國戚
仁城君珙 墓誌[海原君健]
公諱珙, 字□□, 號百忍, 寔我宣祖昭敬大王第七子。 妣靜嬪閔氏, 府使士俊之女, 以萬曆戊子十月二十九日生公。 壬辰之變, 避兵海西, 仍向義州。 丁酉, 上命宰臣許潛護往成川, 以避倭鋒, 已而還京。 十二, 封仁城君。 癸卯, 聘夫人尹氏, 考, 左參贊承吉。 戊申, 丁宣廟國恤。 庚戌, 服闋, 兼司饔、宗簿都提調, 宗親府有司堂上。 逮光海政亂, 爲賊臣爾瞻所疾, 誣諂大獄, 公憂懣成疾, 杜門不出。 癸亥, 仁祖改玉, 甚爲上所禮遇, 疏章之批必稱叔父。 甲子, 适叛, 上南狩, 公輿疾扈駕, 亡何隨駕還。 乙丑, 坐無妄之辜, 臺論峻, 上勉從之, 是年二月譴謫于江原道杆城。 臨行, 上降御札爲別, 至以蒼蒼在彼爲辭, 幸其御札瓦全於兵燹, 永爲傳後寶。 命乘轎駕馹, 遣中官、御醫護行救病, 方伯陪行, 列邑出供, 恩眷至矣。 是年十一月, 命移原州。 丙寅, 母嬪病, 將不起。 上聞之, 卽釋公, 遣中官發傳催行, 公未戾洛, 嬪已屬纊。 丁卯正月返魂日, 邊報至, 因命奪禮, 衛慈殿于江都。 四月, 隨駕還, 復衰絰, 纔經練祭。 酷禍隨至, 戊辰正月, 又竄于全羅道珍島,
終不享天年, 是年五月二十日也。 當其後命之至, 渾家哭擗, 公從容服衰絰, 北向四拜, 戒諸子曰: “聖朝千秋萬歲之後, 如有播遷之患, 須扈從; 如有易代之變, 須死節。” 嗚呼痛哉! 訃聞, 上進素饌, 命官庀喪事, 賜禮葬, 別致賻, 賜祭。 是年七月二十日, 禮葬于楊州先塋巳向之原。 公之始卒也, 夫人與子女幷移耽羅。 己巳, 命已長者三人外幷釋之。 乙亥, 命移三子于江原道襄陽。 丙子, 全釋之。 自戊辰以後, 搢紳多有因公議上章訟冤者, 語在鄭文簡公冤獄疏。 丁丑, 湔滌罪籍, 追復官爵, 幷除諸子職。 恩及泉壤。
公有五子二女: 男曰海平君佶; 海安君億, 出, 繼順和君後; 海原君健, 乙未喪, 因遺意, 用兄亡弟及之禮, 定爲奉祀; 海寧君伋; 海陽都正僖。 佶娶士人申岌女, 無后。 側出一女, 適任大受。 億娶士人高尙義女, 生二子三女: 男瀛昌君沉娶士人宋孺慶女, 生一子, 幼; 次洬幼。 女適權德潤生員, 二女幼; 餘幼。 側出三子: 耽山守克娶士人許湜女, 生一子一女: 河陽令材未娶, 女幼; 耽溪守冕娶士人李元奎女, 生一女, 幼; 耽陵守𡭪娶察訪宋榮業女。 健娶士人沈闈女, 生六子一女: 男花昌都正沇娶縣監盧景命女, 生一子一女, 幼; 花善都正湸、花山副
正渷、花春副正㵾未娶。 淝、洮及女幼。 伋娶士人金有海女, 生四子二女: 女適尹世遇, 生一女, 幼; 餘幼。 側出一子一女: 瀛洲守完娶縣監洪興祚女, 生二子一女, 幼。 女適沈楣, 生三子二女, 幼。 僖初娶進士安述女, 再娶縣監鄭希尹女, 三娶士人李應善女, 幷無後, 以渷後。 女適南壽星府使, 生一子天錫, 娶府使黃埏女, 生一女, 幼; 次適沈長卿進士, 早沒無後。 內外孫曾五十餘人。 嗚呼! 公之沒未十年, 天意乃回。 至冤始雪, 國恩如天, 子孫安享, 而尙闕墓道一字之文。 健等不肖至此, 俯仰天地, 罪恨益深, 敢泣血略記譜系子孫, 書于
幽誌, 終天之痛, 罔極何述? 至如述公忠孝志節銘文之作, 健所不敢, 以俟後之君子云。
*인성군(仁城君) 공(珙) 1588년(선조 21)∼1628년(인조 6).
시호: 효민(孝愍) 慈惠愛親曰孝。使民悲傷曰愍。영조 15년(1739) 증시
은혜로우며 어버이를 사랑으로 섬김[慈惠愛親]이 효(孝)이고
백성으로 하여금 슬프게 하는 것을 민(愍)이라 한다
시장: 형조판서 이덕수(李德壽) 찬
호는 백인당(百忍堂).선조의 일곱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정빈(靜嬪) 민씨(閔氏).
어려서부터 매우 총명하여 선조가 특히 사랑하였으며 공부를 시작하자 학업이 일취월장하였다. 12세에 인성군으로 책봉되었으며, 장성하여서는 사옹원과 종부시의 도제조와 종친부의 유사(有司)를 겸직하였다. 공무를 수행함에 있어서 관대하면서도 엄격하였으므로 관기를 바로잡을 수 있었다.
광해군의 시기하는 마음이 점점 더 커가는 것을 보고 이이첨(李爾瞻) 등이 사형수를 사주하여 무고하니, 대궐 문밖에 자리를 깔고 처분을 기다리기를 며칠씩 하다가 울분한 마음에 병이 들어 3년간이나 병석에서 일어나지 못하였다.
1623년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왕은 숙부의 예로써 대우하였으나, 이듬해 이괄(李适)의 난이 일어나고 그때 잡혀 들어온 자들이 모두 혐의를 뒤집어 씌웠으므로 왕도 할 수 없이 간성으로 귀양보내었다.
후에 원주로 옮겼다가 어머니 민씨의 병이 위독하므로 관대한 처분을 받고 돌아왔다. 그러나 1628년 유효립(柳孝立) 등이 대북파의 잔당을 규합하여 모반을 기도할 때에 왕으로 추대되었다 하여 다시 진도에 유배되었다가 자살을 강요받고 죽었다. 1637년에 복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