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액정의 분류 | |
---|---|
네마틱 액정 | 스멕틱 액정 |
![]() |
![]() |
네마틱 액정은 위로 펴진 이방적 액체에 대응하는 액정이다. 위치성이 없기 때문에 액체와 같은 동일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시중의 액정 표시장치나 액정 온도계에 이용되고 있는 것이 이 구조의 액정이다. 스멕틱 액정은 적어도 1차원적인 중심성 구조이며 다른 말로 층상 구조를 가지는 액정이라고 한다. 상기의 그림에서 층 구조에서 분자가 기울어져 있지만, 층 구조에서 분자가 수직으로 되어 있는 그림이 일반적이다.
액정을 구성하는 분자는 비대칭 탄소를 가지고 있어서 라세미는 아니고 카이럴리티를 가지는 경우에는 액정의 분자축의 배양성이 공간에서 연속적으로 변화해서, 결과적으로 거시적인 나선 구조가 출현된다. 나선의 주기는 분자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주기에 의한 빛의 반사 성질이 있으므로 나선 주기가 가시광선의 파장에 도달하면 빛깔을 가지게 된다. 액정에 따라서 온도에 의한 나선 주기가 변화한다. 이것을 이용한 것이 액정 온도계이다. 나선 구조를 가지는 네마틱 액정을 콜레스테릭 액정이라 부른다. 이런 종류의 액정은 콜레스테롤 유도체로 최초에 발견되었기 때문에 만들어진 명칭이다. 콜레스테릭 액정은 열역학적으로 네마틱 액정과 동일하기 때문에 네마틱 액정의 일종으로 카이럴 스멕틱 액정(Chiral Smectic Liquid Crystal)이라고 부른다.
카이럴 액정의 비대칭 명칭의 기원은 대부분 분자 내부에 포함되는 비대칭 탄소 때문이다. 최근 비대칭 탄소를 포함하지 않는 벤드코어 분자로 구성된 액정에서도 거시적인 카이럴리티가 발견되기도 하지만, 거시적인 카이럴리티의 발현 기구는 절대적으로 명확하지 않다.
장성한 스멕틱 액정구조(분자가 기울어진 층상 구조를 가지는 액정구조)에서 분자간에 전기 쌍극자의 정렬이 일어나면 거시적인 자발분극이 생겨서 강유전성이 발생되는 경우가 있다. 강유전성 액정의 특징은 고속 전기장 응답속도(일반적으로 1 ms 이내)나 메모리 효과(전기장이 없어도 분자 배향이 유지됨)가 있다. 이 고속 응답속도를 이용한 강유전성 액정 디스플레이(FLCD : Ferroelectric Liquid Crystal Display)를 일시적으로 캐논에서 판매하였다. (1995년 ~ 1999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