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다면체는 각 면이 모두 합동인 정다각형이고, 또 각 꼭지점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같은 볼록한 다면체를 말한다. 플라톤의 다면체라고도 한다.
플라톤은 정다면체가 5가지 뿐이라는 사실이 몹시 신기했던지 우주를 구성하는 4가지의 원소를 정다면체와 대응시켰다. 흙-정육면체, 불-정사면체, 공기-정팔면체, 물-정이십면체 등 정다면체를 하나씩 대응시켜 정십이면체가 우주를 상징한다고 믿었다고 한다.
5종류의 정다면체는 고대 그리스에서 발견되었으며, 유클리드의 《기하학원본》 최종권(제13권)에 기술되어 있다. 정사면체·정육면체·정팔면체는 오래전부터 알려져 있었지만, 정십이면체·정이십면체는 피타고라스학파에 의해 발견되었다.

정다면체가 이 다섯가지뿐이라는 내용의 증명
한개의 꼭지점에서 세개 이상의 면이 모여야 입체가 된다.
그러나 모인 도형의 각의 합이 360이상이 되면 입체도형이 될수 없다.(360도는 평면이 된다.)
삼각형이 한꼭지점에 3개모이면 정사면체
4개모이면 정팔면체, 5개 모이면 정이십면체가 된다.
6개모이면 각의 합이 360도가 되므로 입체도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사각형이 한꼭지점에 3개 모이면 정육면체
4개모이면 각의 합이 360도가 되므로 입체도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오각형이 한꼭지점에 3개 모이면 정십이면체
4개모이면 각의 합이 360도보다 커지므로 입체도형이 만들어지지 않는다.
6각형이 한꼭지점에 3개모이면 각의 합이 360도가 되므로 입체도형이 나오지 않는다.
7각형위로는 모두다 3개모여도 각의 합이 360도를 넘어가게 된다.
정사면체 Tetrahedron (3,3)

정육면체 Cube (4,3)

정팔면체 Octahedron (3,4)

정십이면체 Dodecahedron (5,3)

정이십면체 Icosahedron (3,5)

정다면체의 쌍대성에 관한 문제는 아래를 클릭하세요.
http://blog.naver.com/maginger/80009087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