대한 논쟁과 문제
2.1. 유대 전승
민수기 33장 외에 출애굽 여정을 부분적으로나마 기록하고 있는 출애굽 기(12:37; 13:20, 22-23; 14:2; 15:22, 27; 16:1; 17:1), 신명기(1:2; 2:1, 8, 13, 18;3:29; 10:6-7)도 시내 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되지는 못한다. 더 욱이 민수기 안에서도 33장의 전체 여정지 목록과 시내 광야를 출발해 모 압 땅에 이르기까지 여정 기록(10:12-21:20)이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일부 는 일치하지 않는 부분도 있다. 이미 구약 안에서 출애굽 여정이 일부 구간 에 대해서는 다른 전승이 존재하고 있기 때문에 시내 산의 정확한 위치를 찾아내는 일을 더 어렵게 만든 것이다. 따라서 시내 산의 위치를 알기위해 서는 고대로부터 전승이나 성지순례 기행문들에 의존해야 하는 한계를 지 닌다. 고대 전승을 살펴보기 전에 먼저 이것에 영향을 미친 칠십인역(LXX)을 살펴 볼 필요가 있다.
2.1.1. 칠십인역
칠십인역은 대개 히브리어 지명을 음역하거나 번역한 경향이 많지만 일 부 다른 지명으로 바꾸거나 당시 지명으로 옮긴 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 를요한다.8) 시내산의위치를잡는데기점이되는지역중하나가홍해인 데 이 지명은 마소라사본의 ‘얌 쑤프(@Ws-~y:)’를 칠십인역이 ‘헤 에루스라 살랏사(h` evruqra. qa,lassa)’로 옮긴데서 유래한 지명이다(출 13:18; 15:4). 현 재 홍해는 시내 반도의 서쪽에 있는 수에즈 만과 동쪽의 아카바 만에서 시 작해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예멘의 해안까지 이르는 좁고 긴 해역을 가리키 는 지명이다. 마소라사본의 ‘얌 쑤프’도 홍해 기적이 일어난 장소(출 13:18)와 아카바 만 유역을 가리키는 장소(출 23:31; 민 14:25; 왕상 9:26)로 동시에 사용되었다.9) 홍해 기적이 일어난 바다는 애굽에서 가까운 수에즈 만 부근 의 바다라는 것이 전통적인 견해10)이지만 마소라사본의 ‘얌 쑤프’와 주전3-4세기 무렵 칠십인역의 홍해가 어디였는지는 여전히 확실하지 않아 홍해 위치에 따라 출애굽 여정이나 시내 산 위치는 달라질 수 있다.
8) 마소라 성경(이후 MT)의 히브리어 지명과 칠십인역 그리스어 지명이 일치하지 않은 경우 의 예는 졸고, 이미숙, “오노마스티콘으로 본 유세비우스와 제롬의 성서지명 이해”, 「장신논 단」 46:4 (2014), 69-70 참고.
9) H. Ringgren, “~y”: , TDOT, VI, 91.
10) G. I. Davies, The Way of the Wilderness: A Geographical Study of the Wilderness Itineraries in the Old Testament (London; New Yor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6.
2.1.2. 요세푸스(Josephus)
1세기의 유대 역사가 요세푸스는 그의 책 Antiquities of the Jews에서 출애굽 사건을 길게 이야기하고 있지만 여정지들 위치에 대해서는 무관심한 편이다. 그는 시내 산이 좋은 목초지가 있지만 주변지역에서 가장 높고 경사 가 심해 사람이 접근할 수 없는 곳이라고 묘사할 뿐 위치에 대해서는 말하지 않았다(2:265; 3:76). 그나마 위치를 추정할 만한 언급도 모호한 편이다.그는 모세가 도망간 곳이 홍해 가에 위치한 미디안이라는 도시였다고 말한 다(2:257). 또한 이스라엘이 시내 산 여정을 앞둔 르비딤에서 아말렉과 싸 운 이야기를 하면서 아말렉의 거주지를 고보볼리티스와 페트라라고 말했 다(3:40). 이러한 언급들은 요세푸스는 시내 산의 위치를 아라비아 반도의 북서쪽에 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그가 말한 홍해가 어디인지 정확하지 않으며 고보볼리티스와 페트라는 르비딤에 대한 위치 확인이라기보다는 아말렉의 본거지를 설명하는 것으로 본다면 아라비아 반도의 시내 산을 주 장한다고 말하기 어렵다. 더욱이 그의 다른 저서 Against Apion에서는 시내 산의 위치를 “이집트와 아라비아 사이에” 있는 것으로 말하고 있다(2:25).이 구절은 시내 산을 좀 더 서쪽에 두는, 오늘날의 시내 반도에 위치를 두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2.1.3. 유대교 문헌
유대교 문헌들은 성경 지명의 위치 확인보다는 기원론적 설명에 더 관심 을 기울였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도움을 얻을만한 정보는 많지 않다. 그러 나 초기 랍비 유대교에서 성지를 순례한 흔적들은 남아있다. 한 유대 문헌 에는 유대인이라면 방문해서 경배해야 할 장소로서 ‘홍해를 건넌 장소, 요 단 강, 여호수아가 아말렉과 싸우는 동안 앉았던 돌’ 등이 거론되었다(B. Ber. 54a).11) 시내 반도에서 발견된 고대 히브리어 비문들과 메노라 그림은 유대인들이 시내 반도를 방문했다는 중요한 증거이며 유대인들이 이미 위 치를 확인한 장소들을 얼마 후에 기독교인들이 차지하였을 가능성이 높 다.12) 페쉬타를비롯해타르굼문헌들역시시내산위치에대해직접언급 하지는 않았지만 가데스바네아를 일관되게 페트라로 확인한다. 또한 타르 굼 예루살렘 I(Pseudo-Jonathan)에 따르면 민수기 10:33은 이스라엘이 시내 광야에서 출발해 바란 광야에 진을 친 것에 대한 12절의 주석으로 여기고 두 광야 사이가 로마 마일로 36마일이라고 덧붙였다. 이 수치는 2세기의 한 랍비의 주석에도 나오는 것으로 보아 두 광야가 매우 가까이 있으며 시내 반도 남부에 위치한다는 전승이 4세기 이전에 존재했음을 시사한다.13) 이 전승은 오늘날 바란 광야는 시내 반도 북쪽에 위치하여 시내 광야와 상당 히 떨어져 있는 것으로 알려진 것과 다르다.14)
11) Ibid., 14-15.
12) Ibid., 15.
13) Ibid., 23.
14) 민 33장은 시내 광야로부터 가데스에 이르기까지 무려 18개의 여정지를 거친 것으로 기록된다(33:16-36). 여기서 가데스는 친(!c)i 광야에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가데스가 바 란 광야에 위치한다는 언급도 나란히 나타난다(민 13:3, 26). 따라서 LXX 33:36은 가데스를 바란 광야에 위치한 것으로 다르게 읽는다. 민 33:36에 관한 한 데이비스(G. I. Davies)는LXX 읽기가 MT보다 낫다고 평가한다. Ibid., 4.
2.2. 기독교 전승
2.2.1. 유세비우스(Eusebius Caesarea)
4세기경 유세비우스의 오노마스티콘(Onomasticon)은 성경의 지명들에 대한 지지적(地誌的) 연구서로서 현재까지 남아 있는 가장 이른 저서이 다. 그는 성경에 나오는 700여 개의 지명을 다루면서 그중 320개의 지역들 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였다.15) 그러나 오노마스티콘은 이스라엘과 동요 르단의 지명들을 제외하고는 다른 지역 지명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는 큰 도움을 주지 못한다. 그는 출애굽 여정지들에 대해서는 대부분 “광야 의 이스라엘 진영”이라는 간단한 설명으로 대신했다. 심지어는 시내 산이 라는 항목조차 없다. 그가 가데스바네아의 위치를 아라비아에 있는 페트 라와 동일시했으며 그곳에 모세의 누이 미리암의 무덤이 남아있다고 언 급했는데16) 이는 타르굼의 문헌들과 일치하는 것으로 보아 단순히 인용 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는 호렙 산에 대해서는 “광야에 있는 아라비아의 시내 산 근처에 위치한다”고 말해 시내 산과 다른 산으로 설 명했다. 그러나 그의 오노마스티콘을 라틴어로 번역한 제롬은 시내 산과 바란 광야가 만난다는 지형적인 정보와 함께 시내 산과 호렙 산은 같은 산 이라고 교정하였다.17)
15) R. Steven Notley and Z. Safrai, Eusebius, Onomasticon: The Place Name of Divine Scripture(Boston; Leiden: Brill, 2005), xii.
16)Onomasticon, 112:8. 오노마스티콘의 숫자 표시는 쪽수(앞)와 행(뒤)을 표시하는 것으로 클 로스터만(E. Klostermann)의 비평판에 따른 것이다. E. Klostermann, Das Onomastikon der Biblischen Ortsnamen, Eusebius Werke III/1 (Heldesheim; Georg Olms Verlagsbuchhandlung, 1904; 1966).
17) G. S. P. Freeman-Grenville, Rupert L. Chapman III, and Joan E. Taylor, The Onomasticon by Eusebius of Caesarea (Jerusalem: Carta, 2003), 95-96.
2.2.2. 에게리아(Egeria)
시내 산이 시내 반도의 예벨 무사라는 전통적인 견해는 4세기 말경에 출애굽 여정지를 순례한 에게리아의 기행문이 가장 이른 기록이다. 에게리아 가 순례를 할 무렵에 시내 산으로 가는 여정지들은 잘 확립되어 있으며 숙 박 시설들과 수도사들의 체계적인 안내, 성지에서의 예식은 예벨 무사가 시내 산이라는 전통이 이미 정착되었음을 시사한다. 그녀는 시내 산 정상 을 등반한 후 이 산에 인접한 호렙 산에 가서 엘리야를 기념하는 교회를 방문했다. 이는 유세비우스처럼 시내 산과 호렙 산을 별개의 산으로 본 전통 이 존재했다는 의미이다. 그 외 그녀는 아론이 70명의 장로들과 섰다는 바 위, 떨기나무 주변에 세워진 교회와 수도사들의 수많은 은신처(cells), 아론 이 만든 금송아지를 가루로 만들어 마시게 했다는 장소(출 32:20), 기브롯 핫다와, 다베라, 바란 광야 등을 방문하고 기록에 남겼다.18)
18) J. Quasten, W. J. Burgardt, and T. C. Lawler eds., Egeria: Diary of a Pilgrimage, G. E. Gingras, trans. (New York; Mahwah: The Newman Press, 1970), 54-56.
2.3. 아랍 전승
주후 7세기에 형성된 이슬람 종교의 경전, 알 쿠란에서 시내 산은 한 수라(章)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곳의 위치에 대한 역사적인 언급은 없 다.19) 알 쿠란은 사우디아라비아에 소재한 메카를 ‘아브라함의 집’으로 칭하 며 그곳으로 순례를 명령하고 있지만(22:26-29), 시내 산과 관련해서는 아무 언급도 없다. 알 쿠란에서 시내 산과 관련한 구절은 언약을 한 장소(2:63)나 서약을 한 장소로서 시내 산을 찬양했다는 언급(2:93)과 모세와 관련짓는 언 급(19:52; 95:1-3) 외에는 그곳의 위치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지 않는다.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아랍 전승은 이슬람에 의지했다기보다는 후대에 생겨난 것으로 보인다. 시내 산에 대한 아랍 지역의 전승은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 비해 덜 알려졌으나 시내 산이 시내 반도가 아닌 아카바 만의 동쪽에 있다는 다른 견해를 전하고 있어 주목할 필요가 있다.20) 10세기의 아랍 지리 학자 이스타크리(Istakhri)와 무카드다시(Mukaddasi)는 시내 반도에 시내 산 이 있다고 언급했으며 12세기의 이드리시(Idrisi)는 “파란(바란의 아랍식 지명)으로부터 예벨 아트-투르(시내 산의 아랍식 지명)에 이른다”고 말해 전통 적인 견해를 따랐다.21) 그러나 13세기에 지리 사전(Geographical Lexicon)을 저술한 야쿠트(Yakut)는 시내 반도의 예벨 무사와 함께 시내 산의 위치에 대 한 다른 견해를 소개했다. 시내 산 위치에 대한 후보로 에일랏 근처나 시리 아의 한 산을 언급했으며 ‘투르 시나(Tur Sina)’라고 불리는 수많은 산들이 있어 기독교인들의 주장이 옳지 않을 수도 있다는 반론을 제기했다.22) 데이 비스(G. I. Davies)는 야쿠트의 반론은 십자군 시대가 시작되면서 이슬람과 기독교의 관계가 붕괴되는 과정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분석한다.23) 야쿠트 의 주장은 후대에 신명기 33:2를 근거로 파란에서 쿠란 계시가 알려졌고 파 란과 메카를 동일시함으로써 시내 반도로부터 아라비아로 이동하는 견해로 발전하게 되었다. 아랍 전승보다 더 이른 유대교와 기독교의 전승에서도 시 내 산의 위치에 대한 이견이 있었지만, 야쿠트와 그 이후의 아랍 지리학자들 은 점차적으로 지역 전승과 반기독교적인 논쟁의 영향 아래 그 전승을 보충 하고 변경했다.24)
18) J. Quasten, W. J. Burgardt, and T. C. Lawler eds., Egeria: Diary of a Pilgrimage, G. E. Gingras, trans. (New York; Mahwah: The Newman Press, 1970), 54-56.
19) A. Ali, trans., Al-Qur’ān: A Contemporary Transl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452-454.
20) 시내 산 위치를 위한 기독교 전승과 아랍 전승에 대해서는 P. Maiberger, Topographische und historische Untersuchungen zum Sinaiproblem (Freiburg, Schweiz: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 Vandenhoeck & Ruprecht, 1984) 참고.
21) G. I. Davies, The Way of the Wilderness, 49-51.
22) Ibid., 51.23) Ibid., 52.
24) Ibid., 55.2.4. 지도
고대와 중세의 문헌뿐만 아니라 지도도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줄수있는지살펴볼필요가있다.25) 현존하는지도중가장이른것은메 다바에서 발견된 6세기경의 모자이크 지도이다. 메다바 지도의 남쪽인 이 집트 나일 강 유역과 시내 산 지역의 축척이 심하게 왜곡되어 있고 남동쪽 부분이 소실되어 시내 산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렵다. 다만 르비딤 과 신 광야를 나일 강의 동쪽 지류 바로 건너편에 두고 있어 시내 산을 시내 반도에 두고 있다고 추측해 볼 수는 있다.
고대 지도이나 사본만 존재하는 지도로 2세기경 지도학의 아버지라 불 리는 프톨레마이오스는 아시아 편에 이스라엘을 포함한 아라비아 지역의 지명들을 위도와 경도로 표시했다. 그의 지도에 시내 반도는 왜곡되긴 했 지만 페트라라는 큰 지역 안에 포함되며 바란(PARANITAE)의 위치를 시내 반도의 남쪽에 두고 있는 것으로 보면 시내 산 표시는 없지만 그곳 주변으 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포이팅거(Poitinger) 지도는 원래 4세기경의 것이나 현존하는 사본은 13세기경으로 추정된다. 이 지도는 수에즈-시내 산-엘랏-가데스 도로와 엘랏 에서 동쪽으로 가서 페트라-모압-가나안에 이르는 도로를 표시했다. 도로 중심의 직사각형 모양의 지도라서 축척이 왜곡되기는 했지만 시내 산의 위 치를 알아볼 수 있다. 포이팅거 지도는 시내 산을 시내 반도의 북쪽에 위치 한 것으로 표시했다. 로마시대의 도로를 토대로 성지순례를 목적으로 제작 된 지도로 실제 활용도가 높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이 지도는 전통 적인 견해와 달리 북쪽에 시내 산의 위치를 둔 점이 주목된다. 16세기경 루 카스 크라나크(Lucas Cranach)의 지도에도 시내 산이 가나안 경계선에 닿아있으며 가데스바네아 근처에 표시되어 있다. 이 지도는 이스라엘과 요단 동편, 시내 반도를 그린 지도로 특별히 시내 반도와 에돔에 이르는 출애굽 여정도로와 주변 산세를 정밀하게 그린 것이 특징이다. 다른 지명들은 대 폭 생략되어 있고 시내 반도와 에돔 지경만 두드러지게 강조되었다.
또 다른 16세기의 지도로 라이크스타인(P. Laicstain)과 쉬롯트(C. Schrott)는 성지를 직접 답사하고 제작하였다. 주 지도는 이스라엘 땅을 일종의 대 축척 지도로 그렸고 왼쪽 위에 이집트의 나일 강 유역과 시내 반도와 네게 브를 포함한 이스라엘 땅을 전체 지역을 개관하는 소축척 지도를 실어 근 대적인 기술을 도입했다. 시내 반도는 왜곡되어 있기는 하지만 시내 산을 시내 반도의 남쪽에 뚜렷하게 표시했고 캐더린 수도원도 표시해 두었다.이 무렵 판 아드리콤(C. Van Adrichom)도 성지를 답사하고 동쪽 지향의 대 지도를 제작하였다. 출애굽 여정지는 나일 강-홍해-시내 산-바란 광야-가데 스바네아-엘랏까지 각 진영지를 등거리로 표시하고 엘랏 이후의 광야 여정 지들은 대폭 생략되어 몇 개의 주요 지역만 나타난다. 시내 반도 남쪽에 표 시한 시내 산을 제외하고 대부분의 여정지들은 지리적 위치를 확인했다기 보다는 문헌에 의지한 듯한 인상이 든다.
17세기에 빌렘 블라우(Willem J. Blaeu)는 서쪽 지향의 성서 지도를 제작 하고 레바논에서 나일 강 델타 지역까지 주요 지명들을 표시했다. 이 지도 에서는 시내 산과 호렙 산이 각기 다른 산으로 시내 반도 남부에 표시되어 있다. 또한 바란 광야가 시내 산 아래쪽에 위치해 있다. 19세기에 히브리어 로 적힌 아비그돌 말코프(Avigdor ben Rabbi M. Malkov)의 성지 지도도 시 내 산 옆에 작은 산을 호렙 산으로 표시해 두었다. 아카바 만과 수에즈 만을‘얌 쑤프’로 동일하게 표시했으며 에담, 수르, 신, 시내, 바란 광야를 구역별 로 나누어 위치를 표시했고 엘랏 동쪽의 아라비아를 미디안 땅으로 표시한 것이 특징이다.
25) 여기에서 언급된 지도들은 A. Thishby, ed., Holy Land in Maps (Jerusalem: The Israel Museum, 2001)에 실려 있는 것들이다.
2.5. 고대 및 기타 전승의 문제
성경 지명들의 위치를 확인할 때 요세푸스와 유세비우스 등의 증언은 매 우 중요하다. 현존하는 자료 중 성경 지명들에 대한 가장 이른 문헌이기 때 문이다. 그러나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출애굽 여정지들에 관한 한 그들 의 문헌은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들에게도 시내 산의 위치는 확실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의 문헌에 의지해 시내 산의 위치를 확 정하는 근거 중 하나로 삼는 것은 옳지 않다.26)
칠십인역 지명 역시 후대에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중요한 근거로 사용 되었다. 커크슬레이저(A. Kerkeslager)는 아라비아 반도에 시내 산이 있다 는 가장 중요한 근거로 칠십인역이 미디안을 ‘마디암 도시’로 읽은 것을 든 다(왕상 11:18). 그는 이 마디암을 이드로의 고향으로 알려진 알 바드(Al-Bad)와 동일시하고 이 지역에 시내 산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7) 칠 십인역의 지명을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점은 칠십인역 안에서 같은 지명 이 다른 그리스어 변형으로 나타나거나 당시 지명으로 바뀐 경우도 있다는 것이다.28) 칠십인역의 ‘마디암 도시’는 에돔 왕자 하닷과 관련되어서 한번 나타나고 그 외는 ‘마디암’으로만 나타난다. 유세비우스도 마디암을 도시 로 설명하면서 홍해 동쪽의 사라센 사막, 아라비아에 있다고 하였다. 다른 한편으로 그는 마디암이라는 이름을 가진 다른 도시가 아르논과 에로폴리 스(Aeropolis) 근처에 있다고 전한다.29) 그러므로 칠십인역 번역자가 시내 산의 위치를 염두에 둔 것인지는 한 구절만이 아니라 칠십인역 안에서 미 디안이 어떻게 번역되었는지 종합적으로 살펴봐야 할 것이다.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은 시내 산의 위치를 대체로 시내 반도에 두고 있기 는 하나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통일된 견해가 없다. 유세비우스의 오노마 스티콘이 이후 기독교 성지순례에 큰 영향을 미친 것이 사실이지만 시내 산 의 위치에 대한 언급이 없기 때문에 에게리아의 시내 반도 남부의 시내 산 순례기는 유대교나 기독교의 다른 전승에 의지한 것으로 보인다. 시내 산이 아라비아 반도에 있다는 전승은 유대교 안에서도 있었지만 비교적 후대이 며 주로 반 기독교적인 논쟁 아래서 발전해 아랍 지역에서 우세하다. 그러므 로 고대 전승 자료들을 들어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하기에는 근거가 미약하 다. 고대의 지도 자료들 또한 거의 성경이나 고대 전승에 의지해 시내 산의 위치를 표시했기 때문에 위치확인의 중요한 근거로 삼기에는 미흡하다.
26) 주로 시내 산의 위치가 아라비아 반도에 있다고 주장하는 이들이 요세푸스나 유세비우스 를 언급한다. 김승학은 출처가 불분명한 채로 그들을 여러 번 언급했다. 김승학, 떨기나무, 401; 떨기나무 2,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4), 112-113, 158, 324. 강훈기 역시 출처 를 밝히지 않고 2015년 3월 1일자 「크리스찬투데이」 에서 한국이스라엘학회가 주관한“제8차 세미나: 시내산은 어디인가”에서 논의된 주장들에 반론을 제기하며 요세푸스와 유세비우스는 시내 산이 아라비아 반도의 북서쪽에 있는 것으로 믿었다고 한다.]
27) A. Kerkeslager, “Mt. Sinai in Arabia”, Bible Review 16:2 (2000). http://fontes.lstc.edu/~rklein/ Documents/mtsinai.htm (2016. 5. 2).
28) 고센은당시지명인~Hrwwnpolij(창46:28),혹은다른변형인Gesem(창45:10)으로나타난다.
29) Onomasticon, 124:8.
2.6. 근대 이후
2.6.1. 탐사의 시대(19c~20c 초반)
근대 이전까지 시내 산의 위치를 찾는 일은 고대 전승이나 문헌 자료에 의지한 경우가 많으며 출애굽 여정지들을 표시한 지도 역시 그러한 경향을 보여준다. 그러나 19세기이후 학자들은 성지순례가 아닌 학문적 탐사를 목 적으로 팔레스틴과 이집트를 방문했다. 로빈슨(E. Robinson)은 아랍식 지명 에 남아 있는 성경 지명의 흔적들을 찾는 방법을 시도했으나 때로는 베두 인 안내인의 정보에 의지해 오류를 범하기도 했다.30) 팔머(E. H. Palmer)는 군인이자 과학자로서 처음으로 시내 반도의 지리를 조사하고 지도와 사진 을 남기는 근대적인 방법론을 사용했다.31) 고고학자 페트리(W. M. F. Petrie)는 세르빗 엘카딤을 발굴하고 터키석 광산과 신전, 원-사이나이(proto-Sinai)어 비문을 발견하여 이집트와 가나안의 관계를 새롭게 밝혔다.이들은 출애굽 여정지들의 일부에 대해서는 각기 다른 장소를 주장하기도 했으나 대부분 시내 산을 시내 반도 남부에 있는 예벨 무사나 세르발 산으 로 확인하고 이를 중심으로 출애굽 경로를 제시했다.32)
다른 한편으로 시내 산의 위치를 시내 반도가 아닌 미디안 땅이나 에돔 지역에서 찾으려는 학자들도 있다. 베케(C. Beke)는 이스마엘 후손들과 미 디안 족을 같은 계열로 보며 시내 산 위치의 전제 조건으로 화산 활동이 있 었던 지역을 찾았다. 그는 지역 주민의 전승과 모스크 사원, 비문 등을 증거 로 아카바만 북동부에 위치한 바기르(Baggir) 산을 제시했다.33) 무실(A. Musil)도 가데스바네아를 페트라와, 르비딤은 아르 라피드(ar-Rafid) 오아시 스와 동일시했다.34) 루카스(A. Lucas)도 고대 도로를 조사하고 이스라엘 백 성이 급히 탈출한 상황을 고려할 때 지름길을 택했을 것으로 보고 중부의 에트 티(et-Thi) 고원-엘랏-바기르 산(시내 산)에 이르는 출애굽 경로를 제시 했다.35) 니엘슨(D. Nielsens)은 시내 산이 셈족의 성지였으며 달신과 관계 있다는 것을 아랍 비문을 들어 에돔 지역에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36)
30) E. Robinson, Biblical Researches in Palestine, Mount Sinai and Arabia Petraea (London: John Murray, 1838).
31) E. H. Palmer, The Desert of the Exodus (New York: Harper & Brothers, 1872).
32) S. C. Bartlett, From Egypt to Palestine Through the Wilderness and the South Country (New York: Harper, 1879); J. L. Burckhardt, Travels in Syria and the Holy Land (London: John Murray, 1822).
33) C. Beke, Sinai in Arabia and of Midian (London, 1878).
34) A. Musil, The Northern Hegaz (New York: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 1926).
35) A. Lucas, The Route of the Exodus of the Israelites from Egypt (London: Edward Arnold & Co., 1938).
36) D. Nielsens, The Site of the Biblical Mount Sinai (Copenhagen: Busck, 1928)
2.6.2. 과학적 탐구의 시대(20c 후반)
시내 반도에 대한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탐구는 1967년에 벌어진 6일 전쟁을 계기로 1982년까지 이스라엘의 각 분야 전문가들이 15년 동안 이 지 역의 지리, 지질 및 생태학적 환경에 대한 집중적인 조사와 고고학적인 발 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조사를 통해 선사시대 이래 거주해 온 고대인들 의 문명과 존재를 밝혀내는 일에 소기의 성과가 있었지만 시내 산의 위치 및 출애굽 여정지들을 확인해 줄 만한 단서나 유물, 유적지들이 전혀 발견 되지 않았다. 남부와 중부 시내 반도의 발굴 조사는 출애굽 연대에 부합하 는 후기 청동기 유적지가 없으며 새로운 인구가 유입되었다는 증거가 없다 고 결론이 났다.37) 다만 쿤틸렛 아주르드의 건물에서 발견된 큰 항아리에 새겨진 ‘사마리아의 야훼’ 비문은 쿤틸렛 아주르드가 시내 산으로 가는 순 례길 도중에 있는 숙소라는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제시되기도 한다.그 외에 시내 반도 남부는 붉은 용암지대로 인해 수자원이 풍부해 경작이 가능한 지역임이 밝혀졌다. 시내 반도 남부가 상당한 인구를 지탱할 수 있 는 지리적 환경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은 그곳이 출애굽 여정지들의 유력한 후보지라는 가설을 뒷받침해 준다.38) 그러나 동시에 비잔틴 시대에 대단위 수도원 정착지들이 성장하고 발전함에 따라 출애굽의 남부 여정이 탄생되 고 시내 산의 위치도 그때 정해졌다고 해석되기도 한다.39)
이러한 시내 산 반도의 대대적인 생태학적인 환경 탐사의 결과는 이스라 엘의 지리학자 하르 엘(M. Har El)로 하여금 출애굽 여정지들에 대해 새로 운 접근을 시도하게 했다.40) 그는 전통적인 시내 산으로 여겨진 예벨 무사 와 경로를 지지해 줄 만한 연구 결과가 없다는 점과 이스라엘의 탈출 목적 인 “사흘 길을 가서 ... 하나님께 제사” 드릴 만한 장소(출 5:3)인 동시에 아 론이 모세를 재회한 장소(출 4:27)라면 이집트에서 최대한 가까워야 한다 는 전제를 가지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했다. 무엇보다 그는 시내 반도라는 광야의 특성과 베두인의 습성, 수자원, 식생, 지리, 지질적인 광범위한 조사 를 토대로 이전의 탐사 결과들을 비평하고 지리학적인 접근으로 출애굽의 북부 경로를 새롭게 제시했다.41) 그에 따르면 성경과 주요 여정지들의 지리학적인 여건에 부합하는 출애굽 경로는 시내 반도의 북부이며 시내 산은 예벨 신 비셰르(Sinn Bisher)라는 것이다.
37) I. Beit Arieh, “Fifteen Years in Sinai: Israeli Archaeologists Discover a New World”, BAR10:4 (1984),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이 글과 이후 이 시디롬에서 참고한 BAR의 글들은 원 잡지의 쪽수가 표시돼있지 않아서 정확한 인용 쪽수를 밝힐 수 없다.
38) I. Beit Arieh, “The Route Through Sinai: Why the Israelites Fleeing Egypt went South”, BAR14:3 (1988),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39) A. Perevolotsky and I. Finkelstein, “The Southern Sinai Exodus Route in Ecological Perspective”, BAR 11:4 (1985),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40) M. Har-El, Sinai Journeys (San Diego: Ridgefield Publishing Company, 1983).
41) Ibid.,357의지도참고.
2.6.3. 최근의 논쟁(21c)
시내 산의 위치에 대한 학계의 논의로는 하르 엘 이후 주목할 만한 연구 가 없다. 최근의 시내 산 논쟁은 학계에서 대중으로 옮겨간 듯하다. 새로운 장소를 시내 산으로 주장하는 사람들이 등장해 강연이나 유투브, TV 등의 매스 미디어를 통해 대중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이태리의 고고학자 아나 티(Anati)는 네게브에 위치한 카르콤 산 주변에서 발견된 수많은 암각화를 증거로 그곳을 시내 산으로 주장한다.42) 우리나라의 시내 산 위치에 대한 논쟁에 영향을 준 이들은 미국의 아마추어 탐험가들이다.43) 그들은 미디안 땅에 시내 산이 있어야 한다는 크로스(F. M. Cross)와 커크슬레이저 등의 학 자들의 견해에 동조하여 아라비아 반도 북서쪽에서 가장 높은 알 라오즈 산을 방문하고 시내 산으로 확신하였다. 떨기나무의 저자는 사우디아라 비아에 거주했을 때 알 라오즈 산을 탐방한 경험을 토대로 그들의 주장을 재확인하였다.
42) 그의 주장에 대한 가장 최근의 논쟁은 H. Shanks, “The Case for Har Karkom and the Case for Saudi Arabia”, BAR 40:2 (2014), 31-41, 66 참고.
43) R. Cornuke and D. Halbrook, In Search of the Mountain of God: The Discovery of the Real Mt. Sinai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0)
2.7. 근대 이후 최근 논쟁의 문제
근대 이후 출애굽 여정의 필수적인 방법론으로 대두된 탐사는 종종 지역 전승에 의존한 경우가 있어 문제를 드러낸다.44) 시내 반도 지역과 아라비 아 반도를 탐사한 학자들의 대부분은 아랍어에 대한 한계와 베두인 안내인 들에 의지해 여행을 했기 때문에 지역 전승과 그들의 정보에 영향을 받은 경우가 많았다. 베두인 안내인들은 종종 지역 전승과 상상한 이야기를 섞 어 전하기도 하고 학자들에게 시내 산에 대한 잘못된 정보를 팔기도 했 다.45) 로빈슨은 시내 반도에서 아인 하와라(Ein Hawwarah)의 물이 가장 쓰 다는 베두인 안내인의 정보에 따라 이곳을 마라와 동일시했고46) 베케는 미 디안 땅에서 화산 현상의 흔적을 지닌 산을 찾던 중 한 지역 주민이 바기르 산이 신성한 산이라고 알려준 정보를 따라 시내 산으로 확신했다.47)
최근에 알 라오즈 산을 시내 산이라고 확신하는 사람들도 지역 주민의 전승에 의지한 경우가 많다. 대표적인 예를 든다면, 그들은 18세기 토머스 키친의 지도에 나타난 아라비아 반도 동쪽 해안지방에 위치한 것으로 표시 된 이드로의 동굴과 모세의 우물이라는 아랍 지명에 의존하였다. 토머스 키친도 지역 주민의 전승을 근거로 지도를 작성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들은 현재 지역 주민들이 이드로 동굴 뒤편에 있는 산맥을 시내 산(혹은 호렙 산, 모세산)이라 부르고 있다는 것을 근거로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한다.48)시내 반도와 아라비아 반도에 흩어져 사는 베두인이나 지역 주민들이 그곳 의 원주민들이 아닌 경우가 많으며 성경보다는 근거 없는 지역 전승인 경 우도 많기 때문에 그들의 정보를 신중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44) 근대 이후 최근 논쟁에 대해서는 주요 학자들의 견해를 비평적으로 검토한 M. Har-El,Sinai Journeys, 136-297 참고.
45) Ibid., 2-3.
46) Ibid., 180-181.
2.8. 성경 전승의 문제
지금까지 시내 산의 위치를 두고 고대 전승에서부터 최근까지 다양한 견 해들이 나왔지만 여전히 결론을 내리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스라엘의 고고 학자 핀켈슈타인(I. Finkelstein)은 근대 이후 150년의 탐사와 연구가 있었지 만 그때보다 지금 이스라엘의 광야 유랑과 출애굽에 대해 더 아는 바가 없 다고 자탄했다.49) 이는 시내 산 위치 연구의 출발점인 성경 본문 안에서도 출애굽 여정과 관련해 전승이 일치하지 않기 때문이다. 애굽에서 탈출해 시내 광야에 도착하기까지 여정지들은 출애굽기 12-19장, 그리고 출애굽 여정지의 최종 목록이라고 할 수 있는 민수기 33:5-15가 대체로 일치한다(<표 1> 참고). 그러나 공교롭게도 시내 산의 위치를 파악하는 데 중요한 일 정인 시내 광야에서 엘랏까지의 여정을 기록한 민수기 33장의 목록은 민수 기 10-11장과 신명기 기록(9:22; 10:6-7; 2:8)과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많다.특히 민수기 33장에만 나타나는 지명들이 있는데 이것들은 구약 전체에서 여기에만 언급된 희귀 지명들이다(18하-29, 34).
릿마(18하), 림몬베레스(19), 립나(20), 릿사(21), 그헬라다(22),세벨 산(23),
하라다(24), 막헬롯(25), 다핫(26), 데라(27),밋가(28), 하스모나(29), 아브로나(34)
위 지명들은 시내 산 이후 엘랏까지 구간에 포함되어 있으므로 이것들의
47) Ibid., 248.
48) 김승학, 떨기나무 2, 113-118.
49) I. Finkelstein, “Raider of the Lost Mountain: An Israeli Archaeologist Looks at the Most
Recent Attempt to Locate Mt. Sinai”, BAR 14:4 (1988),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위치가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중요하다.
시내 광야에서 엘랏까지의 여정지들이 무려 21개의 지명들을 포함하고
있는 반면 엘랏에서 가데스바네아까지 이르는 구간에는 여정지들이 없다.마지막 구간인 가데스바네아에서 모압 평지까지는 에돔 지역을 관통하는 여정(민 33:41-42)과 그 지역을 통과하지 못하고 우회해서 갔다는 언급(민21:10-22:1; 신 2:1-3:29)으로 차이를 보인다(<표 1> 참고). 민수기 안에서 각 기 다른 두 전승과 신명기의 출애굽 여정은 서로 조화되기보다는 다른 전 승에서 비롯된 차이로 보게 하고 세 본문의 관계와 차이는 시내 산을 비롯 한 출애굽 여정지들의 위치를 확인하는 일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표1 출애굽여정지비교>(진한서체는세본문들중각기일치하지않는지명)
주요 구간 | 출 12-19장 | 민 10:12-21:20 | 민 33장 | 신 1-10장 |
1.애굽-시내 광야 | 12:37 라암셋, 숙곳13:20 에담 15:22 수르 광야, 23마라27엘림 16:1신광야 17:1 르비딤19:1 시내 광야 시내산 | 5 라암셋, 숙곳6에담 마라, 엘림 10홍해가 11신광야 | 1:2 “호렙 산-세일 산- 가데스바네아 까지 열하루 길” | |
2.시내광야 -엘랏 | 10:12 바란 광야11:3 다베라 | 16 기브롯 핫다아와18a 하세롯 23 세벨 산, 24 하라 다,25막헬롯,26다 핫,27데라 | 9:22 다베라, 맛사,기브롯 핫다와 |
시내산의위치에대한논쟁:문제와과제 / 이미숙 119
나
34 아브로나 35 에시온게벨 | 10:6 모세라 브에롯 브네야아간 7 굿고다 욧바다2:8엘랏과에시온게벨 | |||
3. 엘랏-가데 스 바네아 | 13:26 바란 광야 가 데스 | 36 신(친) 광야 가데 스 | 1:46 가데스 | |
4. 가데스바 네아-모압평 지 | 14:25 홍해 길을 따 라 광야 20:1 신(친) 광야 가데스 21:10 오봇 16 브엘 20 비스가 산 꼭대 기 22:1 모압 평지 | 37호르산41 살모나42 부논 43 오봇 45 디본갓 47 느보 앞 아바림 산 48 모압 평지(49 벧 여시못-아벨싯딤) | 2:1 홍해 길로 광야 세일 산 8 아라바 13 세렛 시내 24 아르논 18 모압 변경 아르 3:29 벳브올 맞은 편 골짜기 |
3. 과제
근대 이후 최근까지 시내 산 및 출애굽 여정지들을 찾으려는 탐사와 오 랜 연구, 논쟁이 수많은 시내 산들과 여러 출애굽 경로들을 탄생시켰다. 그 러나 이 과정을 통해 성경 지명들을 오늘날 확인할 때 어떤 방법론이 사용 되어야 하는지 일반적인 원리가 세워졌다.50)
첫째, 역사, 문헌적 연구로써 성경과 고대 문헌들의 지리적인 본문들이 사용되어야 한다.
둘째, 고고학 적인 발굴을 통해 입증되어야 한다. 셋째, 지명 연구로써 고대 지명이 현대 지명에 보존되어 있는지를 조사해야 한다.
문제는 성경 지명들의 위치를 확인하려 할 때 이 세 가지 조건에 모두 부합되는 경우는 그리 많지 않은 것 이 사실이며 출애굽 여정의 경우도 예외가 아니었다. 더욱이 시내 산의 경 우 고대 전승과 문헌들이 위치를 확인해 주지 않으며 아랍 지명이 성경의 지명을 보존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순히 지역 주민의 전승과 연관된 경우도 있으므로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 그렇다면 시내 산의 위치 확인 및 출애 굽 여정 연구를 위해 남아 있는 새로운 과제는 무엇인가?
50) Y. Aharoni, The Land of the Bible: A Historical Geography, A. F. Rainey, tran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9), 124-127; I. Finkelstein, “Raider of the Lost Mountain: An Israeli Archaeologist Looks at the Most Recent Attempt to Locate Mt. Sinai”; 앤 손 F. 레이니, R. 스티븐 나틀리, 성경 역사, 지리학, 고고학 아틀라스, 강성열 역 (서울: 이 레서원, 2010), 15-30.
3.1. 성서해석학적 과제
성경은 시내 산의 위치를 정확하게 말해주고 있지 않으며 출애굽 여정 자체에 대해서도 다른 전승들을 전하고 있다. 출애굽 여정의 주요 구간을 네 구간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면 본문 간의 차이점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 난다. 첫째 애굽-시내 광야 구간에서 시내 산까지의 여정을 담고 있는 출애 굽기 12-19장에 없는 지명 돕가,51) 알루스가 민수기 33장에 나타난다(33:13). 더욱이 신명기는 시내 산 대신 호렙 산이라는 지명을 거의 일관되 게 사용한다.52) 둘째 시내 광야-엘랏 구간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민수기 33장에만 등장하는 지명이 13개에 이른다. 셋째 가데스바네아-모압 평 지 구간에서 민수기 21장은 4개의 지명(브엘, 맛다나, 나할리엘, 바못)이, 민 수기 33장도 4개의 지명(살모나, 부논, 디본갓, 알몬디블라다임)이 각각 새 롭게 나타난다. 따라서 출애굽기, 민수기 10-21장, 민수기 33장, 신명기가 출애굽 여정에 대해 각기 다른 전승을 전하고 있다는 여지를 남긴다. 학자 들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문서 전승(JEDP)이나 일회적인 출애굽이 아닌 다수에 걸친 출애굽 과정으로 설명하기도 한다.53) 이러한 논쟁은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 어떤 본문이 더 적합한지를 선 택해야 하는 문제를 야기 시킨다.
벨하우젠 이후 많은 학자들은 민수기 33장의 여정 목록이 여러 자료를 합친 후대의 작품이라는 가설을 내세웠다. 특별히 민수기 20-21장과 신명 기 1-2장은 동일한 전승으로 민수기 33장 목록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 일 반적인 견해였다.54) 따라서 시내 산의 위치를 비롯한 출애굽 여정을 연구 하기 위해 민수기 33장 목록은 중요한 본문으로 다루어지지 못했다. 그러 나 최근의 연구 경향은 민수기 33장 목록이 단일 목록으로서 역사적으로 앞섰다는 견해가 점차 우세해지고 있다.55) 만일 민수기 33장의 출애굽 여정 목록이 다른 본문에 영향을 미쳤다면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하는 데 있 어 우선적인 본문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시내 산을 언급하고 있 는 다른 본문들도 일부 구절만 볼 것이 아니라 출애굽 전체의 문맥 안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다른 전승의 본문들도 민수기 33장 목록과 어떤 상호관계 에 놓여 있는지를 이해한 토대 위에서 출발해야 할 것이다.
51) LXX에서 돕가는 라파카(Ραφακα)로 나타나는데 이는 히브리어 달렛(ד)을 레쉬(ר)로 잘못 음역한 것으로 보인다. LXX의 민 33장 지명들 중 MT와 다른 의미 있는 차이는 많지 않아 서 둘은 대체로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LXX가 MT와 다르게 읽은 경우는 세 가지이다. 첫 째, 다른 지명으로 읽은 경우는 에담(33:6-7) 대신 보싼(Bουθαν)으로, 하스모나(33:29)는 셀모나(Σελμονα)로 읽었다. 둘째, 히브리어 지명을 상응하는 그리스어 단어로 번역한 예 는 마라(33:9)와 기브롯 핫다와(33:16)이며 셋째, 당시 그리스어 지명으로 바꿔 부른 경우 인 홍해가 있다(33:10-11).
52) 신 1:2, 6, 19; 4:10, 15; 5:2; 9:8; 18:16; 29:1. 신명기에서 시내로 나오는 경우가 있기는 하나
시내 산을 가리키는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33:2), 그밖에 시내 산을 바란 산으로도 부른 예가 있기는 하나 본문에서 두 산을 동일시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신 33:2; 합 3:3). 시내 산과호렙산의관계에대해서는고대근동학의관점에서해석한주원준, 구약성경과신 들: 고대근동신화와 고대 이스라엘의 영성 (서울: 한님성서연구소, 2012), 81-84; 정현호, “시내 산 위치에 대한 성서적 고찰”, 35-37. 이와 유사하게 출애굽 여정지들의 지명을 두고 해석학적 관점에서 의미를 찾는 연구는 김창주, “출애굽 초기 경로와 지명 톺아보기-믹돌,바알스본, 비하히롯-”, 「성경원문연구」 35 (2014), 7-23 참고.
53) 민 33장 목록의 기원과 편집에 대한 간략한 개관으로는 필립 J. 붓드, 민수기, 박신배 역, WBC (서울: 솔로몬 출판사, 2004), 567-572, 576-578 참고.
54) G. I. Davies, The Way of the Wilderness, 58-61; J. Simons, Th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Texts of the Old Testament (Leiden: E. J. Brill, 1959), 231-266.
55) 크로스는 출애굽기-민수기의 여정 이야기는 민 33장 목록에서 이끌어낸 것으로 주장한다.그 증거로서 12개의 여정 표제(출 12:37a; 13:20; 14:1-2; 15:22a; 16:1; 17:1a; 19:2; 민 10:12; 20:1a; 20:22; 21:10-11; 22:1)는 민 33장 목록에서 유래한 것으로 관찰한다. F. M. Cross,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Essays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308-317. 칼라이는 민 33장 목록의 양식이 통일되어 있고 다른 본문들은 양식이 뒤섞여 있어 전자가 후자에 영향을 준 증거로 본다. Z. Kallai, “The Wandering-Traditions from Kadesh-Barnea to Canaan: A Study in Biblical Historiography”,Biblical Historiography and Historical Geography (Frankfurt am Main; New York: Peter Lang, 1998), 165-174. 밀그롬은 고대근동의 군사 원정을 기록한 문헌과 민 33장을 비교하 여 민 33장은 완성도 있는 광야 여정 목록이라고 주장한다. J. Milgrom, Numbers,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New York: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0), 497-498. 데이 비스는 민 33장의 네 구간의 여정은 애굽과 아라비아 지역을 오고가는 고대 도로들과 대략 일치하므로 여행자들이 사용하던 목록이라고 본다. G. I. Davies, The Way of the Wilderness, 71-91. 앤손 레이니도 군사적이거나 상업적인 목적을 가진 대상들의 여행 안내서일 가능성을 제기한다. 앤손 F. 레이니, R. 스티븐 나틀리, 포이에마 성서지도, 이미숙 역 (서울: 포이에마, 2012), 61.
3.2. 성서지리적 과제
출애굽 여정지들의 가장 중요한 지리적 특징은 광야이다.56) 출애굽 여정 지에는 광야 이름이 유독 많이 나타난다. 이스라엘이 거쳐 간 광야는 에담,수르, 신, 바란, 신(친) 광야, 모압 광야 등이다. 예레미야는 광야를 “광야 곧 사막과 구덩이 땅, 간조하고 사망의 음침한 땅, 사람이 다니지 아니하고 거 주하지 아니하는 땅”이라고 잘 묘사했다(렘 2:6). 광야는 사막과 같은 황무 지로 경관이 거의 똑같을 텐데 광야의 이름이 다른 이유가 무엇일까? 시내 반도는 실제로 다양한 지질 구조를 가진 복합 지형을 나타낸다. 시내 반도 는 남부를 꼭지점으로 한 삼각형 모양인데 북쪽은 누비안 사암 지역이며 중부는 석회암 지질층의 고원지대이고 남부는 화강암 지대로 높은 산악지 대와 해안의 사구지대로 형성되어 있다. 만일 이 광야를 시내 반도 안에 있 다고 본다면 광야 이름이 다른 것은 지질층에 따라 다른 경관을 보인 지역 들을 구분했던 것으로 이해할 만하다. 일반 정착지들의 거주 환경과 완전 히 다른 광야 여정지들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시내 반도와 아라비아 지역에 대한 철저한 지리적, 생태학적, 인류학적, 기후, 수자원 등의 조사가 필요하 다. 또한, 고대 도로에 대한 성경 외의 문헌들에 대한 조사와 논란의 중심에 서 있는 미디안, 아라비아, 이집트, 가나안 땅의 경계에 대한 역사 지리적인 연구도 함께 검토되어야 한다.
56) 크로스는 출애굽 여정지들이 ‘midbar PN’, 즉 광야 이름에 따라 체계적으로 배열되었다고 관찰하였는데 이는 출애굽 여정지들과 광야의 밀접한 관계를 반영한다. 또한 그에 따르면 민 33장 목록에만 나타난 희귀 지명들은 네 개의 광야에 각각 속해있다. a) 신 광야: 돕가와 알루스, b) 바란 광야: 13개의 지명(민 33:18b-30a, 34b), c) 신(친) 광야: 살모나, 부논 d) 모 압 광야: 디본갓, 알몬디블랏다임, 아바림 산. F. M. Cross,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308-309.
3.3. 고고학적 과제
근대에 팔레스틴을 포함한 중동지역에 탐사가 시작되면서 많은 학자들이 아랍어의 한계에 부딪혀 지역 주민의 안내와 정보에 제한되는 경우가 많았다. 그동안 유대교와 기독교 전승에 비해 아랍의 전승이 상대적으로 소외되고 연구가 덜 된 것이 사실이다. 고대 아랍 문헌 자료에 대한 접근이 필요하며 아라비아 지역의 고고학적인 연구 결과를 참고해야 하며 발굴도 해야 할 것이다. 시내 반도에 대한 대대적인 탐사가 출애굽 여정에 대해 직 접적인 증거를 제공해 주지는 않았지만 그곳에 살았던 인류의 문명과 문화 를 밝히고 이집트와 가나안의 관계를 조명할 수 있는 놀라운 성과를 얻었 다. 그와 같이 아라비아 지역의 고고학적인 연구와 발굴은 미지의 민족으 로 남아있는 미디안 족의 문명과 문화를 밝혀 이스라엘 민족과 주변 요단 동쪽의 민족들과의 관계를 이해하고 출애굽 시대와 여정에 대한 새로운 관 점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4. 맺는말
기독교인이 처음으로 순례를 목적으로 시내 반도에 들어간 때는 출애굽 시대로부터 1500여 년이 지난 뒤였고 우리는 다시 출애굽 시대로부터 3200여 년이 경과한 시점에 살고 있다. 이스라엘은 시내 반도 혹은 아라비아 반 도를 40여 년 거주했지만 광야의 특성상 물과 식량 자원을 찾아 유랑하며 살았다. 거주 흔적을 거의 남기지 않은 유목민의 습성에 따른 공간적 제한 과 오랜 시간 경과에 따른 시간적 제약은 출애굽 여정의 증거들이 미약할 수록 더욱 신중하고 명백한 방법론을 필수적으로 요구한다. 우리가 시내 산의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역사적, 종교적, 신학적인 의미와 가치를 고려한다면 “분명한 답이 없는 복잡한 문제를 다룰 때 요구되는 고 통스러운 작업을 외면한 채 단순한 해결책을 제시해서는 안 된다”는 핀켈 스타인의 경고57)를 기억할 필요가 있다.
57) I. Finkelstein, “Raider of the Lost Mountain: An Israeli Archaeologist Looks at the Most Recent Attempt to Locate Mt. Sinai”
<참고문헌>(References)
강후구, “시내 산은 어디인가?: 시내 산 위치에 대한 고고학적 고찰”,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51-59.김성, “가데스 바네아로부터 모압 평지까지: 출애굽의 후반부 루트와 고대 이스라엘의 영토관”, 「현대와 신학」 19 (1994), 89-122.
김성, “출애굽의 루트와 이집트의 광산개발”, 「신학지평」 12 (2000), 79-84.김성, “시내 산의 지리적 위치에 관한 연구”, 「구약논단」 10 (2001), 27-42.김승학, 떨기나무, 서울: 두란노, 2007.
김승학, 떨기나무 2, 서울: 생명의 말씀사, 2014.
김창주, “출애굽 초기 경로와 지명 톺아보기-믹돌, 바알스본, 비하히롯-”, 「성경원문연구」 35 (2014), 7-23.
정연호, “시내 산은 어디인가?: 성서지리학적 접근”,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1-33.
정현호, “시내 산 위치에 대한 성서적 고찰”,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35-48.
이미숙, “오노마스티콘으로 본 유세비우스와 제롬의 성서지명 이해,” 「장신논단」 46:4 (2014), 61-88.
임미영, “시내 산은 어디인가?: Appendix”, 시내 산은 어디인가, 한국이스라엘학회 제8차 학술세미나, 2014. 12. 4., 60-65.
주원준, 구약성경과 신들: 고대근동신화와 고대 이스라엘의 영성, 서울: 한님성서연구소, 2012.
앤손 F. 레이니, R. 스티븐 나틀리, 성경 역사, 지리학, 고고학 아틀라스, 강성열 역, 서울: 이레서원, 2010.
앤손 F. 레이니, R. 스티븐 나틀리, 포이에마 성서지도, 이미숙 역, 서울: 포이에마, 2012.
필립 J. 붓드, 민수기, 박신배 역, WBC, 서울: 솔로몬 출판사, 2004.
Aharoni, Y., The Land of the Bible: A Historical Geography, A. F. Rainey, Trans., Philadelphia: The Westminster Press, 1979.
Ali, A., trans., Al-Qur’ān: A Contemporary Translation,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0.
Bartlett, S. C., From Egypt to Palestine Through the Wilderness and the SouthCountry, New York: Harper, 1879.
Beit Arieh, I., “Fifteen Years in Sinai: Israeli Archaeologists Discover a New World”, BAR 10:4 (1984),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Beit Arieh, I., “The Route Through Sinai: Why the Israelites Fleeing Egypt went South”, BAR 14:3 (1988),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Beke, C., Sinai in Arabia and of Midian, London, 1878.
Burckhardt, J. L., Travels in Syria and the Holy Land, London: John Murray,1822.
Cornuke, R. and Halbrook, D., In Search of the Mountain of God: The Discovery of the Real Mt. Sinai, Nashville: Broadman & Holman Publishers, 2000.
Cross, F. M., Canaanite Myth and Hebrew Epic: Essays in the History of the Religion of Israel,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80.
Davies, G. I., The Way of the Wilderness: A Geographical Study of the Wilderness Itineraries in the Old Testament, London; New York; Melbourn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9.
Finkelstein, I., “Raider of the Lost Mountain: An Israeli Archaeologist Looks at the Most Recent Attempt to Locate Mt. Sinai”, BAR 14:4 (1988),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Freeman-Grenville, G. S. P., Chapman III, R. L., and Taylor, J. E., The Onomasticon by Eusebius of Caesarea, Jerusalem: Carta, 2003.
Har-El, M., Sinai Journeys, San Diego: Ridgefield Publishing Company, 1983. Kallai, Z., “The Wandering-Traditions from Kadesh-Barnea to Canaan: A Study in Biblical Historiography”, Biblical Historiography and Historical Geography, Frankfurt am Main; New York: Peter Lang, 1998, 165-174.
Kerkeslager, A., “Mt. Sinai in Arabia”, Bible Review 16:2 (2000), http://fontes. lstc.edu/~rklein/ Documents/mtsinai.htm (2016. 5. 2).
Klostermann E., Das Onomastikon der Biblischen Ortsnamen, Eusebius Werke III/1, Heldesheim; Georg Olms Verlagsbuchhandlung, 1904; 1966.
Lucas, A., The Route of the Exodus of the Israelites from Egypt, London: Edward Arnold & Co., 1938.
Maiberger, P ., Topographische und historische Untersuchungen zum Sinaiproblem, Freiburg, Schweiz: Universitätsverlag; Göttingen:Vandenhoeck & Ruprecht, 1984.
Milgrom, J., Numbers, JPS Torah Commentary, Philadelphia; New York: The Jewish Publication Society, 1990.
Musil, A., The Northern Hegaz, New York: American Geographical Society,1926.
Nielsens, D., The Site of the Biblical Mount Sinai, Copenhagen: Busck, 1928.
Notley, R. Steven and Safrai, Z., Eusebius, Onomasticon: The Place Name of Divine Scripture, Boston; Leiden: Brill, 2005.
Palmer, E. H., The Desert of the Exodus, New York: Harper & Brothers, 1872. Perevolotsky, A. and Finkelstein, I., “The Southern Sinai Exodus Route in Ecological Perspective”, BAR 11:4 (1985), CD-Rom: The Biblical Archaeology Review Archive 1975-2001, Biblical Archaeology Society, 2002.
Quasten J., Burgardt W. J. and Lawler T. C. eds., Egeria: Diary of a Pilgrimage, G. E. Gingras, trans., New York; Mahwah: The Newman Press, 1970.
Ringgren, H., “~y:”, TDOT, VI, 91.
Robinson, E., Biblical Researches in Palestine, Mount Sinai and Arabia Petraea, London: John Murray, 1838.
Shanks, H., “The Case for Har Karkom and the Case for Saudi Arabia”, BAR 40:2 (2014), 31-41, 66.
Simons, J., The Geographical and Topographical Texts of the Old Testament, Leiden: E. J. Brill, 1959.
Thishby, A., ed., Holy Land in Maps, Jerusalem: The Israel Museum, 2001.
이미숙 박사(장로회신학대학교 구약학 조교수)/
첫댓글 후원은 한분도 없고 카페도 그만둬야 하고
이렇게 기독교가 버림받는거 같습니다 먹어야 카페도 하는데..
통신료와 공과금으로 30만원이 필요합니다
카페운영을 계속하도록 도와주십시요
매일 이걸 해야하나 갈팡질팡하고 갈등합니다
주님께서 하라고 하신 사명인데 요즘은 너무힘드네요
카페운영을 위해 작은 성금을 보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카페에 후원을 하신분은 사랑회원(최우수)이 되십니다...
카페지기의 생활이 어렵습니다 매달 정기 후원으로
도와주시면 카페 운영에 큰힘이 됩니다
후원이 없다보니 공과금과 약값을 마련하지 못합니다,,,
카페를 계속 운영할 수 있도록 도와주시길 바랍니다
카페지기는 지병.때문에 매달 치료비가 많이듭니다
매월 공과금과 LH.주거임대 임대료 관리비 마련이 어렵습니다
건강이 않좋아 병원을 다니며 살아가는데 지병과 장애 나이도
들다보니 수입이 전혀 없습니다 어려우시더라도 회원님께서는
작은 사랑으로 카페지기에게 용기를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늘 건강하시고 평안하시길 기도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카페지기 전화입니다 010.2261~9301
국민은행 229101-04-170848 예금주.황종구
농협 233012-51-024388 예금주.황종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