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출처: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원문보기 글쓴이: 사교육걱정없는세상
오늘의 뉴스 브리핑 (2016년 3월 25일~4월 1일)
■영유아·초등교육
▶컴퓨터숙제 내주는 초등학교… 1학년 아이들도 파워포인트 강습 받아
2016-03-26 조선일보
초등학교 3학년 딸을 둔 윤모(39)씨는 지난 겨울방학 때 딸에게 '파워포인트 단기 속성' 과외를 시켰다. 아이에게 컴퓨터 프로그램을 가르치지 않았다가 낭패를 봤기 때문이다. 작년 윤씨의 딸은 '나의 꿈'에 대한 발표를 준비해오라는 숙제를 받아왔다. 딸과 함께 발표 내용을 의논해 공책에 적어 들려 보냈는데 그날 오후 학교에서 돌아온 아이 표정이 시무룩했다. 알고 보니 반 아이 절반 이상이 파워포인트(PPT)를 이용해 발표했다고 한다. 윤씨는 "친구들은 애니메이션 효과까지 넣어 화려하게 PPT를 만들어 왔다더라"며 "주변 엄마들에게 물어보니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아예 PPT로 만들어오라고 한다기에 컴퓨터 과외를 시켰다"고 했다. 디지털 기기를 접하는 나이가 갈수록 어려지면서 초등학교 저학년 때부터 컴퓨터 프로그램을 배우는 아이가 늘고 있다. 현행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 때 '블로그에 글 올리기'·'파워포인트로 발표 자료 만들기' 등 컴퓨터 교육이 시작되지만 실제로는 3학년, 빠르면 1학년부터 워드프로세서·파워포인트·동영상 편집 등을 배운다. 이치훈 서울교대부설초교 교사는 "선생님에 따라 다르지만 창의적 재량학습 시간을 이용해 2학년 때부터 PPT를 가르치는 분들도 있다"며 "초등학교 2학년 정도면 적어도 한글 프로그램 정도는 쓸 수 있다고 보면 된다"고 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7년째 프레지(프레젠테이션 프로그램) 강의를 하는 엄혜경 강사는 "처음엔 초등학교 고학년 아이들만 있었는데 요즘은 1학년 아이들도 와서 수업을 듣는다"며 "어린 아이들일수록 오히려 스마트폰 쓰듯 자연스럽게 프로그램을 익힌다"고 했다. 엄마들 사이에선 학교에서 가르치지도 않고 컴퓨터 과제를 내준다며 결국 컴퓨터 숙제가 '엄마 숙제' 되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온다. 대전에 사는 변지원(36)씨는 "초등학교 3학년 아이에게 과학자를 조사해오라는 PPT 숙제를 내주더라"며 "이제 겨우 타자 연습 정도를 한 아이가 혼자 만들기에는 도저히 불가능해 결국 내가 파워포인트 책을 사다 배워 만들어줬다"고 했다. 컴퓨터를 이용한 과제는 엄마가 대신 해줘도 잘 티가 나지 않아 '엄마 숙제'가 되기 쉽다고 한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5/2016032502248.html
▶서류심사에 막힌 방과후학교 최저가낙찰제
2016-03-28 한국일보
지난달 이뤄진 2,500만원 규모의 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위탁업체 공개입찰에 참여했던 위탁업체 A사 대표(42)는 한숨을 내쉬었다. 그는 “올해부터는 최저가격 낙찰제가 의무인 조달청 시스템으로 공모한다고 해 학교가 공지한 금액(기초금액)의 88%를 써냈지만, 1차 서류심사에서 떨어졌다”며 “어떤 부분에서 서류점수가 미흡했는지 알고 싶어도, 내년 다시 입찰을 해야하는 을(乙) 입장에서 심사과정 공개를 요청하기도 쉽지 않다”고 털어놓았다. 방과후학교 위탁업체들이 속앓이를 하고 있다. 2006년 본격화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는 대부분 위탁방식으로 이뤄지고 학교별로 공모하는데, 불투명한 계약관행으로 뒷말이 끊이지 않았다. 2014년 감사원의 지적까지 받자 교육부와 교육청은 ‘방과후학교 운영 길라잡이’와 ‘2016 방과후학교 운영 가이드라인’을 바꿔 올해부터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한 경쟁입찰제를 의무화했다. 업체가 나라장터를 통해 각 학교에 제안서를 내고, 학교 평가위원회가 업체의 용역 수행 실적, 경영상태, 인건비지급 계획 등을 검토해 2~4개 업체를 추린 후, 이들 중 최저입찰가를 써낸 업체를 낙찰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업체들은 1차 서류심사 과정이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등 제도에 허점이 많다고 주장한다. 지난달 1억원대 규모의 한 초등학교 방과후학교 입찰에 참여했다가 1차 서류심사에서 탈락한 B사 관계자는 “최종 낙찰을 받은 업체는 (우리 업체와) 비슷한 시기에 설립돼 위탁실적도 대동소이했다”며 “결과를 납득할 수 없었지만 다음 입찰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어 학교 측에 별다른 항의를 못했다”고 말했다. 업체들은 심사내용에 이의를 제기할 수 없는 을의 처지를 학교측이 악용해 1차 서류심사에 개입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의심을 거두지 못한다. B사 관계자는 “기초금액의 90% 이하를 제안하고도 서류심사에서 떨어졌는데, 경영상태가 비슷한 다른 업체는 94%로 제안해 최종낙찰을 받았다”며 “이런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보니 ‘○○학교장과 ○○업체 사이에 유착관계가 있다’는 식의 소문이 공공연하게 돌고 있다”고 귀띔했다.
http://www.hankookilbo.com/v/d6e2775b3f704e66ba8edda741b33705
▶보육대란 와중에… 유치원·어린이집 원장들 교재비 횡령
2016-03-29 문화일보
부산 부산진경찰서는 교재비 가격을 60∼90% 부풀려 책정한 뒤 교재업자로부터 다시 차액을 돌려받는 식으로 4억7000만 원을 빼돌린 혐의(업무상 횡령, 영유아보육법 위반 등)로 A(여·57) 씨 등 부산 시내 55곳의 유치원과 어린이집 원장·대표 등 59명을 불구속 입건했다고 29일 밝혔다. 경찰은 또 이들과 짜고 이중 계약서를 작성해 5∼10%씩을 수수료로 받은 혐의로 교재업체 대표 B(53) 씨와 직원 등 4명을 함께 입건했다. 경찰에 따르면 부산 모 유치원장인 A 씨는 지난 2013년 5월부터 2년 6개월 동안 1권당 8000원인 과학 교재대금을 1만5000원으로 부풀려 B 씨에게 지급한 뒤 그 차액(7000원)에 대해 수수료 10%를 공제하고 6300원을 돌려받는 방식으로 17회에 걸쳐 1100만 원을 횡령하는 등 유치원 14곳에서 모두 1억300만 원을 빼돌린 혐의를 받고 있다. 특히 유치원의 교재비는 전액 교육청 국고보조금으로 지원돼 세금이 낭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린이집 41곳의 원장들도 비슷한 기간에 교재비를 부풀려 3억6000만 원을 부정 수납한 혐의를 받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유치원은 교재비가 국고보조금이어서 횡령 혐의를, 어린이집은 부모에게 피해를 끼쳐 영유아보육법을 적용했다”며 “영유아보육법은 처벌이 매우 약해 보완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6032901071327098001
▶전국 유치원 87곳에 ‘놀이바둑’ 교실
2016-03-31 중앙일보
김지운 동작프로기사바둑학원 원장은 “이세돌 9단과 알파고의 대결 이후 수강 문의를 하는 전화가 늘었다”며 “예전에는 유치원이나 초등학생이 많았는데 요즘은 바둑을 배워보고 싶다는 성인이나 중·고등학생들의 문의가 크게 늘었다”고 했다. 하지만 막상 어떻게 바둑을 시작해야 하는지 막막한 게 사실이다. 먼저 유치원생들은 유치부 무료바둑교실을 통해 바둑에 입문할 수 있다. 문화체육관광부·국민체육진흥공단이 재정 후원하고 한국기원이 주최하며 대한바둑협회가 협력하는 유치부 무료바둑교실이 전국 87개 유치원(어린이집)에 개설돼 있다. 만 다섯 살 어린이를 대상으로 바둑을 가르친다. 초등학생들은 방과후교실을 통해 바둑을 배울 수 있다. 현재 전국 1500여 개 초등학교에서 초등학생들이 바둑을 배우고 있다.
http://news.joins.com/article/19813606
▶어린이집 선생님은 ‘을’이 아니다
2016-03-31 한겨레21
3월은 교사가 아이들과 신뢰를 쌓아가는 시기다. 특히 영유아를 돌보는 보육교사는 아이뿐 아니라 학부모와의 관계 형성도 중요한데, 관계는 어느 한쪽의 노력만으로 좋아지지 않는다. 아이의 건강한 성장을 위해 교사와 학부모가 손을 맞잡고 협력해야 하는 까닭이다. 부모 스스로 어린이집 시간을 지키며 규칙과 약속을 준수하는 모습을 아이에게 보이는 것이 중요하다. 더욱이 어린이집에 처음 적응하는 시기라면 등·하원 시간은 철저히 지키는 것이 좋다. 규칙적인 등원은 아이 스스로 하루 일과를 예상할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어린이집을 편안하게 느낄 수 있게 만든다. 특별한 사정으로 등·하원 시간이 바뀔 때는 미리 담임교사에게 알려주자. 교사에게 상의하거나 물어볼 것이 있다면, 어린이집 생활수첩을 활용하자. 어린이집에서는 날마다 특이한 에피소드나 전달사항을 수첩에 적어 보낸다. 부모도 아이의 가정생활이나 걱정되는 점 등을 적어 보낼 수 있다. 수첩에 소소한 내용을 적으면 유난스러워 보일까 걱정하는 학부모도 있는데, 가능한 한 부모의 생각은 교사에게 전달하는 것이 좋다.
http://testwww.seouland.com/arti/education/education_general/140.html
■중등교육(중·고등학교)
▶서울시교육청 고교학급 감축 계획…일선 학교 반발
2016-03-26 TV조선
서울시 교육청이 "학급수를 700개 줄이겠다"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통보했습니다. 학생수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인데, 일선 학교들은 '학급당 학생 수를 줄여야'지, 이게 무슨 소리냐며 반발하고 있습니다. 학교장들은 당장 우려를 나타냅니다. "학령인구가 감소한다고 해서 학급수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학급의 학생수를 줄이는 것이 오히려 더 바람직한 방향이 아닌가..." 학급수를 줄이면 학급당 학생수가 당분간 선진국 수준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겁니다. 우리나라 고등학교의 학급당 학생수는 31명, OECD 평균이 25명인 것과 비교하면 턱없이 많습니다. 남아 돌게 될 교사들의 처리도 문젭니다. 700학급을 줄이면 교사 1400명이 갈 곳을 잃게 됩니다. 특별한 대책이 없으면 사립고등학교 교사는 교단을 떠나야 할 지도 모릅니다. "가장 많이 부딪치는 문제는 교원수급 문젭니다. 교과별 과원교사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교육청은 사립 교원은 소관 사항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서울시 교육청 관계자는 “교원 자체를 임용하는 것도 사실은 줄어들 수밖에 없는 입장일 수도 있어요. 명퇴를 하거나 그런 방안을 강구가 돼야하는 상황이 있는 거죠." 라고 입장을 밝히고 있고 이러한 서울시 교육청의 고교 학급 감축 계획에 교단이 술렁이고 있습니다.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6/2016032690126.html
▶서울 고교 입학 때 중 2·3학년 내신만 반영
2016-03-30 경향신문
올해부터 서울 지역 중학교 3학년이 일반고와 자율형공립고, 특성화고에 지원할 때에는 2·3학년 내신만 반영된다. 자율형사립고등학교(이하 자사고) 지원자는 면접 대상자만 자기소개서를 제출하도록 바뀌었다.
서울시교육청은 30일 ‘2017학년도 서울특별시 고등학교 입학전형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교육감 선발 후기고(일반고, 자율형공립고, 과학중점학급)와 특성화고에 적용되는 중학교 내신성적 반영 학년이 전체 학년에서 2·3학년 등 2개 학년으로 줄어든다. 올해부터 전면 시행된 중학교 자유학기제의 취지를 살리기 위해서다. 또 지난해까지 자사고 지원자들은 원서접수와 동시에 자기소개서를 제출해야 했지만 올해부터는 면접 대상자만 제출하면 된다. 불필요한 서류 제출을 방지하자는 취지다. 면접 대상자는 온라인 원서접수 후 추첨으로 결정된다. 중학교 내신성적이 없는 검정고시 합격생, 졸업생, 학력인정 각종 학교 지원자가 반드시 치러야 했던 ‘고입 내신성적 산출평가’도 폐지된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3302237335&code=940401
▶특목고 입시 소논문 대필 활개
2016-03-30 서울경제
“회당 50만원, 총 6회 300만원에 특수목적고등학교 입학을 위한 소논문 한 편을 완성시켜드립니다. 학생은 정해진 시간에 출석만 하면 됩니다.” 특목고 입학을 목표로 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생을 자녀로 둔 최모(47)씨는 최근 서울 강남 대치동에 있는 입시컨설팅업체를 찾았다 이런 제안을 받았다. 최씨는 상당히 부담스러운 금액이지만 특목고나 자립형 사립고등학교 입학을 위해서는 소논문이 필수라는 말이 많아 속만 태우고 있다. 30일 서울 강남 지역의 입시 관련 업체 등에 따르면 대학 입학의 필수 스펙으로 떠오르고 있는 ‘소논문’이 최근에는 특목고와 자사고 입학 준비생들로까지 확산되면서 변종 컨설팅이 활개를 치고 있다. 소논문 컨설팅업체들은 주제 및 관련 서적 선정부터 설문조사와 면접 대비까지 대부분의 과정을 대행하면서 고액의 컨설팅 비용을 받고 있어 교육당국 차원의 적극적인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소논문의 공식 명칭은 ‘R&E(Research and Education)’로 학생이 관심 분야와 관련된 특정 주제를 정해 연구조사 과정을 거쳐 작성하는 짧은 논문 형태의 보고서를 말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연구를 하면서 다양한 경험을 쌓는 것은 물론 사고력 확장과 자기주도학습능력 배양이라는 좋은 취지로 시작됐다.
하지만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별력이 사라지고 대입 수시전형 비율이 확대되자 소논문이 대입 필수 스펙으로 자리 잡으면서 고액 대필이 나오는 등 변질되기 시작했다. 급기야 최근에는 특목고나 자사고 입시에도 소논문 활동이 합격에 큰 영향을 미치면서 중학생들에서까지 소논문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다.
특히 학부모들 입장에서는 자녀가 소논문 활동에 시간을 빼앗기는 것을 기피하고 그렇다고 적발되면 합격 취소가 될 수 있는 대필은 더 부담스럽다는 점을 악용해 상당수 업체들이 ‘소논문 컨설팅’이라는 이름으로 음성적인 영업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에서 입시컨설팅업체를 운영하고 있는 A씨는 “소논문 한 편당 300만~400만원을 주면 주제 선정부터 논문 작성은 물론 면접 대비까지 해주는 컨설팅업체가 강남에만 수십 곳이 성업 중”이라며 “컨설팅이라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진행되지만 결국 학생은 컨설팅업체가 불러주는 대로 받아 적기만 하면 되는 합법을 가장한 변종 대필”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소논문 작성에 면접 대비 등 추가 서비스까지 하면 500만원을 훌쩍 넘기도 한다”며 “특목고 준비를 하는 학생의 경우 보통 2~3개 정도의 소논문을 작성하는 점을 감안하면 소논문 작성에만 1,000만원이 넘는 고액이 들어가기도 한다”고 귀띔했다. 특히 강남 지역의 경우 이름만 대면 알 만한 일부 대형 입시전문학원도 특목고를 겨냥한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음성적인 소논문 컨설팅에 나서고 있고 최근에는 무허가 컨설팅업체마저 늘고 있다. 일부 업체들은 일반적인 학원 형태에서 벗어나 강사들을 해당 학생의 집에 직접 보내는 등 갈수록 지능화되고 있다. 서울교육청의 한 관계자는 “서울시내에 등록된 학원과 교습소만 2만6,000여개가 넘지만 관리인원은 24명이라 제보나 신고 등에 의존하는 등 물리적으로 단속에 어려움이 있다”며 “특목고나 자사고 입시에서 사교육 영향이 드러날 경우 해당 학생에게 불이익이 있는 만큼 학부모나 학생들도 이들 학원 말에 현혹되지 말길 당부한다”고 말했다.
http://www.sedaily.com/NewsView/1KTYOVD0Z3
▶제주 고입선발고사(연합고사) 폐지
2016-03-31 세계일보
제주의 고입선발고사(연합고사)가 폐지된다. 31일 제주도교육청에 따르면 2019학년도부터 중학교 내신 100% 전형을 도입하고 내신 성적은 교과 80%, 비교과 20% 비율로 반영한다. 내신 점수 총점은 교과 240점(80%), 비교과 60점(20%) 등 300점이다. 이석문 교육감은 “이번 고입제도 개선은 의무교육인 중학교 교육과정의 본질을 살리고 다양한 진로와 진학을 키우는 교육과정을 실현하는 한편 학교와 지역균형 발전에도 이바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제주의 고입전형은 1999학년도까지는 선발고사 100%로 이뤄지다가 지난 2000학년도에 내신 50%+선발고사 50%로 내신을 반영하기 시작했다. 2001∼2002학년도에는 중학생의 학습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선발고사를 폐지하고 내신 100% 전형을 도입했다가 중학교 3학년 수업 파행과 학력 저하가 우려되고 급우간 경쟁심이 유발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돼 2003학년도에 선발고사를 부활시켰다. 이에 따라 2003학년도 내신 80%+선발고사 20%, 2004학년도 내신 70%+선발고사 30% 등 단계적으로 선발고사 비중을 확대해 2005학년도부터는 내신 50%+선발고사 50%로 고입 선발을 진행하고 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3/31/20160331004332.html?OutUrl=daum
▶서울市 "고입 때 중1 성적 반영 안한다"
2016-03-31 조선일보
서울시교육청은 30일 '2017학년도 서울시 고교 입학전형 기본 계획'을 발표하고 "기존에는 입시에서 중학교 1~3학년 전체 성적을 반영하는 고교가 많았지만 올해부터 자유학기제가 전면 실시되는 만큼 중 1 성적을 보지 않도록 지침을 마련했다"고 밝혔다. 자유학기제는 중학생들이 한 학기 동안 중간·기말고사 안 보고 다양한 체험 활동을 하며 꿈과 끼를 찾도록 하자는 취지로 도입된 제도로 올해 전면 시행됐다. 이에 따라 작년까지 중1 성적을 반영했던 서울 지역 70개 특성화고는 올해 치러지는 2017학년도 고입(高入)부터 2~3학년 성적만으로 입학생을 가리게 됐다. 서울 지역 6개 외국어고와 2개 과학고는 이미 입시에서 중 2~3학년 성적만 반영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조치로 바뀌는 것이 없다. 한편 영재학교로 분류된 서울과학고의 경우 중1~2학년 학생의 조기 입학이 가능한 학교이므로 중 1 내신 성적을 입시에 반영할 수 있다고 서울시교육청은 밝혔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31/2016033100209.html
■대학입시
▶수능없이 대학 가는 길…수능최저 없는 2017학년도 수시 전형 ‘관심’
2016-03-26 헤럴드경제
모의고사 성적이 좋지 않다고 벌써부터 대학 입시를 포기할 필요는 없다.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영향력이 갈수록 감소하면서 수능 성적이 없어도 지원할 수 있는 전형이 점차 늘고 있기 때문이다. 2017학년도 수시(정원 내 전형)에서 수능 최저학력 기준을 적용하지 않고 선발하는 전형의 모집인원도 상당하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325000356
▶2018수능영어절대평가 적용 "사실상 국수탐 전형"
2016-03-26 세계일보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 절대평가가 적용되는 2018학년도(현 고등학교 2학년 해당) 입시 관련, 서울대학교가 2등급부터 등급이 내려갈 때마다 0.5점씩 감점하는 점수 적용안을 발표하자 입시전문기관들이 잇달아 분석을 내놓고 있다. 26일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정시 전형에서 수능 영어 영향력이 크게 감소돼 2018학년도 정시는 사실상 ‘국수탐(국어, 수학, 탐구영역)’ 전형으로 실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서울대 등 상위권 대학을 목표로 하는 수험생은 정시를 지원할 경우 최근 수능이 평이하게 출제됨에 따라 사실상 국어, 수학 영역은 만점 가까이 받아야 하고 탐구영역은 선택 과목 특성상 난이도에 따른 변수가 적용되므로 높은 점수의 백분위를 받을 수 있도록 해야한다는 조언이다. 오 평가이사는 “인문계열 학생은 수학, 국어, 탐구의 순으로, 자연계열 학생은 수학, 과학탐구, 국어의 중요도 순서로 대비해야 하며, 중위권 이하 수험생의 경우 인문계열은 국어, 탐구, 수학 순서, 자연계열은 수학, 영어, 탐구 순서로 대비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말했다. 이종서 이투스교육평가연구소장은 "결과적으로 정시 전형에서 영어의 영향력을 무력화시키는 것이지만,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활용하는 수능최저학력기준에서는 역설적으로 영어가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이 소장은 “2016학년도까지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불합격하는 학생의 수가 적지 않았다는 점을 감안하면 수시에서의 영어 영향력은 결코 적지 않다"고 말했다. 이어 “수시 지역균형선발전형에 지원할 가능성이 있는 학생들 특히, 지방 학생들의 경우 영어 영역을 전략 과목을 설정하여 학습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http://www.segye.com/content/html/2016/03/26/20160326000682.html?OutUrl=daum
▶수능 영어 등급 차, 서울대 0.5점-연세대 5점-梨大 4점 제각각
2016-03-29 동아일보
2018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부터 절대평가로 바뀌는 영어를 둘러싸고 대학이 제각각 다른 입시안을 내놓고 있다. 등급 간 점수 차나 점수 산정 방법이 대학마다 달라 수험생의 혼란이 커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화여대는 2018학년도 입학전형안을 28일 확정했다. 수능 영어는 1등급 250점(만점), 2등급 240점, 3등급 230점 식의 변환점수를 주기로 했다. 등급 간 점수 차는 10점이고, 최고 1등급과 최하 9등급 간 점수 차는 80점이다. 남궁곤 이화여대 입학처장은 “편의상 100점 만점으로 환산하면 등급 간 점수 차는 4점인 셈”이라며 “최소한의 변별력도 확보하고 ‘영어 사교육 억제’라는 절대평가의 취지도 반영하기 위해 고민했다”고 말했다. 최근 2018학년도 입시안을 확정한 연세대는 이화여대보다 등급 간 점수 차가 크다. 1등급의 변환점수는 100점이고 2등급은 95점이다. 3등급(87.5점)부터는 80점대로 확 떨어진다. 최하 9등급은 변환점수가 5점에 불과해 1등급과 무려 95점 차가 난다. 1, 2점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최상위권 입시에서 4, 5점의 점수 차는 당락을 좌우할 만큼 크다. 연세대와 이화여대의 입시안을 분석한 입시업체에서는 “영어 1등급을 받지 못하면 두 대학은 사실상 합격이 어렵다고 봐야 한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 때문에 연세대와 이화여대 같은 등급 간 점수 차가 큰 대학에 지원하려는 학생은 ‘완벽한 1등급’을 받기 위해 영어학원이나 과외로 몰릴 것이라는 예상이 나온다. 반면 서울대는 정반대 방향을 택했다. 등급 간 점수차를 0.5점으로 극히 적게 부여한 것. 1등급은 감점이 없고, 2등급은 0.5점 감점, 3등급은 1점 감점하는 식이다. 1등급과 9등급의 점수 차가 4점에 불과하다. 권오현 서울대 입학관리본부장은 “매년 수능 난이도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고점은 대략 400점 부근에서 형성된다”고 말했다. 약 400점에서 영어 등급이 한 계단 내려갈 때마다 0.5점씩 감점되는 것. 영어 비중을 대폭 줄이고 국어, 수학, 탐구영역 실력으로 학생을 뽑겠다는 계산이다. ‘영어 무력화’라는 비판도 있지만 영어 사교육을 줄이겠다는 교육부의 정책 취지에는 가장 들어맞는다. 31일까지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입시안을 제출해야 하는 다른 대학들은 고민에 빠져 있다.
http://news.donga.com/3/all/20160329/77265282/1
▶교육부 "수능영어 반영,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
2016-03-29 연합뉴스
교육부가 2018학년도부터 절대평가로 치러지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영역의 대학별 반영 방법에 대해 "대학이 자율적으로 결정할 사안"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김정연 교육부 대입제도과장은 29일 2017학년도 수능 기본 계획을 발표하는 자리에서 2018학년도 수능 영어 대학별 반영 방법을 놓고 혼란이 일고 있다는 지적에 "2018학년도 수능에서 영어 등급을 어떻게 환산하고 반영비율을 책정할 것인지는 대학들도 아직 가보지 않은 길이라 나름대로 예측하면서 반영비율과 환산점수를 결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3/29/0200000000AKR20160329112500004.HTML?input=1195m
▶평가원 "올해 수능, 지난해 본수능 난이도 수준으로 출제"
2016-03-29 뉴스1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 기관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은 29일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 난이도에 대해 "지난해 본 수능 기준으로 보면 될 것 같다"고 밝혔다. 지난해 실시했던 2016학년도 수능은 '쉬운 수능' 기조를 이어가면서도 변별력을 갖춘 시험으로 평가받는다. '물수능' 논란이 일었던 2015학년도 수능이나 지난해 두 차례 모의평가에 비해 만점자 비율이 대폭 줄면서 수험생 사이에 '불수능' 논란이 일기도 했다.
올해 수능은 2009년 개정 교육과정이 전면 적용되는 첫 시험이다. 수능에서도 국어영역은 수준별 시험이 폐지되고 문·이과 구분 없이 공통시험으로 실시한다. 수학영역 역시 수준별 시험 대신 출제범위에 따라 '가'형과 '나'형으로 구분해 실시한다. 이 본부장은 "2009개정 교육과정이 적용되면서 수학은 내용 영역이 일부 추가 변형됐다"며 "새로운 문항 유형의 난이도는 2차례 모의평가를 통해 학생들의 수준을 파악한 후 조절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또 "내년에 절대평가로 전환하는 영어영역은 올해는 상대평가가 유지되는 까닭에 지난해 수능 출제 기조를 유지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교육과정상 중요한 내용은 이미 출제되었더라도 출제할 수 있다. 이 본부장은 "수능의 특성상 교육과정상 중요 내용을 묻고자 한다"며 "주요 개념은 교육과정 변화에도 크게 변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국어가 공통시험으로 바뀌면서 문·이과에 따라 유·불리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올해 목표는 어떤 계열 학생이든 유·불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라며 "어떤 지문이 나와도 유·불리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
http://news1.kr/articles/?2617440
▶고려대 2018입시 수시모집 비중 85%로 확대
2016-03-30 이데일리
고려대가 내년에 치러지는 2018학년도 입시에서 입학정원 중 85%를 수시모집에서 선발한다. 학생부위주전형 비중도 대폭 확대했으며 이 가운데 1500명은 고교추천전형으로 뽑는다. 수시모집의 학생부위주전형도 대폭 확대했다. 정원 내 선발인원 중 1178명을 뽑던 데서 2018학년 입시에선 2757명을 학생부위주전형으로 선발한다. 전체 입학정원의 72%를 넘는 수치다. 이 가운데 1500명은 고교추천전형으로 뽑는다. 전체 입학정원의 40%에 달하는 인원을 고등학교 추천을 받아 선발하겠다는 의미다. 고려대 입학처 관계자는 “고교에서는 고3 재적학생의 4% 이내에서 학생을 추천할 수 있으며 교과성적으로 1단계를 선발하는 고교추천I전형과 서류평가로 1단계를 선발하는 고교추천II전형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며 “기존 학교장추천전형에선 특목고 학생은 지원할 수 없었으나 고교추천전형에서는 특목고생도 지원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400명을 선발하는 고교추천I전형은 ‘지역 안배’를 위해 도입했다는 게 대학 측의 설명이다. 기존 학교장추천전형보다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완화한 게 특징이다. 국제인재·과학인재를 포함해 598명을 선발하던 특별전형 모집인원은 442명으로 축소됐다. 전형 이름도 특기자전형으로 변경됐다. 2018학년도부터 절대평가로 전환되는 영어영역은 2등급부터 감점을 적용한다. 2등급은 1점이 감점되며 3등급부터는 2점씩 감점하기로 했다. 이는 등급 간 점수 차를 ‘0.5점’으로 설정한 서울대에 비해선 변별을 강화한 것이지만 ‘4점’의 격차를 둔 이화여대보다는 완화된 조치다. 정시모집에서는 2017학년까지는 학생부 10%를 반영하지만 2018학년도부터는 수능 100%로 선발한다. 입학처 관계자는 “2018학년도 입학전형 개편을 통해 고려대는 총 모집인원의 약 72%를 학생부위주 전형으로 선발한다”며 “이 중 고교추천전형을 통해 선발되는 학생은 약 54%에 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21&newsid=03417766612588568&DCD=A00702&OutLnkChk=Y
▶大入 '학종 시대'
2016-04-01 조선일보
현재 고등학교 2학년들이 치르는 2018학년도 대학 입시에서 서울 시내 주요 대학들이 신입생 10명 중 8~9명을 수시 모집으로만 선발할 것으로 보인다. 수시 모집 정원은 2007학년도 대입(大入)에서는 전체 모집 인원의 51.1%를 차지했지만 2013학년도 62.9%, 2016학년도 66.7%. 2017학년도 69.9% 등으로 매년 증가세다. 본지가 서울 시내 주요 11개 대학(서울대·연세대·고려대·성균관대·서강대·한양대·중앙대·경희대·한국외대·이화여대·숙명여대)이 31일 한국대학교육협의회에 제출한 '2018학년도 대입 전형 시행 계획'을 분석한 결과 서울대는 전체 모집 인원의 78.4%, 고려대는 전체 모집 인원의 85%를 수시 모집으로 뽑는 등 대부분 대학이 수시 모집 정원을 전년보다 늘린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수시 모집 중 '학생부 종합 전형'(과거 입학사정관제)으로 뽑는 인원이 크게 늘었다. 11개 대학 분석 결과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 뽑는 정원이 전체 입학 정원의 40~50%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는 수시 정원(2491명) 전원을 학생부 종합 전형으로만 선발하기로 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4/01/2016040100221.html
▶‘금수저 입시’ 벗어나려면…‘3포’가 필요하다
2016-04-01 한겨레
1. ‘사교육 주범’ 비교과 = “비교과 축소하고 교과수업 위주로 평가해야”
학생부종합전형(학종)의 주요한 두 요소는 교과활동과 소논문 쓰기(R&E), 봉사활동, 동아리활동 등 비교과활동이다. 많은 전문가들은 비교과활동의 교육적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하면서도, 현재 학교 현장에서 비교과활동이 이뤄지는 방식은 부모의 사회경제적 조건이나 출신 학교, 사교육 등에 의해 좌우될 위험이 크고, 학생과 학부모의 입시 부담을 높이는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는 만큼, 입시에서 비중을 축소하는 등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2. ‘고교 서열화’ 자사고 = “고교때 교육격차 확대…비평준화도 걸림돌”
전문가들은 학생부종합전형(학종) 시행에도 일반고가 교육과정을 다양화하기보다, 소수의 최상위권 학생에게 스펙을 몰아줘 입시 실적에 매달리는 퇴행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은 자율형 사립고나 비평준화 고교 같은 ‘고교 서열화 체제’ 탓이라고 진단했다.
3. ‘SKY’ 쏠린 고소득층 = “소외계층 입학 확대위해 계층 할당제 도입을”
현재 학생부종합전형을 중심으로 하는 수시모집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을 해소하고, 대학교육이 실제로 계층 격차 완화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대학입시에서 소외계층에 입학 기회를 확대하는 ‘계층 할당제’ 도입을 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737833.html
▶학력고사 세대 “수시 축소해야” vs 교육학자들은 “되레 격차심화”
2016-04-01 한겨레
학교생활기록부(학생부), 자기소개서, 교사추천서, 학교소개자료 등 다양한 전형자료를 반영하는 수시모집에 대한 학부모의 피로감이 고조되면서, 시험 점수 하나로 대학 진학이 가능하고, 상대적으로 계층 쏠림 현상이 덜했던 ‘학력고사 입시’나 ‘수능 입시’ 시절로 돌아가야 한다는 여론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교육전문가들 쪽에서는 사회적 양극화가 심각한 현 상황에서 시험 성적 하나로 학생을 선발할 경우 교육 불평등 문제를 더욱 악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현재 중·고교 자녀를 키우는 40·50대 학부모는 대부분, 역대 가장 단순한 입시였던 ‘학력고사(1982~1993년 시행) 세대’다. 학력고사 성적과 고교 내신 성적만으로 대학에 갔던 1982학년도(1963년생)~1993학년도(1974년생)는 해방 이후 대학 입시에서 대학별 본고사가 치러지지 않은 유일한 시기였다. 1986학년도 이후 대학별로 면접과 논술을 실시하기는 했으나 실질 반영률이 낮아 당락을 결정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학부모들이 현행 입시에 대해 “너무 복잡하고 객관적이지 못하다”고 불만과 불신을 보이는 배경에는 이런 입시 경험이 영향을 끼치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사교육을 금지할 수 없는 이상 수능이나 학력고사와 같은 객관식 시험은 계층 격차를 심화시킬 수밖에 없다고 지적한다. 강태중 중앙대 교수(교육학)는 “수능은 문항 양식이나 출제 방향이 사전에 공개된 시험이라 진정한 교육적 성취 없이도 돈을 많이 투자하면 점수를 얻을 수 있는 시험”이라며 “점수 1점 단위로 아이들을 변별해주니 마치 투명하고 객관적인 도구라고 생각하는데, 수능 점수 차이를 학생의 실력 차이로 간주하는 것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737832.html
■대학체제
▶“사학 비리 맞서면 재임용 탈락…대학 교권 추락 심각”
2016-03-26 한국대학신문
사학비리와 대학구조개혁으로 대학의 교권이 땅에 추락했다는 목소리가 제기됐다.
한국사립대학교수회연합회(이하 사교련), 전국교권수호교수모임, 전국교수노동조합, 민주화를위한전국교수협의회 4개 교수단체들은 25일 대학교권수호공동대책위원회(이하 교권공대위)를 출범, 향후 교권회복을 위한 활동을 예고했다. 이들은 2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교육비리 척결과 교권수호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고 교권공대위의 출범을 알렸다.
■ “최근 5년 비정년트랙 교수 2배 ↑ 교원 지위 불안정 확산” = 교수들은 이날 토론을 통해 대학 구조조정이 진행됨에 따라 교권침해가 더욱 극심해 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기조발제를 맡은 임재홍 전국교수노동조합 부위원장은 “대학구조조정법이 입법되면 대학교원들의 지위는 극도로 불안정해질 것”이라며 “이런 정책이 앞으로 계속된다면 학문생산체계의 붕괴, 대학의 붕괴라는 비극적 상황이 예측된다”고 전망했다. 임재홍 교수는 특히 구조조정으로 인한 비정년트랙, 비정규 교수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최근 5년(2011~2015년)간 사립대학 비정년트랙의 전임교원은 2배 이상 증가했다. 지난해 1학기 신규 임용된 전임교원의 56.6%가 비정년트랙이었으며, 이들 비정년트랙 교원의 급여는 정년트랙 평균의 40~60% 수준에 그친다. 우리나라 고등교육정책을 큰 틀에서 ‘신자유주의적’이라고 규정하고 신자유주의적 교육정책의 위험성에 대해 경고하기도 했다. 임 교수는 “고등교육 공급 방식이 공공재 모델에서 벗어날수록 고등교육이 사회적 불평등을 높이는 경향이 있음이 최근 영국에서 분명히 드러났다”며 영국대학의 예시를 제시했다. 영국은 1988년 교육개혁법 제정으로 학생에 대한 정부지원금이 급감하면서 1998년부터 학생들에게 연간 1000파운드의 대학수업료를 받기 시작했다. 영국 대학은 이후 학비를 벌기 위해 매춘을 고려하는 대학생이 증가하고, 대학의 양극화가 발생하고 있다.
■ ‘비판적 교수는 NO’ 재임용제도 입막음 악용되기도 = 재임용제도가 사학비리를 제보하거나 이사장과 각을 세운 교수들을 입막음하거나 제거하기 위한 용도로 악용되기도 한다고 교수들은 지적했다. 재임용제도는 대학교원의 임용기간을 정하고 기간이 만료되면 재임용여부를 결정하도록 하는 제도이다. 대학교원의 정년보장으로 인한 무사안일을 타파하고 연구 분위기를 제고하기 위한 취지에서 시행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교권탄압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도 많다는 것이 교수들의 주장이다. 실제 수원대 등에서는 비판적 교수에 대한 보복으로 재임용탈락, 해임한 사례가 있다. KC대학교(전 그리스도대학교)도 최근 이사장에 비판적인 교수들을 일부러 재임용 탈락시켰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상지대는 김문기 전 총장에 맞선 교수들이 올 초 무더기 징계를 받기도 했다.
http://news.unn.net/news/articleView.html?idxno=157593
▶대학 강의 축소에 수강권 매매·졸업 연기 부작용 속출
2016-03-29 이데일리
“한 학년 정원만 300명인데 필수 전공과목 수강 가능 인원이 150명이란 게 말이 됩니까. 나머지 학생들은 제 때 수업을 듣지 못해 졸업도 미뤄야 할 판입니다.” 한양대 경영학과 3학년인 A씨는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에 떠밀린 학교가 강의 수를 줄이면서 애꿎은 학생들만 피해를 보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일부 대학들이 교육부의 대학 구조개혁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받기 위해 강의 수를 줄이는 꼼수를 동원하면서 애꿎은 학생들이 피해를 보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교육부는 2014년부터 학령 인구 감소에 대비하고 대학 교육의 질을 높인다는 명분 아래 대학 구조조정을 추진 중이다. 교육부는 교육여건과 학사관리, 학생지원, 교육성과 등에 따라 A~E 등급을 부과한다. A등급을 제외한 나머지 대학들은 등급에 따라 정원을 감축해야 한다. 특히 D와 E 등급을 받으면 정부 재정지원이 사실상 중단된다. 대학들이 평가 주요 지표인 전임교원 강의 담당 비율(대학 전체강의에서 교수의 강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수단으로 교수 증원 대신 강의 수를 줄이면서 대학가 곳곳에서 마찰이 일고 있다.
◇ 한양대 강의 축소에 수강권 매매도 = 한양대의 경우 올해부터 △개설 강의 수 축소 △전임교수 강의비율 확대 등을 골자로 한 ‘2016-2019 교육과정’을 시행하고 있다. 한양대는 “방만한 강의를 줄이고 강의의 질을 높이는 몰입교육을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전체 강의 수가 줄어들면서 수강 신청 기간 중에 전공수업 신청을 하지 못한 학생들은 수강권 매매에 나서는 등 부작용이 속출하고 있다. 한앙대 응용미술학과 김모씨는 “학년 정원이 22명인데 전공심화 수업인 ‘섬유공예’ 수강인원이 16명에 불과하다”며 “다음 학기에도 듣지 못하면 졸업도 제때 못하게 생겼다”고 말했다.
한양대 총학생회 관계자는 “전임 교수를 늘리지 않고 강의 수를 줄여 전임 교수의 강의 비율을 높아 보이게 하는 꼼수를 쓴 것”이라며 “강의 수가 줄어 학생들이 전공 수업을 듣지 못해 졸업을 미뤄야 하는 처지에 몰리는 등 학생들의 피해가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한양대 총학생회는 ‘전공수업 복구를 위한 긴급 서명운동’을 벌이는 등 강의 축소에 강력 반발하면서 학내 갈등이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대학 구조개혁에 따라 비인기 학과의 정원을 줄이면서 수업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는 곳도 적지 않다. 홍익대 학생회 관계자는 “미술대학 공예과의 경우 인원이 줄어들어 수업을 유지하기 힘든 실정”이라며 “20명 미만의 소수과는 수업개설 기준인 10명 이상을 맞추기 어려워 폐강이 반복되고 있다. 대학 구조조정 탓에 이런 경향이 더 심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edaily.co.kr/news/NewsRead.edy?SCD=JG31&DCD=A00703&newsid=01374326612588240
▶"300억 잡자" 프라임 사업發 대학 구조조정 현실화
2016-03-30 중앙일보
대학 구조개혁 사업인 '프라임(산업연계교육 활성화 선도대학) 사업'이 본격 시작되면서 대학가에 구조조정 칼바람이 불 전망이다. 프라임 사업에 선정되면 3년간 최대 300억의 예산을 받게 된다. 교육계에서 '단군 이래 최대 대학 사업'으로 불리는 이유다. 상당수 대학들이 학과 구조를 취업시장에서 선호하는 이공계 전공 중심으로 바꾸면서 인문·예술대학 학과 정원이 대폭 축소되는 등 대학 캠퍼스가 일대 변화를 겪을 전망이다. 이에 따라 대학 구성원들의 반발도 최고조에 달하고 있다. 30일 교육계에 따르면 프라임 사업에 지원하는 상당수 대학들은 31일 접수 마감시한을 앞두고 총학생회 반발에도 불구, '일단 참여'하는 쪽으로 결론을 내리고 있다. 우선 학과를 전면 폐지하는 내용의 개편안으로 내홍을 겪었던 중앙대는 가까스로 구성원 합의에 도달했다. 중앙대는 지난 24일 보도자료를 통해 "교수, 학생, 직원 대표로 구성된 학사구조개편 대표자 회의에서 단과대학별 정원이동 및 학문단위 신설에 관한 논의를 거쳐 프라임사업을 위한 학칙개정을 의결했다"고 밝혔다. 이에 당시 인문대 교수협의회는 즉각 반박자료를 내며 "인문대 교수들은 70%가 반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후 긴급하게 열린 대표자 회의에서, 인문대 교수협의회가 여전히 본부의 구조개편안에 대해 반대 입장을 밝혔으나 프라임사업 참여에 대해서는 입장을 바꿔 동의하기로 했다. 중앙대 교수협의회 관계자는 "지난 1년의 논의기간 동안 본부는 사회대 50명, 인문대 35명, 경영대 100명 등 400~500명의 정원을 조정해 공대로 이동시키겠다는 내용 정도만 공개했지, 구체적인 계획안에 대해 밝힌 적이 없다"며 "계획안 제출 이후 본부 측이 공개한 내용을 보고 또 다시 추후 입장을 밝힐 예정"이라고 말했다. 건국대의 경우 전통적으로 주력 분야인 생명과학(축산·농대 포함)을 중심으로 한 상허생명과학대학, ICT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한 융합과학연구기관인 'KU융합과학기술원'을 설립하는 방안을 지난 22일 대학평의회에서 의결했다. 박우주 건국대 총학생회장은 "대학평의회 참가 학생이 1명 밖에 안 된다. 사실상 학생 측 의견을 반영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비판하면서도 "일단 참가 접수 후, 프라임 사업을 통해 혜택을 받는 학생들이 있는 반면 피해를 보는 학생들도 있는 만큼 사업 과정에서 학생들과 얼마나 소통하는지, 피해학생들을 위한 대책 등을 보겠다"고 말했다. 이화여대 학생회는 학교 측에 프라임 사업 계획안의 전면 재검토 및 계획안 공개를 주장하며 학교 본관 기획처를 점거하고 온종일 농성을 벌였다. 이화여대는 각 단과대가 10%씩 인원을 감축해 315명을 공과대에 배치 또는 임시 재배정하고, 공대 모집인원을 현 321명에서 514명까지 늘리는 프라임사업 계획안을 수립했다. 계획안에는 현 공과대학의 명칭을 '엘텍(ELTEC)'으로 바꾸고 이를 휴먼기계바이오공학부, 소프트웨어학부, 차세대기술공학부, 미래사회공학부 등 4개 학부로 재편하는 내용도 포함돼 있다. 이화여대 학생회 관계자는 "프라임 사업과 관련한 인원조정안 등이 대학평의원회에서 심의조차 거치지 않고 이미 교무회의에서 통과됐다는 점은 절차 상의 문제가 있다"며 "구성원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프라임 사업은 전면 재검토돼야 하며, 학교는 가장 먼저 학생들에게 프라임사업의 계획안을 공개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news.mt.co.kr/mtview.php?no=2016033015543318314&type=1&MLA
▶교육부, 올해 잘 가르치는 대학 32곳에 594억 지원…2016 ACE사업 공고
2016-03-31 머니투데이
교육부가 `잘 가르치는 대학`을 육성하기 위해 올해 4년제 대학 32곳 내외에 594억원을 지원한다.교육부는 이 같은 내용의 `2016년도 학부교육 선도대학 육성사업(ACE)`을 1일 공고한다. ACE 사업은 `잘 가르치는 대학` 육성을 목표로 대학 건학이념, 비전, 인재상 등을 구현하는 선도적 학부교육 우수모델 창출·확산을 돕는 사업이다. 2010년 사업 신설 이후 매년 학부교육 발전 역량과 계획이 우수한 대학을 선정해 4년간 지원해 왔다. 지난해에는 총 32개 대학이 학부교육 선도대학으로 지원받았다. 올해는 4년제 대학 32개교 내외에 594억원을 지원한다. 수도권과 지방 간 균형을 고려해 3~4개교를 새로 선정해 지원하고 2014년과 2015년에 선정한 29개교(2014년 선정 13개교, 2015년 선정 16개교)는 계속 지원한다. 지원액은 대학 규모에 따라 차등지원하며 한 학교당 평균 20억원 수준이다. 4년간 ACE사업 지원을 받은 학교가 재선정 되면 신규 진입 대학의 70%만 지원 받는다. 지원 내용은 대학의 자발적인 교육과정 개발·운영 혁신 노력과 교육지원 시스템 질 관리 체계 구축, 교수·학습 체계 개선 등 교육지원시스템 전반이다. ACE 사업은 4년(2+2년)간 지원하지만 올해 선정된 대학은 향후 대학재정지원사업 개편과 연계해 3년(2+1년)간 지원한다. 신규지원 대학은 1단계 서면평가, 2단계 현장평가, 3단계 최종심의를 거쳐 선정한다.
평가지표는 기본교육여건(25%), 사업계획서 심사(학부교육 발전 역량 30% + 학부교육 발전 계획 45%) 평가로 구성된다. 대학 자율성과 특성을 잘 반영하기 위해 지난해보다 기본교육여건을 5%P 축소(30%→25%)하고 학부교육 발전 계획을 5%P 확대(40%→45%)했다. 교육부는 4월 초에 올해 ACE 사업 설명회를 개최한다. 예비 접수(4월 15일까지) 및 사업계획서 접수(5월 16일까지), 선정 평가 절차(6월)를 거쳐 7월까지 신규지원 대학을 선정 완료할 계획이다.
http://www.etnews.com/20160331000199
■채용·진로
▶정부·기업, "능력 중심의 채용에 박차“
2016-03-28 뉴시스
정부, 경제단체, 10대 그룹, 중견·중소기업, 공공기관 대표 등 130여 명은 28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에서 '능력중심채용 실천선언 대국민 선포식'을 열었다. 이들은 이날 행사에서 '능력중심채용을 위한 실천선언'을 발표하고, 학벌과 스펙 중심의 채용 관행을 개선하기 위해 함께 노력하기로 했다. 취업준비생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천선언 관련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기업의 자발적인 채용 관행 개선 노력을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92.9%가 기업의 채용관행 개선이 필요하다고 지적했고, 업무와 무관한 인적사항 및 과도한 스펙을 요구하는 관행도 개선할 것을 요구했다.
http://www.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328_0013985362&cID=10401&pID=10400
▶[사설] (기고)금수저와 능력중심사회로의 변화
2016-03-29 아시아뉴스통신
최근 취업포털 인쿠르트가 20대 회원 1,053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에 의하면 응답자 중 81.1%가‘사회 때문에 취업이 어려운 것’이라고 답하였다. 그 동안의 구직자 본업인 학교교육을 열심히 끝마쳤음에도 업무현장에서 받아줄 능력으로는 사용할 수 없게 되고, 기업에서는 새로운 채용자의 별도 사내교육에 더욱 많은 비용이 소모되어 신규채용을 재고하게 되며 비효율의 채용구조를 사회에 통탄하게 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부와 한국산업인력공단의 능력중심사회 고용정책 중 일학습병행제와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이 가장 눈에 띈다. 2017년까지 1만개의 기업에서 7만명의 학습근로자를 훈련시키고자 하는 목표도 수립하고 있고, 대학의 취업교육을 강화하기 위한 장기현장실습형 제도도 확대하고 있다니 고무적이다. 또 학벌과 연공이 중시되어 온 노동시장에서 인적자원을 평가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제시된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은 2015년부터 공공기관 채용에 크게 활용하고 있다. 어학, 해외연수 등 과도한 스펙이 아니라 해당기업에 실제로 필요한 최소 직무능력에 의해 채용이 이루어지는 문화가 점차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다.
http://www.anewsa.com/detail.php?number=993593&thread=04r02
▶[사설] `능력중심 채용` 구호에 그치지 않게 하라
2016-03-29 MK오피니언
학벌·스펙 위주의 채용 관행에서 벗어나 능력과 직무 중심의 고용을 촉진하기 위한 `능력 중심 채용 실천 선언 대국민 선포식`이 어제 열렸다. 국무총리실, 고용노동부, 교육부 등 정부기관과 대한상공회의소 등 경제단체, 10대 그룹, 중소·중견기업 대표 130여 명이 참여해 공정하고 투명한 채용을 다짐한 것은 매우 이례적이다. 이날 실천 선언에는 국가직무능력표준(NCS) 활용, 선발 기준 사전 공지, 과도한 스펙 요구 지양, 청년들의 열정 보호 등의 내용이 담겼다. 정부와 기업이 손잡고 채용 문제점을 시정하겠다고 선언한 것은 바람직하다. 하지만 그동안 학연·지연을 동원한 취업 청탁이 만연해 있었던 만큼 이 같은 선언이 과연 제대로 지켜질지에 대한 의구심도 적지 않다. 탈스펙 채용이 엉뚱하게도 집안 좋고 백 있는 집 자제들을 뽑기 위한 통로로 활용되는 것 아니냐는 의심도 나온다. 이번 선언이 구호에 그치지 않으려면, 누구나 능력을 갖추면 학벌·집안과 상관없이 좋은 일자리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 헬조선, 흙수저, 열정페이 등이 유행어가 될 만큼 사회에 대한 20대 청년들 불신의 뿌리는 깊다. 실천이 따르지 않는다면 청년들의 고통과 좌절은 더 커질 것이다. `알파고 쇼크`가 보여줬듯 미래는 창의성과 능력이 좌지우지하는 시대다. 더 이상 학벌사회의 벽에 갇혀 있어서는 안 된다.
http://news.mk.co.kr/column/view.php?year=2016&no=230415
▶학벌사회 여전한데, '학벌없는사회'는 왜 해산할까
2016-03-30 오마이뉴스
'학벌없는사회' 이철호 대표는 '학벌없는사회를 해산하며'라는 글에서 시민모임 학벌없는사회가 왜 진정한 학벌 없는 사회가 만들어지기도 전에 해산을 선택할 수밖에 없었는지 속 아픈 이야기를 꺼내 놓았다. 학벌 사회와 대학서열 체제, 학벌을 통한 신분 대물림과 학벌이 만들어 낸 보편적 적대관계. 이는 여전하지만, 이전과 다른 양상을 띠고 있다는 뜻이다. "학벌없는사회를 넘어선 새로운 운동이 필요하다. 자본의 독점과 노동의 불안, 그로 인해 삶의 주체가 되지 못하는 타자로만 남아 소멸되어 가는 개인들, 존재하나 보이지 않고 말하지 못하는 이들과의 연대의 길을 찾아 떠나려 한다." 학벌없는사회의 활동은 여기서 마무리되었다. 그러나 이것이 정말로 '끝'은 아닐 것이다. 이철호 대표의 말처럼 "학벌 사회를 깨뜨리기 위한 사회적 노력은 지속되고 강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학벌 없는 사회를 향한 다른 운동이 나타나기를 기대해 본다.
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194885
▶고용부 “스펙은 대신 능력…공공기관 230곳 올해 ‘능력중심채용’”
2016-03-31 아주경제
학벌, 영어점수 등 ‘스펙’에 집착하지 않는 능력중심채용이 공공기관에 확산되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기획재정부는 지난해 130곳에 이어 올해 공공기관 100곳에 국가직무능력표준(NCS) 기반 능력중심채용을 도입한다고 31일 밝혔다. NCS 기반 채용은 해당 직무의 상세한 내용과 평가기준을 구직자에게 미리 알려주고 그 기준으로 인재를 선발하는 것을 말한다. 토익 점수나 학점 등 직무와 무관한 스펙을 따지지 않아 능력중심채용으로 일컬어진다. 정부는 올해까지 230개 기관에 능력중심채용을 도입하는데 이어 내년에는 323개 전 공공기관에 도입할 예정이다. 정부는 NCS기반 능력중심채용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 공공기관과 취업준비생을 위한 다양한 지원을 계획하고 있다. 고용부 관계자는 “정부는 그동안 채용과 교육·훈련 등 NCS 활용 과정에서 제기된 현장의 의견들을 바탕으로 산업계(산업별 인적자원개발위원회)의 주도 아래 전체 NCS를 검증·보완 중”이라며 “오는 6월에는 총 847개 NCS를 확정·고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http://www.ajunews.com/view/20160331174851108
▶두배나 많던 20∼30대 취업자, 50세 이상에 추월당해
2016-03-31 한국경제
노동시장에서 50세 이상 취업자가 처음으로 20∼30대 취업자 수를 뛰어넘었다. 이와 함께 한국 근로자들의 평균 나이는 44.4세까지 높아졌다. 다른 연령대보다 인구가 많은 베이비붐세대(1955∼1963년생)가 노후 준비를 위해 정년 이후에도 노동시장을 떠나지 않은 영향이 크지만 청년 취업난 심화, 기업들의 신규채용 저하도 '근로자 노화'를 가속화시킨 요인으로 분석된다. 반면 청년층 고용은 부진한 상황이다. 경기 전망이 불확실해지자 기업들은 신규 채용 규모를 줄이고 있으며, 그나마도 경력직 위주로 채용하고 있어서다. 김광석 한양대 겸임교수는 "신규 취업자보다는 기존 근로자가 남아있는 형태인 현재 노동시장은 상당히 정체돼 있다"며 "올해부터 정년 연장이 도입됐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33145478&intype=1
▶입시교육·사교육, 불안·욕망 먹고 자라
2016-04-01 광주드림
입시경쟁을 근본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정부의 노력, 전 국민적 차원의 실천은 너무나 중요하다. 입시경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서울대를 정점으로 전국의 모든 대학이 한 줄로 서 있는 대학서열체제를 해소해야 하고, 학벌로 인한 사회적 차별을 해소해야 한다. 하지만 이러한 해결 방안은 제법 시간이 걸리는 문제이다. 학벌 문제·대학 서열화 문제에 아무런 관심이 없어 보이는 현 정부가 이를 해결할 리 없고, 정권이 두 번쯤은 바뀌어야 해결될 문제일 듯싶다. 하지만 이를 포기할 수는 없다. 곧 있을 총선 국면에서 이 문제를 제기해야 하며, 내년 대선에는 본격적으로 대안적 정책을 마련해 이를 이슈화해야 한다.
당장 사교육 문제가 근본적으로 해결되지 않더라도 사교육 문제를 일정 정도 완화하는 것은 가능하다. 중고등학교 교육과정이나 평가 방식이 사교육을 유발하지 않는 방식으로 바꾸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다. 또 다른 방법은 사교육 시장이 최소한의 상식을 지키도록 법률로 규제하는 것이다. 사교육 시장이 최소한의 규칙이라도 지킬 수 있도록 시민들이 나서야 한다.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code=990100&artid=201603222136415
▶청년실업문제 해법, "기업인의 인내에 달렸다"
2016-04-01 머니투데이
31일 서울 마포 중견기업연합회 사무소에서 만난 반원익 중견기업연합회 상근부회장은 "우리나라의 가장 큰 사회 문제인 청년 실업과 고용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 현장에 필요한 기술 인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확산돼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반 부회장은 "무작정 청년들에게 노력하라고만 강조할 게 아니라 일찍부터 기업으로 데려와 교육을 하며 인재를 육성하려는 기업의 노력이 필요하다"며 "최근 중견기업들이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일학습 병행제'가 가장 비슷한 모델이다"고 설명했다. 일학습병행제는 독일이나 스위스와 같은 유럽 선진국에서 수십년 전부터 활용해 온 직업교육훈련제도를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게 도입한 제도다. 기업이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을 학습근로자로 채용해 현장 훈련을 하면서 동시에 특성화고 전문대 등에서 이론 교육을 받게 하는 교육 훈련 제도다. 반 부회장은 "아진산업의 경우 일학습 병행제를 도입한 뒤 학습근로자들이 투입된 금형 분야 매출은 52%나 증가했다"며 "일학습병행제를 통한 직무 적응도 증가로 이직률이 크게 감소(260%)하는 등의 효과가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6032252278&intype=1
■사교육시장
▶[각당 공약 점검] 여야 "사교육비 줄이자" 한목소리…방법은 제각각
2016.03.25. 뉴스1
다가오는 20대 총선 전략으로 새누리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당·정의당 등 여야 4당은 공통으로 '사교육비 절감'을 전면에 내세우는 등 교육 공약에 공을 들이고 있다. 새누리당은 사교육비 경감, 특히 저소득층의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 영어·수학·예체능 교과에 대한 수요를 공교육 체계 내로 흡수시키며, 초등학교 돌봄교실 확대 등 학교별 맞춤형 정책을 추진하고 지역아동센터에 있는 아동 대상으로 대학생 지식봉사활동을 연계, 전국으로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새누리당은 저소득층 영재 발굴과 교육 지원을 강화할 것을 공약으로 내걸고 초·중·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단계적 영재교육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반면 더민주가 가장 앞세운 교육 관련 공약은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대학등록금에 대해 최대 200만원까지 세액 공제 및 환급 혜택을 준다는 내용이다.장기적으로는 소득하위 계층에 대해 장학금 제도와 별개로 소득비례로 수업료를 책정하는 '소득연계형 등록금'도 검토하고 있다는 것이 더민주의 설명이다. 아울러 급증하는 사교육비 감소를 위해 △고교무상교육 실현 △초등학교 학습 준비물 및 체험 학습비의 국가 전액 부담 △교복값 30% 인하 △통합적 방과 후 돌봄 서비스 체계 구축 등도 약속했다. 또 보육예산을 100% 중앙정부가 담당하도록 하고, 국공립 어린이집을 전체의 30%까지 단계적으로 확충해 보육 공공성을 확보할 것을 공약했다.국민의당은 교육 공약을 '사교육비와 학업 스트레스 줄이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사교육비는 지난해 학생 1인당 월 24만4000원으로 조사 이래 최고치를 기록하고 학업과 경쟁에 대한 스트레스가 심하다는 학생이 지난해 83.5%로 3년전보다 10%p 이상 증가했다는 것이 국민의당의 설명이다. 이를 위해 국민의당은 대학 제도 개편을 공약하고 있다. 우선 수시전형 모집 인원을 대폭 제한해 사교육비 절감과 공교육 정상화를 기대하고, 기회균등선발을 20% 수준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또 국·공립대학교 등록금을 4년간 동결해 지방 학생들이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고, 대학별 경쟁률 평준화 및 사립대학의 등록금 인하를 유도한다는 계획이다. 정의당은 국가표준등록금제 도입으로 '반값등록금'을 실현한다는 목표를 내세웠다. 정의당에 따르면 가정의 한달 가처분소득(2014년 기준 350만원)을 표준등록금으로 하며 이를 위해 고등교육재정교부금법을 제정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수준의 고등교육재정으로 확충한다는 방침이다. 이어 대학 균형발전과 대학 서열화 해소를 위해 '대학 균형발전법'을 제정하고, 교육공무원법을 개정해 대학구성원의 자율적 결정으로 '총장직선제'를 시행한다는 내용도 담고 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9/2016032901579.html
▶‘자유학기제 실시’에 사교육 위축 전망 비웃듯 교육株 가파른 상승곡선
2016-03-25 Daily U's Line
정부가 올해부터 전면적으로 실시하는 자유학기제 등 反사교육 정책을 꺼내들었지만 한쪽에서는 오히려 사교육 시장은 더 커질 것이라는 의견이 나오며 교육 주가(株價)가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자유학기제를 시행한다고 해서 대학입시에 대한 압박이 사라지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교육에는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에는 자유학기제에 포함된 체험활동 중 일부 프로그램은 정규 교과과정에 비해 더 많은 보충교육을 필요로 할 수도 있기 때문에 새로운 사교육 시장은 더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깔려 있다. 또한 과거에도 정부가 교육시장 정상화를 위해 많은 정책을 내놨지만 사교육시장은 오히려 확대됐다는 사례를 들며 정부의 이번 몇몇 공교육적 방안이 교육시장 정상화에 영향을 미치기는 어렵다고 전망했다. 자유학기제가 사교육에 영향을 미칠 함수관계가 없다는 것이다. 이런 논란은 대표적인 대입 사교육업체 메가스터디 손주은 회장이 최근 “자유학기제가 시행되는 학기 동안은 사교육을 시킬 필요가 없다”는 발언을 하면서 업계는 별안간 긴장모드에 들어갔고 이후 사교육 업체들은 이런 자유학기제 상황이지만 학교 학습진도가 나가지 않는 절호의 공부 기회라는 마케팅을 펼쳐 시장 분위기를 반전시켜 버렸다. 김인환 U's Line 부설 미래교육정책연구소 소장은 “자유학기제 아니라 더 한 제도가 채택된다하더라도 대입위주의 교과과정 체제가 바뀌지 않고서는 사교육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며 “현재 한국의 사교육은 공교육이 나빠서가 아니라 ‘사’자 붙은 라이센스 따면서 남들보다 더 잘 돼야하는 게 인생의 승리자라고 여기고 있는 지위쟁탈의 시대에서 빚어지는 현실”이라고 지적했다
http://www.ytn.co.kr/_ln/0103_201603240802021323
▶교육주, 바닥 찍었다…새 학기 사교육 고급화 주목
2016-03-27 브리지경제
2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올해 들어 교육 관련주가 두 자릿수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새 학기 사교육 시장 고급화에 힘입었다. 웅진씽크빅, 능률교육, 비상교육, 청담러닝, 대교 등의 관련주가 크게 상승했다. 한슬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학생 수가 줄고 정부가 사교육을 규제함에도 불구하고 국내 사교육 시장은 여전히 성장세”라며 올해 대교·웅진씽크빅·청담러닝·능률교육 4개 업체 매출액 성장률을 평균 6.8%로 예상했다. 올해 이들 업체의 영업이익은 평균 60.9% 늘어날 것으로 내다보며 “성장세가 본격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전명과 더불어 대교는 주간 학습지 ‘눈높이’를 비롯해 유아 도서 브랜드 ‘꿈꾸는 달팽이’, 어린이 종합 케이블 채널 ‘어린이 TV’ 사업을, 웅진씽크빅은 ‘북클럽’을 새롭게 시작하여 새로운 성장을 시도하고 있다. 사교육 시장 분위기가 살아나면서 기업공개(IPO)를 앞둔 씨엠에스에듀에도 좋은 환경이 만들어졌다. 청담러닝 자회사 씨엠에스에듀는 수학 중심 영재 교육 학원이다. 이정기 하나금융투자 연구원은 씨엠에스에듀에 대해 “틈새 시장(niche market)을 꽉 잡은 영재 교육의 강자”라며 “영재 교육 학원 시장 점유율 33%로 업계 1위”라고 소개했다.
http://www.viva100.com/main/view.php?key=20160327010008369
▶사교육비 절감문제 '뫼비우스의 띠'
2016-03-28 시사포커스
최근 통계청은 ‘2015 가계동향조사’ 자료를 내놓으며 각 가정의 실 주거비(월세 기준)는 작년 보다 약 20% 상승한 한 달 평균 74,227원으로 나타났고 또한 2015년 기준 학생 자녀를 둔 40대 연령층 가구의 교육비(공교육포함)는 544,614원으로 2014년보다 32,198원 늘어난 것으로 발표했다. 그리고 약 54만원 중 74%가 사교육비용인 것으로 드러나 교육에 관련된 지출이 국민들의 만만치 않은 부담이면서도 중요시되는 지출 항목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경북교육청은 교육부 전략을 앞세워 34개의 사교육비 줄이기 과제를 설정, 예산 5백억여 원을 투입하여 사교육비 경감에 적극 나섰고 정부와 정치권에서도 사교육비 경감을 통해서 서민 가정에 직·간접적으로 도움을 줘야한다는 취지에 적극 공감하는 입장이다. 하연섭 교수(연세대 행정학과)에 따르면 사교육을 받는 본질적 이유는 ‘경쟁’이라고 말하고 있다. 공교육이 좋고 나쁘고 상관없이 더 좋은 대학에 들어가기 위해서 사교육을 받는 것이라는 의미다. 좋은 대학에 들어가야만 좋은 직장에 갈수 있고 높은 보수를 받을 수 있는 사회적 구조가 사교육을 받는 근본적 주범이라고 꼬집은 것이다. 신중섭 강원대 교수는 어떤 정책이 나와도 사교육은 줄지 않는다고 말한다. 공교육이 부실해서 사교육이 비대화되는 것이 아니라 대학입시 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해 좀 더 좋은 대학에 들어가려는 열망이 사라지지 않기 때문에 사교육이 사라지지 않는 것이라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인식 또한 바뀌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우리 사회에 거의 획일적으로 머리속에 박힌 ‘좋은 대학 = 좋은 직장’ 이라는 생각에 대한 인식 전환을 요구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이는 좋은 대학에 들어가 ‘좋은 직장’을 얻는 것도 중요하지만 ‘스스로에게 행복한 직업’을 얻는 것도 그에 못지않게 중요하다는 것이다.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736601.html
▶'알파고 세대' 코딩 열풍… 사교육까지 들썩
2016.03.29 소년한국
최근 ‘알파고’ 열풍에 힘입어 초등학교 학부모들 사이에 코딩 사교육 열풍이 불고 있다. 2018년부터 의무화되는 SW 교육에 대비하는 것도 포함이다. 일부 초등학교에서 방과후 수업이 이뤄지고 있지만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사교육 시장까지 들썩이고 있다. 교육부는 2018년부터 정규 교육 과정에 SW 교육을 포함시키기 위해 2016년도 SW 연구ㆍ선도학교 900곳도 발표했고 초등학교의 경우 지난해 선정된 97곳을 포함해 479개교에 이른다. 하지만 여전히 코딩 교육 기회가 부족하다고 느끼는 학부모들이 사교육 시장 문을 두드리고 있다. 학원 관계자는 “문의는 대부분 어머니들이 하지만 상담을 하다 보면 아버지들의 뜨거운 관심을 확인하게 된다. 소프트웨어를 다루는 직업을 가진 학부모들도 많은 편”이라고 귀띔했다. 성인 대상의 SW 전문 학원에도 문의도 많다고 한다. 일부 지방 자치 단체와 기업도 어린이 코딩 교육에 적극 나서고 있다. 지난달 마포구청에서 초등 3~6학년을 대상으로 연 SW 교육 캠프에는 40명 정원에 109명이 지원해 참가자를 추첨해야 할 정도로 인기였다. SK텔레콤도 초등학생이 SW 개발 과정을 익힐 수 있는 교육 로봇 ‘알버트 스쿨’을 출시해 코딩 교육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http://kids.hankooki.com/lpage/news/201603/kd20160329151135125630.htm
▶"밤에 EBS 인터넷 강의 들을 거에요"…수면실로 변한 고3 교실
2016.03.29. 조선일보
EBS 교재가 교과서를 대신하면서 일선 학교에서 수업을 듣지 않는 학생이 늘고 있다. 교단 위 선생님의 수업은 외면하고, EBS 인터넷 강의만 찾아 듣는 것이다. 교사들은 “학교 수업이 EBS 교재 문제풀이를 위한 ‘보강’ 정도로 인식되는 현실이 서글프다”고 하소연하고 있다. EBS에 대한 학생들의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학교 선생님들을 외면하는 아이러니한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서울시 관악구의 한 고등학교 3학년생 이모(18)군은 “EBS 동영상 강의와 학교 수업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면, 모든 과목에서 EBS를 선택할 것”이라며 “이런 분위기 때문인지 선생님들도 수업에 열의가 떨어진 것 같다”고 말했다. 교사들은 “사교육 강사들도 모자라 이젠 EBS한테까지 밀려났다”고 한탄하는 분위기다. EBS 인강과 경쟁하며 학생들을 수업에 참여시키기 위해 피 말리는 노력을 하는 교사들도 있다. 일부 젊은 교사들은 퇴근 후 EBS 동영상 강의나 사설 인강을 섭렵하며 새로운 교수법을 연구하고 있다. 교육 당국은 EBS-수능 연계 정책이 불러온 부작용에 대해 알고 있지만, 뚜렷한 해결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다. 교육부 관계자는 “수능 시험에 EBS 비중이 높아지면서 학교 수업이 파행 운영되는 현실을 알고 있지만, 교육부 차원에서 대책을 논의한 적은 없다”고 말했다. 서울시교육청의 한 장학사는 “EBS 수능 연계를 끊을 경우 사교육 비중이 늘어나고, 교육기회 불평등이 심화하는 등 더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말했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9/2016032901579.html
▶학부모 절반 이상, 수행평가 확대 찬성…"사교육으로 준비한다"
2016.03.31 . MoneyWeek
영어교육 전문기업 윤선생은 학부모 세 명 중 두 명은 초중고 수행평가 성적 반영률의 확대를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설문조사 결과(대상: 초등학생 이상 자녀를 둔 학부모 485명. 조사기간: 3월 25일 ~ 29일)를 31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수행평가 확대방안에 대해 67.8%가 ‘찬성한다’고 답했다. 이 중 51.8%는 ‘일부 과목만 허용하는 조건으로 찬성한다’고 응답했고, 16.0%는 ‘찬성한다’는 의견을 보였다. ‘반대한다’는 대답은 32.2%였다. 수행평가 확대방안을 찬성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절반 이상이 ‘학습 참여율 및 학습 향상에 도움이 될 것 같아서’(64.4%)와 ‘아이의 창의력을 높여줄 것 같아서’(54.4%)를 꼽았다. 수행평가로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음악, 미술, 체육 등 예체능(69.6%)을 가장 많이 꼽았다. 수행평가 확대를 반대하는 이유(복수응답)는 ‘공정한 평가가 어려울 것 같아서’(98.1%)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부모에게 가중될 시간과 비용부담 때문’이라는 이유도 73.1%를 차지했다. 수행평가에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과목(복수응답)으로는 국어(73.7%), 영어(72.4%), 수학(67.9%) 등을 주로 선택했다. 평소 자녀의 수행평가를 직접 도와주는 학부모는 43.1%였다. 수행평가를 돕는 이유는 ‘아이의 성적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41.0%)이 가장 많았고, 전체 수행평가 준비를 100%로 봤을 때 부모의 기여도는 평균 42.1%였다. 사교육의 도움으로 수행평가를 준비하는 경우도 36.7%였다. 현재 도움 받고 있는 과목(복수응답)은 ‘영어’(69.4%)가 가장 많았다. 앞으로 수행평가가 확대되면 ‘사교육을 늘린다’는 답변은 33.9%였고, ‘늘리고 싶으나 여유가 없다’(31.4%), ‘늘리지 않겠다’(28.7%), ‘모르겠다’(6.0%)가 뒤를이었다.
http://www.moneyweek.co.kr/news/mwView.php?no=2016033108448022776
▶[열린 포럼] 학교가 죽으면 마을도 죽는다
2016.04.1. 조선일보
교육부가 경비 절감 차원에서 소규모 학교 통폐합 계획을 내 놓았다. 전국의 1만1500여개 학교 중에서 1700여개교가 그 대상이다. 교육부는 강제성은 없다고 말하지만 지방교육청에 통폐합 학교당 110억씩 지원금을 지원하기로 했다. 늘 재정 압박을 받는 지방으로서는 포기할 수 없는 차등 지원이다. 강원도와 영·호남 지방만이 아니라 경기도에서도 200개가 넘는 학교가 대상이 된다. 학교가 좋지 않으면 주민들이 마을을 떠난다. 학교가 폐지되면 남아 있는 주민도 떠난다. 그래서 시장·군수는 주민과 함께 좋은 학교를 만들기 위해 모든 것을 걸려고 한다. 하지만 교육 발전을 위해선 아무것도 할 수 없다. 지방교육자치가 광역시·도 단위로만 실시되고 기초자치단체는 교육에 관한 권한이 없기 때문이다. 주민끼리 의논해 자녀 교육 문제를 해결하자는 것이 교육 자치의 본질이다. 주민들의 관심은 자녀가 다니는 시·군·구의 학교에 있다. 경기도 교육청이 도내 모든 지역에 맞는 결정을 하려다 보니 부천에도 맞지 않고 가평에도 맞지 않는 어정쩡한 결정을 하게 되고 주민들의 실생활과는 유리된다. 학교는 관료적인 관리와 통제의 대상이 되어 획일화된다. 교육은 현장성이 없고 활력도 잃는다. 풀뿌리 교육이 죽고 사교육이 팽창하는 이유다.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31/2016033102736.html
▶“진로 선택 프로그램 확대해야”
2016.03.29. 중도일보
대전시교육청의 ‘유·초·중·고·대학 연계교육’이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기주도적으로 최적의 진로 선택을 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또 학교 현장의 이해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과 우수사례를 적극 공유해야 하는 노력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9일 대전시교육청에서 열린 제9회 공감토크에서 박현경 호수돈여중 학부모 대표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얻은 경험을 살려 원하는 대학, 또 자신의 꿈도 설계할 수 있다”며 “고등학교에는 수십개의 동아리가 있는 만큼 입학하기 전 이 동아리에서는 무엇을 배울 수 있는지 등을 알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안성경 대신고 학부모 대표는 “교육과정 속에서 꾸준한 진로 탐색을 하는 게 중요하다”며 “중학교까지 다양한 활동을 체험한 후 고등학교 진학 기간 총 3회의 적성검사를 실시해 구체적인 꿈을 그려나갈 수 있도록 해달라”고 요청했다. 박은정 둔산중 학부모 대표는 “다양한 직업군의 사람을 초청해 강의를 들려주면 아이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이라며 “학부모의 재능 기부도 한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유치원 자녀를 둔 학부모는 커지는 사교육 시장에 대한 우려감을 표하기도 했다. 이에 대해 설동호 시교육감은 “인접 학교간 교육과정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은 물론, 대학과 연계해 다양한 학과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며 “수요가 많은 동아리의 경우 2개반 이상의 복수 동아리를 개설하는 방향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www.joongdo.co.kr/jsp/article/article_view.jsp?pq=201603290404
■교육통계
▶'대졸자 고용한파' 25~29세 청년층 실업률 사상 첫 두자릿수 기록
2016-03-27 뉴스데일리,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2월 15∼29세 청년층 실업률이 12.5%를 나타냈다. 1999년 6월 실업자 기준을 구직기간 1주일에서 4주일로 바꾼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특히 25~29세 청년실업률은 11.9%로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해 같은기간보다 무려 2.8%포인트 상승했다. 20대 후반의 실업률이 두자릿수를 나타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역대 최고 기록은 2014년 2월의 9.8%였다. 또한 지난달 늘어난 실업자 10명 가운데 7명이 20대 후반이라는 사실이 청년층에 불어닥친 고용한파가 한층 더 매서워졌다는 것을 방증한다. 대개 청년층 가운데서도 20대 초반(20~24세)의 실업률이 20대 후반에 비해 높게 나타난다. 그런데 지난달 20대 초반의 실업률은 13.4%로 1년 전( 13.9%)보다 0.5%포인트 떨어졌다. 상대적으로 20대 후반의 실업률은 늘어났다. 지난 2월 전체 실업자가 1년 전보다 11만4000명 늘었는데 그 가운데 8만명이 20대 후반이다. 늘어난 실업자 10명 중 7명이 20대 후반의 청년들이라는 얘기다. 대학졸업 후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거나 대기업이나 공기업 같은 안정된 양질의 일자리를 얻기 위해 스펙쌓기에 상당한 시간을 할애하면서 취업 문을 두드리는 시기가 점차 늦어지는 것도 실업률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높은 대학 진학률과 양질의 일자리를 찾기 위해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연령대가 갈수록 높아지고 있는 현실을 감안해 정부의 청년 일자리 대책도 좀더 연령별로 세분화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2월 보고서에서 2015년 1~8월 청년층 실업률이 정부 공식 통계에서는 9.7%를 나타냈지만 평균 체감 실업률은 그보다 높은 22.4%를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학력별·성별 체감 실업률을 추정한 결과 대학 교육을 받은 청년 남성의 체감 실업률이 청년층 체감 실업률보다 5.5%포인트 높은 27.9%로 나타났다"면서 "대략 우리나라 청년 4명 중 1명은 잠재실업자인 셈"이라고 지적했다.
http://www.news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80099
▶세종리포트/ ‘사교육 광풍’ 부는 세종
2016-03-27 한국일보
세종시에 ‘사교육 광풍’이 불고 있다. 학원은 물론, 과외 등 사교육 시장이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
세종시교육청에 등록된 학원과 교습소, 개인과외는 2012년 총 252건이었다. 하지만 4년 이 흐른 15일 현재 4.7 배가 늘어난 1,190건에 이른다. 이 가운데 가장 눈에 띄게 증가한 것은 과외다. 2012년 158건에서 2015년 말 882건으로 5배가 넘는 규모로 커졌다. 무등록 과외를 감안하면 실제 과외 증가율은 이를 훌쩍 넘을 것으로 보인다. 과외 교사는 국ㆍ영ㆍ수 전공자는 물론, 국내 유명대학 졸업생과 해외파까지 다양하게 활동하고 있다. 입시 컨설팅 전문 학원도 속속 세종시에 들어서고 있다. 대전이나 청주에서 입시 컨설팅을 받던 게 이미 옛말이 된 것이다. 입시 학원이 주를 이루지만 러시아와 중국어 등 제2외국어 학원이나 과외도 생겨나고 있다. 교육부와 통계청이 발표한 ‘2014년 사교육비 실태 통계’를 보면 세종시의 사교육 참여율은 66.3%였다. 출범 2년 만에 이미 대도시인 부산과 인천을 추월한 것이다. 이는 정부부처 공무원 자녀와 30~40대 젊은 층의 자녀 등 교육열이 높은 부모를 둔 학생이 많이 유입됐기 때문이다. 이주 공무원 자녀가 가장 많이 다니는 학교인 연세초 이모(4학년)양은 “학교가 끝나면 친한 친구들과 함께 학원 3곳을 다닌다”고 말했다. 사교육 시장이 커지면서 불법 행위도 잇따르고 있다. 지난 해 시교육청의 단속 결과, 33건이 적발돼 경고 및 과태료 처분을 받기도 했다. 시교육청 관계자는 “사교육 시장이 과열 양상을 보이고 있다”며 “불법행위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보여 적극적으로 관리, 단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http://www.hankookilbo.com/v/cc2026901e5c4be18484427474ee7baf
▶"전셋값 못 견디겠다"…서울 탈출 20~30대 급증
2016-03-28 뉴스토마토, 통계청 ‘인구 이동 통계’
지난해 순유출률이 가장 높은 도시는 서울(-1.4%)로 나타났다. 서울로 이사오는 사람보다 서울 떠나는 사람이 지난해에만 13만7000여명에 달했다. 연령별로는 30대가 전체의 22.3%로 가장 높았고, 이어 20대가 22.0%로 뒤를 이었다. 결혼에 따른 신혼집 마련과 직장 문제로 서울을 떠나는 사례가 가장 많았다. 부동산114 집계를 보면 서울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전세가율)은 70%를 넘어섰다. 전국 월평균 주거비는 월 7만4227원으로 1년 새 20.8% 급증했다. 서울을 떠난 60.2%는 경기 지역으로 이동했다. 서울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셋값 등 주택 마련 비용이 저렴하고 광역 교통망 발달로 출퇴근이 쉬워졌기 때문이다. 이와 함께 정부의 인구분산 정책으로 서울 및 수도권에 위치한 공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면서 직장을 따라 서울을 떠난 인구도 탈서울 가속화에 영향을 미쳤다. 특히, 세종의 경우 정부 주요 부처가 이동하면서 인구 유입률이 크게 증가했다. 여기에 강남권 재건축 여파로 경기 하남, 분당 등으로 이사를 하는 사례가 늘면서 서울 인구 감소세를 부채질했다. 지난해 전출자보다 전입자가 많아 순유입을 보인 시도는 세종이 가장 높았다. 지난해 총 8만4000명이 세종으로 유입되고 3만1000명이 빠져나가 순유입 인구가 5만3000명에 달했다. 서울 인구가 많이 이동한 경기는 0.8%로 집계됐다. 기존 경기 지역 인구는 지방으로 이동하고, 그 자리를 서울에서 이동한 사람들이 채운 것이다. 특히, 세종 전입자의 36.8%는 대전에서 이동한 것으로 나타나 직장 이외에 학군 등 교육 문제 때문에 이동한 인구도 많은 것으로 추정된다. 세종 전입자 연령층은 전 연령이 고루 분포해 있었다. 세종의 경우 다른 생활권에 비해 학교 수는 많은데 학급당 정원이 적어 교육환경이 좋은 데다, 지난해에만 도담동·아름동에만 학원 수십여곳이 새로 생겨날 만큼 교육열이 집중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서는 강남8학군의 형성과정이 세종에서 재연되고 있다는 주장도 나올 정도다.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638905
▶저물가 혜택 고소득층이 더 많이 누렸다
2016-03-29 초이스경제, 현대경제연구원 ‘저물가의 가계 특성별 영향 및 시사점’ 보고서
지난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은 0.7%에 그쳤다. 통계 집계 상 가장 낮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이를 소득별로 지출 비중이 높은 품목에 맞게 가중치를 조정하면 소득이 적은 1분위의 물가 상승률은 1.1%였지만, 소득이 많은 5분위는 0.4%였다. 2분위와 3분위는 0.9%, 4분위는 0.7%였다. 소득이 많을수록 체감 물가상승률이 낮았던 셈이다. 이처럼 소득계층별로 물가가 다른 것은 소득이나 가구, 연령에 따라 소비 품목이 다르기 때문이다. 저소득층일수록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비의 비중이 높고 교육, 교통 지출 비중이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고소득층일수록 교통, 오락․문화, 교육 지출 비중이 높고 식료품, 주거, 보건, 통신 지출 비중은 낮았다. 40대 중년 가구는 교육비, 60대 이상 고령 가구는 식료품, 주류, 담배값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백다미 선임연구원은 “저물가로 인한 혜택이 상대적으로 적었던 저소득층, 소형 가구 등의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식료품 물가 안정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 “교육비 물가에 부담을 느끼는 중년 및 다인 가구에 대해 사교육비 책정의 투명성을 높이고, 공식물가와 체감물가의 차이를 설명할 수 잇는 다양한 소비자물가지수 개발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http://www.choice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6067
▶통계청, 중학생용 실용통계교육 교재 개발
2016-03-31 헤럴드경제
통계청은 중학교 실용통계교육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1월부터 교육부와 협업해 수학교사를 위한 학습 교재를 개발, 31일 완료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프로젝트형 수학 수업 방식에 통계분야를 적용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실용통계교육 교재 개발을 위해 교육부 담당자와 일선 수학교사 및 교육관련 교수 등 8명이 참여했다. 이 교재는 교육부의 수학교사 연수와 중학교 1학년 자유학기제 통계수업에 활용될 예정이다. 유경준 통계청장은 “중등 교사들이 변화된 통계수업을 하는데 실질적인 도움이 되도록 교육부와 지속적으로 협업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331000273
▶통계분석과 빅데이터 분석의 차이점은?
2016-04-01 아이티투데이
이현종 빅스터 대표는 데이터 분석을 할 때 기존 통계 분석과 빅데이터 분석, 데이터 마이닝 등 3대 분석 기법간의 관계를 인지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 강연은 한양대학교 오픈소스SW사업단 주최, 데브멘토 후원의 재직자 교육 과정 ‘오픈소스 R을 통한 빅데이터 분석 실전’이라는 과정에서 진행됐다. “전통적인 통계분석과 빅데이터 분석은 다르다”면서 “통계분석은 데이터를 분석할 때 모수(전체수)가 있는데 그것을 알고 싶기 때문에 모수를 추론하기 위해서 샘플링을 하게 된다”고 설명했다. 샘플을 갖고서 모수를 추정하는 것이 전통적인 통계분석의 기법이라는 것. 보통 두개 집단을 비교 분석하는 사례가 많다. 1000명 대상의 샘플링을 통해 5000여명의 생각을 알고 싶은 것이기에 샘플의 의미 파악이 중요하다.
빅데이터 분석은 이와 조금 다르다. 이미 모수(전체수)를 갖고 있다는 점이다. 빅데이터 분석은 기존 모수 안에 숨겨진 패턴, 보이지 않았던 패턴과 규칙을 찾는 것이 관건이 된다는 것. 이미 모수를 갖고 있기 때문에 샘플링이 의미가 없고 데이터 안에서 분석을 하면 되는 것이 기존 통계분석과는 다르다. 그러다보니 기존 데이터를 어떻게 나눌까, 분류를 할까. 데이터 간의 거리 계산 등에 중점을 두게 된다. 이현종 대표는 “데이터를 분류할 때도 통계분석과 빅데이터 분석간 분류하는 방법이 다르다”면서 “빅데이터 분석을 할 때 모수 전체 안의 패턴이 맞느냐, 안 맞느냐를 하기 위해서 통계분석을 쓰는 하이브리드 분석도 요즘 트렌드”라고 말했다.
http://www.it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69298
■법률
▶'성폭력 경력 조회' 않는 학원들…학생들 무방비 노출
2016-4-1 노컷뉴스
지난해 서울에서만 100여개 학원이나 교습소가 강사 채용 때 성범죄 경력조차 조회하지 않는 등 성범죄에 대한 의식이 여전히 희미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3월 문을 연 서울 남부지역의 한 연기학원은 최근 강사들의 성범죄 경력 조회를 하지 않아 과태료를 부과받았다. 성범죄 경력 조회 위반으로 학원 및 교습소에 부과한 과태료 건수 및 액수는 지난 2013년 101곳(1억4,100만 원)에서 2014년 56개소(6,800만 원)로 줄다가 지난해 다시 늘어난 것이다. 특히, 지난해 학원 1곳과 교습소 2곳은 원장의 성범죄 경력이 드러나 문을 닫았고, 개인과외교습자 4명도 폐업조치됐다.
시도교육청에서는 1년에 한 두 차례씩 학원원장 및 강사, 교습소 원장, 개인과외 교습자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성범죄자들을 걸러내고 있다. 학원 강사 채용때 성범죄 경력조회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성범죄자 전수조사 때까지 아동·청소년들이 성범죄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있는 것이다. 성범죄 경력을 조회하지 않을 경우 물게 되는 과태료가 감경 조치를 포함해 150만원에 그치는 등 솜방망이 처벌이 이뤄지는 것이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홍보 부족 등으로 학원 관계자들이 강사를 채용할 때 성범죄 경력을 반드시 조회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모르는 것도 한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현행 아동·청소년의 성보호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학원 등은 강사를 채용하고자 하는 경우 경찰서에 강사의 성범죄 전력을 조회하게 돼 있고, 성범죄 전력이 있는 사람은 10년 동안 학원 등에 취업할 수 없다.
http://www.nocutnews.co.kr/news/4569819
■우리 단체
▶사교육걱정, "선행교육규제법 무용지물, 10개지역 선행광고 113건 적발"
2016-03-29 국민일보
“2018년도 수능영어 절대평가 시행! 특목영어! 대입영어! 중학교에서 끝내야 합니다!!” “예비중(초4-초6)(정원3명) 중등+고등 내신/수능반” 중학교에서 대입수학능력시험 영어를 끝내라는 광고부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수학 수능반 수업 광고까지.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이 시행 3년차를 맞았는데 학원가의 선행광고는 여전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전국 10개 지역 사교육 업체 선행교육 광고 실태를 시민들과 함께 조사한 결과 113건이 적발됐다고 29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은 서울 3개 지역(대치동, 중계동, 목동), 경기 4개 지역(분당 수내동, 안양 평촌, 수원 영통, 일산동구 풍동), 광주·대전·부산광역시 총 10개 지역이었다.가장 많은 선행광고가 발견된 곳은 서울 강남구 대치동(28건)이었다. 그 뒤를 광주광역시 남구 봉선동(15건),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14건)이 이었다. 수도권과 3개 광역시에서 10곳을 선정해 전국적인 캠페인을 벌인 결과 서울에서는 대치동 다음으로 목동(9건), 중계동(8건)이 많았다. 경기 지역은 고양시 일산동구 풍동(10건), 성남시 분당구 수내동(8건), 안양시 동안구 평촌동이(6건), 수원시 영통구 영통동(6건) 순이었다. 광역시는 광주 봉선동과 대전 둔산동 뒤를 부산 해운대구 좌동(11건)이 이었다.
http://news.kmib.co.kr/article/view.asp?arcid=0010486873&code=61121111&cp=nv
▶시험대신 수행평가 '갑론을박'
2016-03-30 충북일보
정부가 교과 특성에 따라 수행평가만으로도 학생 교과성적을 매길 수 있도록 한다는 소식을 접해들은 충북도내 고교 교사들이 반발하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주 지필고사 없이 수행평가만으로 학생들의 성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충북도내 중고교 교사들은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객관적 평가 기준 등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상황에서 수행평가만으로 학생을 평가하는 방식은 문제가 많다고 지적했다. 그러나 교육시민단체인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성명을 통해 "교육부가 지필고사 없이 수행평가만으로도 성적을 산출할 수 있도록 허용한다는 방침을 밝힌 것을 환영한다"며 "수업평가의 개선은 곧 수업의 개선과 연결될 것이며, 고교에서도 수행평가가 도입되면 학생의 질적 평가가 가능해지므로 현재의 비교과 스펙 중심 학생부 전형의 문제를 극복할 대안이다"고 덧붙였다. 다만 "수행평가가 '엄마 숙제'가 되거나 사교육 시장의 상품이 되지 않도록 학교 수업 시간 내에 수행평가가 이뤄지도록 하는 등 보완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수행평가만으로 학생들을 평가한다는 교육부의 방침에 충북도내 교육계가 갑론을박 시끄러워지고 있다.
http://www.inews365.com/news/article.html?no=440787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 만들기'에 빠진 입시학원장
2016-03-30 경남도민일보
'사교육 걱정 없는 세상에서 희망을 보다.' 주황색 명함을 받아들자 크게 적힌 이 문구가 눈에 먼저 들어온다. 그 밑에 작은 글씨로 신현승(42) 씨 이름이 보인다. 이름 옆에 '김해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100인 강사. 사교육&자기주도학습 상담위원'이라고 소개해놨다. 신 씨를 알게 된 건 SNS(페이스북)를 통해서다. '김해에서 나름 잘나가던 특목 학원 원장이 왜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 같은 단체를 알게 되어서 학원을 그만두고 교육운동을 하게 되었을까'라는 소개 글을 읽고 덩달아 궁금해졌다. 지난 25일 창원 한 카페에서 그를 만났다. "사교육 걱정없는 세상은 2022년 대한민국에서 입시 시교육이 사라진다고 주장합니다. 2014년 2월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 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선행 교육 금지법)'이 통과됐고, 특목고 입시요강이 내신 중심으로 바뀌는 등 사교육 없는 세상을 위한 계획에 꾸준히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아이들이 사교육을 받는 이유는 엄마·아빠 불안감이 크죠. 혼자면 불안감이 없어지지 않아요. 하지만 지역 모임 등 교육공동체를 통해서라면 사교육 없는 세상은 충분히 꿈꿀 수 있습니다."
http://www.idomin.com/?mod=news&act=articleView&idxno=504808
▶선행학습 부추기는 광고, 해운대 도배질
2016-04-01 부산일보
교육시민단체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이 지난 2월 전국 주요 시·도를 대상으로 '나쁜 광고 찾기 캠페인'을 벌인 결과 해운대구 좌동 신시가지 내 학원과 교습소 23곳이 선행학습 등에 관한 부적절한 광고를 게재한 것으로 드러났다. 부산에서는 해운대구 좌동 지역만이 이번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좌동 A 수학학원은 '초등부 심화과정, 중등 수학까지 완벽지도', '학년을 초월하는 무학년제 수업' 등의 선행학습을 조장하는 내용의 광고지를 학원 입구에 버젓이 내걸었다. 이 학원은 구체적인 근거도 제시하지 않은 채 '내신·수능 1등급을 가장 많이 배출한 학원' 등 과장광고가 의심되는 표현도 함께 내세웠다. B 영어교습소는 입구에 입간판을 세워 초등학생 대상 '중등 선행반'을 개설한다는 내용을 홍보했다. 특히 B 교습소는 대학수학능력시험 외국어 시험 만점자 18명을 배출했다는 점을 강조하며 해당 학생 소속 학교 명단을 게시하는 방법으로 사교육 참여를 부추겼다. 이밖에도 수능 과학탐구 영역에서 1등급을 받았다거나, 서울 주요 대학에 합격한 학생들의 실명을 그대로 게시판에 실어 광고하는 사설학원도 상당수 확인됐다. 사교육걱정없는세상은 이들 사설학원의 광고들이 불법이라고 지적하며 교육부와 각 시·도 교육청 차원의 철저한 단속을 촉구했다.
http://news20.busan.com/controller/newsController.jsp?newsId=20160401000082
첫댓글 와~ 교육에 대한 정보가 한 눈에 들어오네요~~~
히야~ 너무 좋습니다~ 교육의 흐름이 한 눈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