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댓글마테오 리치(이탈리아어: Matteo Ricci, 중국어 간체자: 利玛窦, 정체자: 利瑪竇, 병음: Lì Mǎdòu 리마더우[*], 한자음: 이마두, 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다. 호(號)는 서강(西江), 청태(淸泰)·존칭은 태서유사(泰西儒士)이다.
또 다른 중국식 이름은 ‘이마두’(利瑪竇), 별호는 서방에서 온 현사(賢士)라는 뜻의 서태(西泰)(서강 청태의 줄인 말), 마테오(Matteo)는 그의 세례명이다. <곤여만국전도>와 <천주실의>로 유명하다.
선교사로서는 최초로 중국에 기독교를 선교했으며[2] 아울러 유럽의 과학과 문화도 전했다. 저서인《천주실의》는 한국의 천주교 성립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1578년, 인도에 도착하여 4년간 지내다가[4] 마카오로 거쳐 1583년 9월부터 광둥 중부 자오칭(肇慶)에서 중국문화와 풍속을 배우며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유학경전 학습에도 매진하여 공자와 유가사상을 최초로 서양에 소개하기도 했다.
존 로스(John Ross, 중국 이름: 나요한(羅約翰), 1842년 ~ 1915년)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장로교 선교사로서 중국에서 선교활동 중에 최초로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한 사람이자[1] 한글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도입한 사람으로 알려져있다.[2][3] 그는 한국인 이응찬으로부터 한국어를 배운 후 한국어 학습서(1877)과 한글 역사책을 펴내기도 했다.
첫댓글 마테오 리치(이탈리아어: Matteo Ricci, 중국어 간체자: 利玛窦, 정체자: 利瑪竇, 병음: Lì Mǎdòu 리마더우[*], 한자음: 이마두, 1552년 10월 6일 ~ 1610년 5월 11일)는 로마 가톨릭교회의 사제이자, 중국을 비롯한 아시아 대륙에 기독교 신앙을 정착시킨 이탈리아 출신 예수회 선교사이다. 호(號)는 서강(西江), 청태(淸泰)·존칭은 태서유사(泰西儒士)이다.
또 다른 중국식 이름은 ‘이마두’(利瑪竇), 별호는 서방에서 온 현사(賢士)라는 뜻의 서태(西泰)(서강 청태의 줄인 말), 마테오(Matteo)는 그의 세례명이다. <곤여만국전도>와 <천주실의>로 유명하다.
선교사로서는 최초로 중국에 기독교를 선교했으며[2] 아울러 유럽의 과학과 문화도 전했다. 저서인《천주실의》는 한국의 천주교 성립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1578년, 인도에 도착하여 4년간 지내다가[4] 마카오로 거쳐 1583년 9월부터 광둥 중부 자오칭(肇慶)에서 중국문화와 풍속을 배우며 선교활동을 시작하였다. 유학경전 학습에도 매진하여 공자와 유가사상을 최초로 서양에 소개하기도 했다.
이외 아래 위키 백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B%A7%88%ED%85%8C%EC%98%A4_%EB%A6%AC%EC%B9%98
천주실의 天主實義
요약- 중국 북경에서 예수회 신부 마테오 리치가 한역(漢譯)하여 1603년에 간행한 교리서. 천주교교리서.
이외 아래 Daum 백과 참조
https://100.daum.net/encyclopedia/view/14XXE0056037
존 로스 (선교사)
존 로스(John Ross, 중국 이름: 나요한(羅約翰), 1842년 ~ 1915년)는 스코틀랜드 출신의 장로교 선교사로서 중국에서 선교활동 중에 최초로 성경을 한국어로 번역한 사람이자[1] 한글 띄어쓰기를 처음으로 도입한 사람으로 알려져있다.[2][3] 그는 한국인 이응찬으로부터 한국어를 배운 후 한국어 학습서(1877)과 한글 역사책을 펴내기도 했다.
존 로스는 중국 동북지방에서 사역을 하며 심양의 동관교회를 설립하기도 했다.
이외 아래 위키 백과 참조
https://ko.wikipedia.org/wiki/%EC%A1%B4_%EB%A1%9C%EC%8A%A4_(%EC%84%A0%EA%B5%90%EC%82%AC)
한국교회사에서 기본으로 알고 가야 할 필수적이고 유익한 내용입니다.
하나님을 당연하게 알았는데 이렇게 잘 정리해 주시니 제가 모르던 부분이 많습니다. 좋은 동영상 감사합니다.
한국에선 하나님이 좋은 번역으로 잘 정착된 사례라로 봅니다. 토착어든 신조어든 기독교의 하나님을 대체할 수 있는 신은 어디에도 없죠. 유일무이한 창조주시니까요. 옥성득 교수가 고 옥한음 목사의 아들인데 교회사 책을 썼군요. 좋은 영상 잘 보았습니다.
공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