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소방공무원,산업안전기사,전기기사 원문보기 글쓴이: 삼척대학교
특수가연물 |
면화류, 목모 및 대패밥, 넝마, 종이, 볏짚, 사류, 고무, 석탄, 목탄 등 |
합성 섬유 |
폴리에스테르, 폴리아크릴, 폴리아미드계 |
합성 수지 |
페놀, 멜라민, 규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등 |
③ 일반화재의 발생원인
㉠ 불을 사용•취급하는 시설의 취급 부주의로 인한 화재
㉡ 타다 남은 불티에 의한 화재
㉢ 어린이들의 불장난에 의한 화재
㉣ 개인의 감정에 의한 방화
⑵ 유류화재(B급 화재)
: 화재 성장속도가 일반화재보다 빠르다
① 가연성 액체 화재의 특징 : 가연성(기체)가 연소하는 것이므로 가연성 액체에서
증발한 가연성 기체는 가연성 가스의 연소범위(폭발범위)를 갖는다.
② 가연성 액체 화재의 예방방법
㉠ 가연성 기체의 축적을 방지하기 위하여 환기를 시킨다.
㉡ 저장용기를 밀폐시켜 공기와의 접촉을 차단한다.
㉢ 불씨와 같은 점화원을 제거한다.
㉣ 저장용기에 불연성 가스(질소)를 봉입하거나 공기를 배출하여 진공상태로 만든다.
⑶ 전기화재(C급 화재)
① 전기화재의 발생원인
㉠ 누전에 의한 발화
㉡ 과전류(과부하)에 의한 발화
㉢ 합선 혹은 단락에 의한 발화 - 70%이상
㉣ 불꽃방전(스파크)에 의한 발화
㉤ 도체 접속부 과열 및 용접 불꽃에 의한 발화 등
② 정전기
㉠ 정전기의 종류
ⓐ 액체유동에 의한 대전
ⓑ 인체의 대전
ⓒ 분출가스의 대전
ⓓ 마찰, 박리, 유동, 충돌대전 등
㉡ 정전기의 발생원인(석유류제품 취급시 정전기 발생원인)
ⓐ 유속이 높을 때
ⓑ 필터 등을 통과할 때
ⓒ 물이 침전할 때
ⓓ 비전도성 부유물질이 많을 때
ⓔ 낙차가 일어날 때
ⓕ 와류가 생성될 때
ⓖ 습도가 낮을 때
ⓗ 배관 내의 유체 점도가 클 때
㉢ 정전기 발생과정
: 전하의 발생 → 전하의 축적 → 정전기 방전 → 착화성 방전 → 발화
★★ 정전기 완화대책
㉠ 접지와 본딩을 한다.
•접지시설→접지 저항┌산업시설의 접지저항의 총합 100Ω이하
└피뢰설비의 접지저항의 총합 10Ω이하
㉡ 공기중의 상대습도를 70% 이상으로 높인다.
㉢ 공기는 이온화 한다.
㉣ 전기의 도체를 사용
★★ 정전기 억제대책
㉠ 유속을 제한한다 (1m/s)
㉡ 이물질을 제거한다.
㉢ 유체류의 분출을 방지한다
⑷ 금속화재(D급 화재)
① 금속화재는 제3류위험물(금수성물질 및 자연발화성물질), 황린, 황화린, 금속분류 등의
제2류위험물(가연성고체)과 제1류위험물(강산화성고체물질)의 무기과산화물류등의
화재를 말한다.
② 금수성물질이므로 소화시 물 및 물을 포함한 소화약제 사용금지
③ 가장 적응성 좋은 소화제로는 건조사(마른모래)이며, 특히 알킬기(CnH2n+1)와
알루미늄(AL)의 유기 금속화합물(R3AL)인 알킬알루미늄 화재시 가장 적합한
소화제는 팽창질석이나 팽창진주암이다.
★ 30~80 ㎎/ℓ분진의 양으로 금속화재를 일으킬 수 있다.
④ 금속화재의 발생원인/방지 : 금속 가공시 발생되는 금속분을 억제하고 열축적을
방지하며, 작업장에 환기 시설을 하고 적당한 습도를
유지시켜 금속화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⑸ 가스화재(E급 화재)
① 가연성 가스 : 폭발한계(=연소한계, 연소범위 : 공기와 혼합된 경우의 한계)의 하한이
10% 이하의 것과 폭발한계의 상한과 하한의 차가 20%이상의 것을 말한다.
② 가연성 가스의 폭발범위
㉠ 폭발범위는 가연성 가스와 공기가 혼합된 경우보다도 산소가 혼합되었을 경우
더 넓게 되며, 폭발위험성이 커지게 된다.
㉡ 가연성 가스에 질소, 이산화탄소와 같은 불활성 가스를 혼합시킨 경우에는
폭발범위는 좁아지게 된다.
㉢ 온도가 높아지면 폭발범위는 넓어진다.
㉣ 압력이 높아지면 하한계는 변하지 않으나 상한계는 상승한다.
㉤ 압력이 낮아지면 폭발범위는 좁아진다.
㉥ 일산화탄소와 공기의 혼합기는 압력이 높아질수록 폭발범위가 좁아진다.
③ 가스의 법칙
보일의 법칙 |
일정한 온도에서 기체의 부피는 압력에 반비례한다. |
샤를의 법칙 |
일정한 압력에서 기체의 부피는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
보일•샤를의 법칙 |
일정량의 기체의 체적은 압력에 반비례하고, 절대온도에 비례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