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익산군 망성면 화산리. 금강물이 굽이굽이 흐르는 평야 한가운데 사발을 엎어놓은 듯 작은 산이 있다. 우암 송시열은 이산이 너무 아름답다고 해서 '화산(華山)'이라 이름 붙였다.
산의 줄기가 끝나는 지점에 광장같이 너른 바위가 펼쳐진다. 이름하여 나바위. 오늘날 화산 위에 자리 잡고 있어 화산 성당이라고도 불리는 나바위 성당은 이 너른 바위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바로 이곳이 1845년 10월 12일 밤 중국에서 사제품을 받은 김대건 신부가 페레올 주교, 다블뤼 신부와 함께 작은 배 한 척에 몸을 얹어 한국에 첫발을 디딘 곳이다. 김 신부로서는 그 해 1월 육로로 한 번 입국한 데 이어 두 번째이자 마지막으로 밟은 고국 땅이었다.
그 때는 나바위 바로 발끝을 금강물이 넘실거리며 흘렀다고 한다. 하구로부터 거슬러 올라오자면 황산포(지금의 강경)가 가장 큰 포구였고 나바위는 황산포를 3킬로미터 가량 남겨 둔 한적한 곳이다.
당시 고국 땅을 밟은 김 신부의 감회가 사뭇 어떠했을지를 상상하는 것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1784년 한국 교회가 세워진 후 첫 신부로 맞았던 중국인 주문모 신부는 6년 만인 1801년에 순교했고 그 뒤 33년간 목자 없는 양 떼였고 다시 세 명의 프랑스 신부들을 맞이했으나 그나마 1839년에 모두 잃었다. 그리고 6년 동안 또다시 한국 교회는 한 분의 사제도 없는 암흑기를 지내야 했던 것이다.
목자를 기다리는 한국 교회의 양 떼들에게 세 분 성직자의 입국은 참으로 감격적인 사건이었으며 김 신부 자신도 그토록 목마르게 그리던 고국에서 첫 방인 사제로서 사목 활동을 시작하게 되었다.
그가 나바위에 도착하기까지의 여정은 참으로 파란 만장한 것이었다. 1836년 12월, 15세의 어린 나이로 고국을 떠나 다음해 6월 마카오에 도착한 뒤 그는 1844년 12월 부제품을 받고 이듬해 1월 천신 만고 끝에 홀몸으로 의주 변문의 수구문을 통해 그리던 고국 땅을 밟는다.
하지만 3개월 뒤 다시 11명의 조선인 선원들과 함께 라파엘호라는 작은 목선을 타고 제물포를 떠나 6월 4일 상해에 도착, 김가항 성당에서 8월 17일 페레올 주교에게 사제품을 받는다. 그리고 그 길로 함께 길을 갔던 조선인 선원들과 두 분 성직자를 모신 김 신부는 첫 방인 신부로 나바위에 발을 디딘 것이다.
귀국한 지 1년 만에 관헌에게 붙잡혀 순교함으로써 비록 고국에서의 사목 활동은 짧은 기간이었지만 그의 총명함과 굳건한 신앙은 한국 교회의 가장 든든한 초석이 되었다.
나바위 성당은 1897년에 설립됐으나 성당 건물은 1906년에 완공됐다. 1916년에는 목조벽을 벽돌조로 바꾸고 고딕식 벽돌조 종각을 증축했다. 한옥 목조 건물에 기와를 얹은 성당은 특히 회랑으로 인하여 한국적인 아름다움을 맛볼 수 있어 지방 문화재(사적 제318호)로 지정돼 있다.
1997년에 1백주년을 맞는 나바위 성당은 일제 시대, 6·25를 거치면서 민족과 애환을 같이했다. 1907년 계명 학교를 세워 1947년 폐교될 때까지 일제의 탄압 속에서 애국 계몽 운동을 통한 구국에 앞장섰고 신사참배에 저항하던 사제와 신자들이 옥고를 치르기도 했다. 6·25 당시에는 죽음을 무릅쓰고 성당을 지킨 사제 덕분에 단 며칠을 제외하고는 매일 미사가 계속 봉헌된 기록을 갖고 있기도 하다.
나바위 성당은 1955년에 성 김대건 신부 순교비를 세우고 1991년에는 피정의 집을 건립했다. 3백여 명의 인원을 수용할 수 있는 피정의 집 대건 교육관 외에도 소규모 피정자들을 위한 피정의 집이 따로 있고 자기 취사를 할 수 있는 설비도 마련돼 있다. 또 피정의 집 전반 운동장은 2천 평 규모의 대지로서 야영장으로도 활용된다.
찾아가는 길
호남 고속 국도 논산 인터체인지에서 연무읍 쪽으로 빠져 나와 연무읍을 지나 강경읍에 닿으면 23번 국도와 만나는 삼거리가 된다. 여기서 좌회전하여 익산 방면으로 3km쯤 가면 도로 우측으로 안내 푯말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