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혁거세[ 朴赫居世 ] 신라의 시조(재위 BC 57 ~ AD 4).
1. 출생-사망 === BC 69 ~ AD 4 2. 국적/왕조 === 신라
3. 재위기간 === BC 57년∼AD 4년 4. 본명 === 휘 혁거세
5. 별칭 === 불구내
성은 박(朴)이고 이름[諱]은 혁거세(赫居世)이며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
왕호(王號)는 거서간(居西干, 居瑟邯이라고도 한다)인데, 《삼국사기(三國史記)》에는 거서간이 진한(辰韓) 지역에서 왕이나 귀인(貴人)을 가리키던 말이라고 기록되어있다. 왕비(王妃)는 사량리(沙梁里) 출신의 알영(閼英)으로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
재위 4~24)과 아로(阿老) 등의 자녀를 두었다.
《삼국사기》와 《삼국유사(三國遺事)》에는 혁거세의 출생에 관해 공통의 설화가
전해진다.
진한 땅에 고조선(古朝鮮)의 유민(遺民)들이 산골 사이에 흩어져 살면서 여섯 개의
마을을 이루고 있었다.
이를 진한의 6부(六部)라 하였는데, 급량부(及梁部) 이씨(李氏)의 알천(閼川) 양산촌(楊山村), 사량부(沙梁部) 정씨(鄭氏)의 돌산(突山) 고허촌(高墟村), 모량부(牟梁部, 漸梁部라고도 한다).
손씨(孫氏)의 무산(茂山) 대수촌(大樹村), 본피부(本彼部) 최씨(崔氏)의 자산(觜山) 진지촌(珍支村, 干珍村이라고도 한다),
한기부(韓歧部) 배씨(裵氏)의 금산(金山) 가리촌(加利村), 습비부(習比部) 설씨(薛氏)의 명활산(明活山) 고야촌(高耶村)이다.
《삼국유사》에 따르면 중국 전한(前漢) 선제(宣帝, 재위 BC 73~BC 49) 때의 연호인 지절(地節) 원년(기원전 69년)에 6부의 촌장들이 알천(閼川)에 모여 덕 있는 사람을 찾아 임금을 삼아 나라를 세울 것을 의논하였다.
그리고 높은 곳에 올라가 남쪽을 바라보니 양산(楊山) 기슭의 나정(蘿井) 부근에서 기이한 기운이 비추면서 백마(白馬)가 꿇어앉아 절을 하는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곳에 가니 자주색의 알이 놓여 있었고, 그 알을 깨자 용모가 단정하고 아름다운 사내아이가 나왔다.
그 아이를 동천(東泉)에서 목욕시키자 몸에서 광채가 나고 천지가 진동하며 해와 달이 청명해졌다.
그래서 아이의 이름을 혁거세(赫居世)라고 하였는데, 《삼국유사》에는 그 이름이 밝은 빛으로 세상을 다스린다는 의미로 ‘불구내(弗矩內)’라고도 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그가 태어난 알이 박의 모양과 비슷해서 그의 성을 ‘박(朴)’이라고 했다고 전하고 있다.
《삼국사기》에는 이야기의 개요는 같지만 고허촌의 촌장인 소벌공(蘇伐公)이 알을 발견하고 아이를 거두어 길렀으며, 6부 사람들이 그의 출생을 기이하게 여겨 높이 받들었다고 되어 있다.
혁거세는 13세 때인 기원전 57년에 6부 촌장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라 나라를 세웠다.
나라 이름은 서라벌(徐羅伐, 徐耶伐)이라고 하였는데, 서벌(徐伐)이나 사라(斯羅), 사로(斯盧), 신라(新羅)라고도 불렀다고 전하고 있다.
《삼국사기》 지리지에는 왕도(王都)가 길이 3,075보(步), 폭 3,018보에 이르렀으며, 35리(里), 6부(部)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기원전 37년(혁거세 21)에 궁성을 쌓고 이름을 금성(金城)이라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혁거세는 용(龍)의 옆구리에서 태어났다는 설화가 전해지는 알영(閼英)을 왕비로 맞이하였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용이 알영을 낳은 일이 기원전 53년(혁거세 5)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삼국유사》에는 알영이 혁거세와 같은 날에 태어났으며 죽은 때도 같다고 기록되어 있다.
혁거세와 알영은 하늘에서 내린 두 성인(聖人)으로 주변 국가들에도 이름이 널리 알려졌다.
그래서 기원전 50년(혁거세 8) 왜인(倭人)이 신라의 변경을 침범하려다가 혁거세에게 하늘에서 내려준 덕이 있다는 말을 듣고 되돌아갔으며, 기원전 28년(혁거세 30) 낙랑(樂浪)도 신라를 침범하려다가 스스로 퇴각하였다.
기원전 41년(혁거세 17) 혁거세는 왕비와 함께 6부를 순행하며 백성들에게 농사와 양잠을 장려하기도 했다.
이러한 혁거세의 통치기에 신라는 마한(馬韓)과도 대등한 관계를 유지할 정도로 세력을 확대하였다. 기원전 39년(혁거세 19) 변한(卞韓)의 일부가 신라에 항복해왔으며, 기원전 5년(혁거세 53)에는 고구려의 압박을 받은 동옥저(東沃沮)가 사신과 말 20필을 보내며 수교를 청해오기도 했다.
혁거세는 기원후 4년(혁거세 61)에 사망했으며, 담암사(曇巖寺, 曇嚴寺라고도 한다) 북쪽의 사릉(蛇陵)에 매장되었다.
《삼국유사》에는 혁거세가 나라를 다스린 지 61년이 되던 해에 하늘로 올라갔으며 7일 후에 유체가 땅에 흩어져 떨어지고 왕비도 죽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나라의 사람들이 이들을 한데 모아 매장하려 하자 커다란 뱀이 나타나 방해를 하는 바람에 흩어진 시신을 다섯 개의 능(五陵)에 제각기 매장하고, 능의 이름을 사릉(蛇陵)이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전하고 있다.
혁거세가 죽은 뒤에 그의 적자(嫡子)인 남해차차웅(南解次次雄)이 왕위를 이었다. 《삼국사기》에는 남해차차웅이 기원후 6년(남해 3) 혁거세 거서간의 사당을 세우고 사계절마다 제사를 지냈으며, 친누이인 아로(阿老)로 하여금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한편, 《삼국유사》의 ‘감통(感通)’ 편 ‘선도성모 수희불사(仙桃聖母 隨喜佛事)’ 조에는 혁거세와 알영이 선도산(仙桃山) 신모(神母)인 사소(娑蘇)가 낳은 성자(聖子)라는 이야기도 전해진다.
박혁거세 본문 이미지 1
참조항목감생설화, 경주 나정, 김알지, 난생설화, 난생신화, 박혁거세신화, 사로국, 신라, 차차웅, 금척
역참조항목남해차차웅, 박, 알영부인, 닭의 민속과 상징, 말의 신화와 민속, 상대의 신라, 아로
[네이버 지식백과] 박혁거세 [朴赫居世] (두산백과)
♣. 박 (성씨)
1. 대한민국의 주요 성씨
김(金). 이(李). 박(朴). 최(崔). 정(鄭).그 외
2. 박(朴)씨는 한국의 성씨이다.
대부분의 박(朴)씨는 신라 건국 신화에 등장하는 박혁거세를 기원으로 하고 있는데, 전설에 따르면 혁거세(赫居世)가 박에서 나와 성을 박이라고 했다고 한다.
박(朴)씨는 2000년 대한민국 통계청 인구 조사에서 3,895,121명으로 조사되어 한국 성씨 인구 3위이다. 본관은 밀양(密陽)·반남(潘南)·함양(咸陽)·순천(順天)·무안(務安)·죽산(竹山)·고령(高靈)·충주(忠州) 등 314본이 있지만 이 중 46본을 제외한 나머지 본관에 대한 유래는 알 수가 없다. 밀양 박씨가 박씨 인구의 77.8%을 차지한다.
3. 본관별 시조[편집]
①. 밀양 박씨(密陽 朴氏)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신라 경명왕의 첫째 아들 밀성대군 (密城大君)이다. 2000년 인구는 3,031,478명이다.
②. 고령 박씨(高靈 朴氏) 시조 박언성(朴彦成)은 신라 경명왕의 둘째 아들 고양대군 (高陽大君)이다.
역사 인물로 박문수, 현대 인물로 박정희, 박근혜 대통령이 있다.
2000년 인구는 39,239명이다.
③. 함양 박씨(咸陽 朴氏) 시조 박언신(朴彦信)은 신라 경명왕의 셋째 아들이다.
2000년 인구는 123,688명이다.
④. 죽산 박씨(竹山 朴氏) 시조 박기오(朴奇悟)는 신라 경명왕의 넷째 아들인
죽성대군(竹城大君) 박언립(朴彦立)의 아들로서 왕건(王建)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우고 태조 때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삼중대광태보(三重大匡太 保)에 올라 죽주백(竹州伯)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53,489명이다.
⑤. 충주 박씨(忠州 朴氏) 시조 박영(朴英)은 신라 경명왕의 다섯째 아들인 사벌왕(沙 伐王) 박언창(朴彦昌)의 11세손이다. 2000년 인구는 27,486명이다.
⑥. 무안 박씨(務安 朴氏) 시조 박진승(朴進昇)은 신라 경명왕의 여섯째 아들인 완산 대군(完山大君) 박언화(朴彦華)의 5세손으로 고려 때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국자 좨주(國子祭酒)를 지냈으며 공을 세워 무안(務安)을 식읍(食邑)으로 하사받았다. 2000년 인구는 78,817명이다.
⑦. 춘천 박씨(春川 朴氏) 시조 박항(朴恒)은 신라 경명왕의 일곱째 아들인 강남대군 (江南大君) 박언지(朴彦智)의 11세손으로 고려 고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한림원 (翰林院)을 거쳐 충주목사(忠州牧使)로 나갔으며 충렬왕 때 승선(承宣)을 거쳐
동지밀직사(同知密直使)에 올라 왕을 호종하고 원(元)에 다녀와 좌명공신(佐命功 臣)에 책록되고 춘성부원군(春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16,860명이 다.
⑧. 월성 박씨(慶州 朴氏) 시조 박휘(朴徽)는 신라 경명왕의 여덟째 아들인 월성대군 (月城大君) 박언의(朴彦儀)의 후손으로 고려 때 판결사(判決事)를 지냈다. 2000년 인구는 21,602명이다.
⑨. 영해 박씨(寧海 朴氏) 시조 박제상(朴堤上)은 신라 파사 이사금의 5세손인 파진찬 (波珍飡) 물품(物品)의 아들이다. 2000년 인구는 25,189명이다.
⑩. 순천 박씨(順天 朴氏) 시조 박영규(朴英規)는 후백제 견훤(甄萱)의 사위로서 왕건 (王建)을 도와 고려 창업에 공을 세워 개국공신(開國功臣)에 책록되었고 삼중대광 (三重大匡)으로 좌승(左丞)에 올랐으며 승주군(昇州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 는 87,631명이다.
⑪. 면천 박씨(沔川 朴氏) 시조 박술희(朴述熙)는 고려 초에 태사삼중대광(太師三重大 匡)으로 면성부원군(沔城府院君)에 봉해졌다. 2000년 인구는 3,980명이다.
⑫. 반남 박씨(潘南 朴氏) 시조 박응주(朴應珠)는 고려 조에서 반남호장(潘南戶長)을 역임했으며 6세손 박은(朴訔)이 조선 태종 때 왕자의 난에 공을 세워 익대동덕좌 명공신(翊戴同德佐命功臣)에 올라 반남군(潘南君)에 봉해졌다가 금천부원군(錦川 府院君)에 봉해졌다.
시조 이전의 선계는 알 수 없으나 반남현(현 전라남도 나주시 반남면 일대)에서 대대로 살아오던 집안의 후손이라고 한다. 역사 인물로는 박상충, 박은, 박세채, 박지원, 박규수 등이 있다. 2000년 인구는 139,438명이다.
⑬. 아산 박씨. 울산 박씨. 영암 박씨. 음성 박씨. 태안 박씨. 창원 박씨.
♣. 인물[편집]
①. 박혁거세 - 신라 건국 신화 속 진한 촌장으로 박씨의 시조로 여겨진다.
②. 박제상 - 신라 관리
③. 박술희 - 후백제 호족
④. 박위 - 고려 말, 조선 초의 문신
⑤. 박연 - 조선 문신
⑥. 박영효 - 조선 후기 관리
⑦. 박제순 - 대한제국 관료
⑧. 박정희 - 군인, 정치인, 제5·6·7·8·9대 대통령
⑨. 박근혜 - 제 18대 대통령
⑩. 박원순 - 제 35·36대 서울특별시장.
♣. 밀양 박씨(密陽 朴氏)
1. 관향 === 경상남도 밀양시.
2. 시조 === 박언침(朴彦忱).
3. 주요 중시조 === 박현(朴鉉).
4. 주요 집성촌 === 충남 예산군. 충북 청주시. 전남 신안군. 전남 진도군.
경북 청도군. 경남 밀양시. 경남 의령군.
5. 주요 인물
박의중, 박위, 박중손, 박영, 박충원, 박진, 박이서, 박승종, 박제가, 박용대, 박기순, 박은식, 박노학, 박의병, 박경원, 박상준, 박철희, 박용환, 박용구,
박준병, 박용섭, 박재홍, 박기환, 박요섭, 박관수, 박기효, 박영희, 박희광,
박충훈, 박노식, 박종근, 박상천, 박근형, 박노준, 박노원, 박남규, 박영규,
박준규, 박종희, 박상원, 박희순, 박휘순, 박상민, 박상면
6. 인구(2000년) === 3,031,478명 (2위)
7. 신라의 왕족성씨 === 밀양 박씨(密陽 朴氏)는 경상남도 밀양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신라 경명왕의 맏아들 밀성대군이다.
8. 역사[편집]
밀양박씨(密陽朴氏) 시조 박언침(朴彦忱)은 박혁거세(朴赫居世)의 29세손인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졌다.
후손들이 이를 연유로 해서 그를 시조로 하고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8세손 박언부(朴彦孚)를 파조(派祖)로 하는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를 비롯하여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8세손 박언상),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8세손 박언인),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8세손 박양언), 판도공파(版圖公派: 8세손 박천익), 좌윤공파(左尹公派: 8세손 박을재), 진사공파(進士公派: 10세손 박원), 밀성군파(密城君派: 13세손 박척), 동정공파(同正公派: 13세손 박원광),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15세손 박중미), 정국군파(靖國君派: 15세손 박위), 규정공파(糾正公派: 16세손 박현) 등 크게 12파로 나뉘어 아랫대로 내려오면서 다시 여러 파로 분파(分派)되었다. 또 《박씨선원세보(朴氏璿原世譜)》에 의하면 10여개의 본관으로 분적(分籍)되었음을 알 수 있다.
밀양박씨는 과거 왕족의 성씨였기 때문에 조선 후기 성이 없던 노비나 천민들이 사칭하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씨족 집단간 연대성은 찾기 힘들다. 이를 뒷받침하는 증좌로는 다음이 있다.
보통의 성씨는 관향을 중심으로 한 지역이나 각 분적조(공신력이 있는 역사자료에 기록된 인물, 자신집안의 족보에만 기록되거나 하는 경우는 신빙성이 없으므로 제외)의 분적향을 중심으로 거주하는 추세가 많은데, 밀양박씨의 경우는 그렇지 않다(http://sgis.nso.go.kr/pyramid/view_familyname_dmc.asp 참조).
9. 유래[편집]
박씨는 순수한 한반도 토착 성씨이다. 박씨는 밝다는 뜻의 순우리말 '밝'을 한자로 음차하여 '朴'으로 표기한 것이다. 한국의 박씨는 시조 박혁거세이고, 이 중 밀양 박씨는 박씨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대종이다. 밀양 박씨는 한국의 성본 중 김해 김씨 다음으로 인구가 많다.
10. 본관 연혁[편집]
밀양(密陽)은 지금의 밀양시 일원에 있던 지명으로 삼한시대에 변한(弁韓)의 일부로 가락국(駕洛國)에 속했으며 미리미동국(彌離彌東國)이 있었다고 한다. 법흥왕 때 신라에 병합되어 추화군(推火郡, 밀벌 또는 미리벌)이 설치되었다가, 757년(경덕왕 16)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하였다. 995년(고려 성종 16)에는 밀주(密州)로 개칭하였고, 1018년(현종 9)에 밀성군(密城郡)으로 개편되었다. 1275년(충렬왕 1)에는 군민의 모반 사건으로 귀화부곡(歸化部曲)으로 강등되어 계림부(鷄林府: 慶州)에 편입되었다가 후에 현으로 승격하였다. 1285년에는 군으로 승격되었으나 다시 현으로 강등되었다가 1390년(공양왕 2)에 밀양부로 승격하였다. 조선 1415년(태종 15)에 밀양도호부가 되었다가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경상남도 밀양군이 되었다. 1918년에는 부내면이 밀양면으로 개칭되고 1931년에 밀양읍으로, 1989년 시로 승격하여 독립하였다. 1995년 밀양군이 밀양시에 통합되었다.
11. 분적종 및 분파[편집]
10세손 박환(朴桓)을 시조로 영암 박씨(靈巖 朴氏), 12세손 박원의(朴元義)를 시조로 하여 태안 박씨(泰安 朴氏)로 분적되었고, 이 외에도 진원 박씨(珍原 朴氏), 운성 박씨(雲城 朴氏), 구산 박씨(龜山 朴氏), 나주 박씨(羅州 朴氏), 창원 박씨(昌原 朴氏), 문의 박씨(文義 朴氏), 여주 박씨(驪州 朴氏) 등이 분적되었다.
문하시중공파(門下侍中公派) 박언부(朴彦浮).
도평의사공파(都評議事公派) 박언상(朴彦祥)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 박중미(朴中美)
밀직부사공파(密直副使公派) 박양언(朴良彦)
좌복야공파(左僕射公派) 박언인(朴彦仁). 판도공파(版圖公派) 박천익(朴天翊)
좌윤공파(左尹公派) 박을재(朴乙材). 동정공파(同正公派) 박원광(朴元光)
진사공파(進士公派) 박원(朴元)
밀성군파(密城君派) 박척(朴陟). 판서공파 박밀양(密陽) 현령공파 박즙.
직장공파 박경. 봉사공파 박위. 첨정공파 박유. 주부공파 박찬. 청제공파 박수.
대제학공파 박대양(大陽). 진사공파 박소양(紹陽). 정언공파 박삼양(三陽).
참찬공파 박계양(啓陽, 일명:敦之). 장사랑공파 박재양(載陽).
정국군파(靖國君派) 박위(朴威).
규정공파(糾正公派) 박현(朴鉉) 간성공(杆城公) 박지생(朴祗生).
간의공(諫議公) 박사인(朴思仁). 경력공(經歷公) 박효원(朴孝元).
공간공(恭簡公) 박건(朴健). 군수공(郡守公) 박사민(朴思敏).
대간공(大諫公) 박의영(朴義榮). 낙봉공(駱峰公) 박근원(朴謹元).
여산공(礪山公) 박재현(朴齋賢). 선곡공(仙谷公) 박안현(朴顔賢).
송월당(松月堂) 박호원(朴好元). 승지공(承旨公) 박안영(朴安榮).
전한공(典翰公) 박인원(朴仁元). 절도공(節度公) 박대손(朴大孫).
지평공(持平公) 박우현(朴友賢). 찬성공(贊成公) 박신생(朴信生).
참군공(參軍公) 박용현(朴用賢). 참판공(參判公) 박눌생(朴訥生).
청제공(淸齊公) 박심문(朴審問). 충정공(忠靖公) 박숭원(朴崇元).
해백공(海伯公) 박소영(朴召榮).
호군공(護軍公) 박의문(朴疑問) 눌재공(訥齋) 박증영(朴增榮) - 2개파
문도공(文度公) 박훈(朴薰).
주부공(主簿公) 박혜(朴蕙) 낙촌공(駱村) 박충원(朴忠元) - 9개파
김제공(金提公) 박승황(朴承黃). 별좌공(別坐公) 박응현(朴應賢).
부정공(副正公) 박안민(朴安民). 숙민공(肅愍公) 박승종(朴承宗).
양성공(陽城公) 박승안(朴承顔). 연안공(延安公) 박승조(朴承祖).
영해공(寧海公) 박안국(朴安國). 화록공(華麓公) 박호현(朴好賢).
12. 주요세거지[편집]
충청남도 예산군. 충청북도 청주시 오송읍 연제리. 전라남도 진도군 조도면.
전라남도 진도군 의신면 칠전리. 전라북도 남원시 주생면 제천리.
경상북도 청도군 금천면 신지동. 경상남도 밀양시. 경상남도 의령군.
♣.밀양박씨 규정공파 족보 - 성씨정보 2015.08.17. 10:06
복사 http://blog.naver.com/sunkyu8153/220452994468
1.규정공파
밀성대군박언침(朴彦沈)의 15대손(代 孫)규정공(糾正公)박현(朴鉉)
(사 헌부규정(司憲府糾正)) 憲府糾正))을 을파조(派祖)로하여 후손을
규정공파(糾 正公派)라한다.
2. 밀양박씨중에서 가장 큰 파.
①. 시조.박혁거세(朴赫居世). ②.2세 :남해왕(南解王)
③. 3세 : 유리왕(儒理 王). ④.4세 : 일성왕(逸聖王).
⑤. 5세 : 아달라왕(阿 達羅王). ⑥.6세 : 벽방(碧芳). ⑦. 7세 : 무영(武英)
⑧. 8세 : 판득(判得). ⑨. 9세 : 광흠(光欽) ⑩. 10세 : 미일(美一).
⑪. 11세 : 내물(乃物). ⑫. 12세 : 상건(相建). ⑬. 13세 : 인엽(仁燁).
⑭. 14세 : 계보(啓輔). ⑮. 15세 : 명신(明信). ⑯. 16세 : 정환(貞環).
⑰. 17세 : 로겸(露兼). ⑱. 18세 : 남선(楠善). ⑲. 19세 : 금산(金山).
⑳. 20세 : 응찬(應燦). Ⓐ.21세 : 덕흥(德興). Ⓑ. 22세 : 대녕(大寧)
Ⓒ. 23세 ; 이순( 淳). Ⓓ. 24세 : 융겸(隆劒). Ⓔ. 25세 : 지곤(之坤).
Ⓕ. 26세 : 성순(成順). Ⓖ. 27세 : 추신(秋信). Ⓖ.28세 : 희복(僖福)
Ⓗ. 29세 :경명왕(景明王)
Ⓘ. 30세 :박언침(彦) 밀성대군(밀양) : 밀양.진원.
선산.문의.여주.반남.태인.봉산 .영암.창원.구산.태안 .구산.태안.운봉. .운봉.
진주.나주.의흥.강진.문주.인제 .고성.언양.은풍.광주 .은풍.광주. .
#. 고양대군(고령) :고령박씨속함대군. #. (함양) : 함양.군위. 삼척.보성
#. 죽성대군(죽산) : 죽산.음성. 고성.평산.
#. 사벌대군(상 주) : 상산.상주. 충주.남원.평택 평택
#. 완산대군(전주) : 전주.무안. 순창강남대군(순 천) : 순천.춘천. 여수
#. 월성대군(경주) : 월성 국상공(월성) : 울산 등등으로 분류됨
#. 파사왕계 : 영해.강릉. 해주.비안.이산.구진. 이산.구진.계림.노성.면천 계림.
노성.면천. 면천.
3. 밀성박씨의 본관 사용유래
서기757년신라35대(74 2-765)경덕왕16년에 전국을 9주로 경덕왕16년에 나누고 군현(郡縣)의 명칭을 고칠때에 추화군(推火郡/밀성재의 東齋가 9주로 추화재임)을 밀성군(密城 郡)이라 하여 우리의 본관조
밀성대군께서 본관을 정할 그 당시에 東齋가 지명이 밀성인 고로
밀성대군 후손은 당시에 본을 밀성박씨로 후손은 정하였다.
고려 공민왕 시대에 지금으로부터 약6백여년전에 밀성박씨로 지명이 약6백여년전에
밀성에서 밀양으로 변경되었으므로 지명이 신지명인 밀양으로 쓰고 있다.
현재 전국적으로 밀성박씨로 쓰는 종파도 있고 밀양박씨로 변경되었으므로 쓰는 종파도 있는데 밀성으로 하든 밀양으로 하든 똑같은 밀양박씨로 본관이다.
특히 밀성대군파의 밀양 박씨가 주류를 이루어 박씨 인구의 70∼80%를 차지하고 있는데, 밀양, 반남, 고령, 함양, 죽산,순천, 무안, 충주박씨를‘ 8박’이라고 똑같은
부른다.
127개본으로 분류됨: 2000년인 구조사에서
새로나타난 박씨 본관(32본) 강화.개령. 개성.경산.계룡.기린. 계룡.기린.덕산.동래.명암.백천. 덕산.동래.명암.백천.삭령.신평.안의. 명암.백천.삭령.신평.안의. 삭령.신평.안의. 안의.
연일.영일. 영하.예산.원주.은산. 원주.은산.이안.임단.진양.철성. 이안.임단.진양.철성.철주.청산.태산. 진양.철성.철주.청산.태산. 철주.청산.태산. 태산. 평해.하동. 하음.하화(何化).향남 何化).향남.홍주 .홍주
31세 : 욱 (郁)32세 : 란(瀾)33세 : 영정(永禎)34세 : 기세(基世)35세 : 시주(施做)36세 : 찬행(讚行)37세 : 언부(彦孚)38세 : 효신(孝臣)39세 : 공필(公弼)40세 : 육경(育慶) ,육화(育和) )
41세 : 윤공(允恭)42세 : 광례(光禮) 영동정공파( 令同正公派) : 원광(元光
43세 : 유효(惟孝)44세 : 흥 (興) 밀직군파(密 直君派) : 중미(中美)
정국공파(靖國君派) 國君派) : 15세손 위
45세 :박현(鉉) (중시조1세 :규정공파) :규정공(糾正公)
밀양박씨에는 이라고 크게 12중종파가 있습니다. 12개파는
1, 규정공파(박현).2, 도평의사공파 (박언상).3, 복야공파(박 언인).4, 사문진사공파 (박 원).5, 충헌공파(박 척).6,태사공파(박언부).7, 밀직부원군파(박중미)8, 밀직부사공파(박양언).9, 영동정공파(박원광).10, 판도판각공파 (박천익).11, 삼사좌윤공파 (박을재).12, 정국군파(박 위). 등이 있고 다시 그 밑에
수 많은 밀양박씨에는 지파가 있습니다.
규정공31개 지파
1.간성공( 杆城公:祗生) ). 2.간의공( 諫議公:思仁) ). 3.경력공( 經歷公:孝元) )
4.공간공( 恭簡公:健). 5.군수공( 郡守公:思敏) ). 6.대간공( 大諫公:義榮) )
7.락봉공( 駱峰公:謹元) ). 8.려산공( 礪山公:齋賢) ). 9.선곡공( 仙谷公:顔賢) )
10.송월당 (松月堂:好元) 元). 11.승지공 (承旨公:安榮) 榮)
12.전한공 (典翰公:仁元) 元). 13.절도공 (節度公:大孫) 孫)
14.지평공 (持平公:友賢) 賢). 15.찬성공 (贊成公:信生) 生)
16.참군공 (參軍公:用賢) 賢). 17.참판공 (參判公:訥生) 生)
18.청제공 (淸齊公:審問) 問). 19.충정공 (忠靖公:崇元) 元)
20.해백공 (海伯公:召榮) 榮).
21.호군공 (護軍公:疑問)눌재공( 問)눌재공(訥齋:增榮)2개파 訥齋:增榮)2개파 2개파
22. 문도(강수) (文度公:薰) )
23.주부공 (主簿公:蕙)낙촌공(駱 )낙촌공(駱村:忠元)9개파 村:忠元)9개파 개파
24.김제공 (金提公:承黃) 黃). 25.별좌공 (別坐公:應賢) 賢)
26.부정공 (副正公:安民) 民). 27.숙민공(肅愍公:承 宗): 박승종
28.양성공 (陽城公:承顔) 顔). 29.연안공 (延安公:承祖) 祖)
30.영해공 (寧海公:安國) 國)
31.화록공 (華麓公:好賢) 賢) 사문진사공파 :원(元) 인간(仁幹)
“
“
“
“
“
“
“
46세(중시 조2세) :
46세박문유(文有) :좌랑공(佐 浪公)
47세(중시 조3세) :박사경(思敬) : 상장군(上將 軍)
48세(중시 조4세) : 박침 ( ) : 전서공
49세(중시 조5세) : 박지생( 生) : 간성공(刊城 公).박강생 : 부재학공(副 재학公)
50세(중시 조6세) : 희맹(希孟)박절문(切問), 의문 : 호군공(護軍 公) .
절문 : 밀산군(密山 君)
51세(중시 조7세) : 대손(大孫) : 절도사공(節 度使公),
52세(중시 조8세) :박남(枏) : 부평공(富平 公)박미: 존성공(存誠 公)박건:공간공
53세(중시 조9세) : 의영(義榮) : 사간공(司諫 公)
박광영: 밀성군(密城 君)
54세(중시 조10세) :박조(藻) : 별제공(別堤 公)
55세(중시 조11세) :박충원(忠元) :낙촌공(駱村公):
화록공파3개지파 (華麓公 )
1. 박안절安節: 아산공) 2. 박안례(安禮: 양목공)
3. 박안행(安行: 봉례공)
56세(중시 조12세) :박계현(啓賢) : 문장공(文壯 公)
57세(중시 조13세) :박안세(安世) : 지돈영공(知 敦寧公)
58세(중시 조14세) :박승종(숙민공.명 종17년 서기1562 년생),
59세(중시 조15세) :박자응(自凝) : (박종화의 직계조상)
60세(중시 조16세) : (돈와공파1 세) :
박유도(維度) : 돈와공(돈와 공)
59세손 박자흥(기백공,선조14년 서기1581 년생)
60세손박유도(돈와공,선 조33년 서기 1600년생 ,어천 입향시조)
61세(중시 조17세)(돈와공파2세 돈와공파2세) ) : 박만기(萬起)
62세(중시 조18세)(돈와공파3세 돈와공파3세) ) : 박종순(宗蕣)
63세(중시 조19세)(돈와공파4세 돈와공파4세) ) : 박문환(文煥)
64세(중시 조20세)(돈와공파5세 돈와공파5세) ) : 기수(基秀)
65세(중시 조21세)(돈와공파6세돈와공파6세) ) : 박순진(順鎭)
66세(중시 조22세)(돈와공파7세 돈와공파7세) ) :박준장(準章)
67세(중시 조23세)(돈와공파8세 돈와공파8세) ) : 박석래(碩來) 유도의 형제
68세(중시 조24세) :박병학(炳鶴, 둘째아들), 박병용(큰아 들).
69세(중시 조25세) :박천규(天圭, 첫째아들, 정두열과 결혼).
70세(중시 조26세) :박종화(鍾和, 외동아들),
71세(중시 조27세) :박수비오(洙飛五) 첫째아들.
박(朴) 3,895, 121 명의 본관별 인구수(2000년인구조사) 사)
1 위 밀양(밀성) 3,031, 478 명. 2 위 반남139,438 명.
3 위 함양 123,688 명. 4 위 순천 87,631명.
5 위 무안 78,817 명. 6 위 죽산(죽주) 53,489 명.
7 위 고령 39,239 명. 8 위 충주 27,486 명.
9 위 영해 25,189 명. 10위 진원 23,839 명. 11 위 상주 23,627 명.
12 위 월성 22,917 명. 13위 울산 22,427 명. 14 위 경주 21,602 명.
15 위 춘천 16,860 명. 16 위 강릉 14,703 명. 17 위음성 7,094 명..
18 위 창원 6,121 명. 19 위 영암 6,120명. 20 위 구산 5,271 명.
21 위 태안 5,028 명. 22 위 삼척 4,929 명. 23 위 면천 3,980 명.
24 위 고성 3,911 명. 25 위 문의3,564 명. 26 위 상산 3,459 명.
27 위 의흥 3,395 명. 28 위 나주 3,374 명. 29 위 강남 2,999명.
30 위 함안 2,904 명. 31 위 비안 2,588 명. 32 위진주 2,519 명.
33 위 대천 2,484 명. 34 위 전주 2,440 명. 35.위 한양 2,087 명.
36 위 강진 2,022 명. 37 위 함흥 1,862 명. 38 위 진흥 1,825 명.
39 위 순창 1,817 명. 40.위 청주 1,730 명. 41 위 문화 1,698 명.
42 위해명 1,620 명. 43 위 군위 1,613 명. 44 위 부안 1,581명.
45 위 수원 1,530 명. 46 위 명성 1,516 명. 47 위 하명1,465 명.
48 위 김해 1,441 명. 49 위 운봉 1,392 명. 50 위 봉산1,317 명.
51 위 부산 1,173 명. 52 위 평산1,156 명. 53 위 여주 1,135 명.
54 위 의성 1,130명. 55 위 인천 1,115 명. 56 위 광산 1,076 명.
57 위성주 1,062 명. 58 위 일성 1,014 명 등입니다.
한국의 성씨는 모두 727개 본은 수가 4,179개 이다(2000년도 성씨별 인구조사 참조) 우리나라 10대성씨는
①김(21.6%인992만6천명),만6천명),②이씨(14.8%인679만5천명),
③박씨(8.8%인679만5천명),③박씨(8.5%인389만5천명) .④최씨(4.7%),
출처:밀양박씨 규정공파 족보|글쓴이: 백두도사원글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