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해양부 고시에 의하면 안동역사가 결국 시외버스터미널 옆 송야천변에 붙여서 들어선다고 되어 있습니다. 그러나 역이 들어설 시외버스터미널 주차장 자리는 면적이 좁고 송야천을 일부 복개하지 않는 한 큰 공간이 나오지 않는 곳입니다. 신 안동역은 경상북도 도청소재지의 관문역할과 경북북부지역 중심역 역할을 동시에 해야 하는 중요한 역입니다. 지나치게 시외버스와의 연계성만 고집하다보니 협소한 곳으로 자리를 정했습니다. 구 안동시와 도청신도시를 모두 아우르는 큰 기획력이 안 보입니다. 무엇보다 새로운 외지 인구유입을 위한 역세권 개발을 고려하지 않았고 오직 승객을 내리는 역할만 수행하는 남춘천역 정도의 작은 간이역형태로 계획되고 있습니다.
곧 공사가 들어가면 머지않아 1시간 18분이면 서울에서 도청소재지 안동까지 올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이고 유용한 교통수단이 됩니다. 중앙선복선전철이 도청신도시 주민과 안동 시민이 서울로 가는 새로운 교통 패러다임을 만들 것은 확실합니다. 또 청량리역에 내리면 바로 지하철을 이용하여 서울 시내로 갈 수 있는 편리성이 가장 큰 특징이 됩니다. 이는 시외버스 시간보다 더 빠르게 연착 없이 도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이러한 역을 장기적인 미래를 보고 설계하여 역세권과 넓은 주차장을 확보하는 방법을 선택하지 않고 조그만 역으로 설계한 것은 큰 실수라고 봅니다.
충청남도를 보면 내포신도시권 '신성장 거점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하여 환황해권 중심도시로 발전시킨다는 방침을 세우고 있습니다. 내포신도시권은 총면적 2,938㎢로 서해안권 항만 물류중심, 내포신도시 주변개발, 대중국 교역관문 등의 콘셉트로 계획이 세워집니다. 추후 서해안 복선전철이 개통되면 합덕읍 점원리 인근에 합덕역(가칭)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도시개발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그러나 안동시는 신 도청시대를 선도하는 창조도시를 주장하면서도 도청신도시를 연계하거나 고려한 어떤 일도 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는 도청을 버리고 구 시가지만으로 대원군식 생존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결국 구 시가지도 망하게 됩니다.
<새로 지은 춘천역>
춘천시는 경춘선이 복선전철화되면서 새로운 춘천역을 건설하였고 간이역으로 남춘천역이 있습니다. 춘천역은 경춘선 종점역이지만 춘천시의 자존심을 보여주는 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습니다. 최소한 안동권도 인구가 춘천시만큼은 증가할 것으로 보고 교통시설을 건설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이렇게 작고 편협하게 신 역사를 짓는 것은 생각이 고루하고 미래에 대한 계획이 없기 때문입니다. 새로운 경북의 중심 안동시 건설을 위해서는 시야가 크고 비전이 있는 인물이 필요합니다. 지금의 안동시장으로는 기득권세력들의 표만 의식하다가 안동시가 망해버릴 수도 있다는 걱정이 앞습니다.
시야가 좁아 멀리 보지 못한다면 눈앞의 이익을 추구하다가 큰 것을 놓치며, 선거만 의식하고 표있는 곳만 생각하다보면 큰 도시를 만드는 계획에 소홀하게 됩니다. 이삼걸 안동시장 후보가 제시한 경북 북부권 광역교통망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도청신도시, 예천, 의성, 영주, 청송, 영양 모두를 내 품에 안지 못하면 안동시의 큰 미래는 없습니다. 바다가 넓은 것은 작은 강물도 거절하지 않고 받아들인 덕분입니다. 결국 모든 길은 로마로 통했듯이 경북은 안동과 도청신도시로 통할 수밖에 없습니다. 이러한 기회의 시간대에 안동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무일도 하지 않는 조용한 지금의 리더십으로는 안 됩니다. 크고 새로운 리더십을 우리는 필요로 합니다.
노래에 나오는 안동역 같이, 역 앞에 넓은 광장과 공원, 주차장이 갖춰 줘야 단체관광액이 오면 수십대의 관광버스 대기 하고 승객이 내리면 3대믄화권과 문화관광단지, 하회마을, 도산서원, 청량산과 낙동강래프팅, 영양두들마을, 봉정사 등 관광갯 이동할 수 있으며, 개인승용차로 친인척과 손님을 태우도록 대기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도청소재지로서 위상을 갖추고, 먼 앞날을 내다봐야합니다...약간 위치를 내리면 넓은 공간 확보가 가능합니다..
안동의 현실을 보는 것 같네요. 좁고 폐쇠적인 사고가 떠오르는 안동이라는 말을 들을때 마다 이제는 좀더 넓고,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신도청의 관문이 될 안동역을 간이역처럼 만들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 참으로 믿겨지지 않고. 적어도 가까운 미래를 위한다면 역세권 개발을 위한 외자를 유치하여 복합환승터미널 정도는 만들어질거라 생각했는데 결국은 역세권개발도 불가능한 간이역으로 만들 계획을 접하니 뭐라 할말이 없네요. 이것이 안동의 미래라면 참으로 암담할 따름입니다.
도청신도시에 인구가 늘어나고 그 지역민들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역사나 교통망이 되어야지 지금 조성되고 계획하는 도로망들은 안동 시민들의 극성스런 움직임으로 안동을 더활성화하고 재건하는 수단으로 도청신도시를 이용하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안동 안동 그러고 있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안동시 중심은 경북에서도 동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모든 교통을 안동에 맞추어 연결하려면 교통의 신속성에도 그 효율성이 떨어지고 경북의 중심에 가깝도록하여 경북의 어느 곳에서도 가깝게 연결될수 있도록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자기지역 편의주의만 생각하지 말고 더큰 미래를 내다 보는 협심이 필요합니다.
첫댓글 안동역은 이송천이나~노하동쪽으로~넓게보고~계획되어져야만합니다~~~*
그러면 구도심의 표 다 떨어져 나갑니다.
@경제시대 정말 답답 합니다
안동 을 확실히 살리려 하는 의원들이없는것같아서요
과거 신축된 역사 규모들은 크게 지였지만 작년도 부터 철도시설공단은 예산절감 차원에서 역사규모를 슬립화 한 것입니다.
안동 역 위치가 너무협소해요
작드라도 도시형성에있어 바운드리 를 넓게 보고 계획을 잡아야
도시가 확장되고 커집니다.
예산절감??
그 많은 안동시 예산 다 어디쓰고 안동시에서 보태면 됩니다.
도청소재지 관문입니다.
@핀닌이 요즘은 기차역이나 버스터미널 근처를 사람들이 싫어합니다..
외지인 들락거리고 시끄럽고
도시형성 안하도록 도시계획을 잡는게 아닐까요?
@핀닌이 먹거리가 없는데 확장만 되면 좋을까요? 인구는 늘고 일자리는 없고 하면 근로자만 죽어납니다.
맞니더
걱정됩니다.
굳이 크게 지을 필요가 있나요?
그래도 안동의 랜드마크 정도는 되어야 되지 안겟읍니까
위치가협소하니 간이역 형태가 되는 것이고요 좀넓게미래를내다보고 협소하지 안으며 넓은곳에 역사를 지어야 유동성
인구유입에 먹고살아갈수있는 것들이 창출되어 이루워집니다
한표....
정말 걱정됩니다.
호암동네 그리고 호암 뒷산을 밀고 새로 도시 계획을 하면 ...ㅎㅎㅎ 안될까요?
안동역을 너무 맨자구 콧구영맨치로 설계를....ㅠㅠ
안동의 미래를 겨우 이렇게밖에 설계할 수 없다는게 안타깝네요..
이건 넘 심한거 아닙니까??
글로벌 관광의 중심이 될 안동,가장 한국다운 멋이 살아있는 한국관광의 대표도시이자,
행정의 중심이 될 안동역이 고작 간이역수준이라니....
ㅎㅎㅎ 버스터미널 이전하고 주차장이 모자라서 생 난리 부르스인데 이건뭐 역사까지 ㅎㅎ참 와그라노
버스 터미널 옆에서 유료 주차장 하면 장사 될까요?
맞습니다.
버스터미널 때문에 주위가 주차 전쟁인데....
기차역사가 건립되면 주차난이 불 보듯 뻔한 일 아니겠습니까?
지하 10층 정도는 주차장으로 확보 해야 주차 전쟁은 겨우 면할 듯 합니다.
노래에 나오는 안동역 같이, 역 앞에 넓은 광장과 공원, 주차장이 갖춰 줘야 단체관광액이 오면 수십대의 관광버스 대기 하고 승객이 내리면 3대믄화권과 문화관광단지, 하회마을, 도산서원, 청량산과 낙동강래프팅, 영양두들마을, 봉정사 등 관광갯 이동할 수 있으며, 개인승용차로 친인척과 손님을 태우도록 대기 할 수 있는 넓은 공간이 필요합니다. 도청소재지로서 위상을 갖추고, 먼 앞날을 내다봐야합니다...약간 위치를 내리면 넓은 공간 확보가 가능합니다..
기존 안동역사 광장보다 좁은 느낌의 안동역, 염려됩니다.
크게 짓기엔 그쪽 땅값이 너무 오르지 않았나 싶은데.. 터를좀더 윗쪽으로 옮겨서 넓게 지으면 몰라도..
안동의 현실을 보는 것 같네요. 좁고 폐쇠적인 사고가 떠오르는 안동이라는 말을 들을때 마다 이제는 좀더 넓고,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어가고 있다고 생각했는데.......
신도청의 관문이 될 안동역을 간이역처럼 만들 생각을 하고 있다는 것이 참으로 믿겨지지 않고. 적어도 가까운 미래를 위한다면 역세권 개발을 위한 외자를 유치하여 복합환승터미널 정도는 만들어질거라 생각했는데 결국은 역세권개발도 불가능한 간이역으로 만들 계획을 접하니 뭐라 할말이 없네요. 이것이 안동의 미래라면 참으로 암담할 따름입니다.
안동역위쪽에 (이송천역)을 하나더 만들어야~~~~됩니다.
역을하나더만들어 신도시를세우고 역세권을 개발하도록 해야 합니다.
그곳에서 도청으로 통하는 직통 도로를 내면됩니다.
조만간 서의문쪽도로는 포화상태가 될껏입니다.
도청하고 안동하고 무슨 상관입니까???
도청은 예천꺼임.. 안동하곤 별 상관없고 되려 피해만 무지 주는거 아님??
불쌍한 안동시민은 어쩔껍니까??
도청신도시에 인구가 늘어나고 그 지역민들이 원활하게 이용할 수 있는 역사나 교통망이 되어야지 지금 조성되고 계획하는 도로망들은 안동 시민들의 극성스런 움직임으로 안동을 더활성화하고 재건하는 수단으로 도청신도시를 이용하려는 느낌이 들 정도로 안동 안동 그러고 있는 모습이 안타깝습니다. 안동시 중심은 경북에서도 동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모든 교통을 안동에 맞추어 연결하려면 교통의 신속성에도 그 효율성이 떨어지고 경북의 중심에 가깝도록하여 경북의 어느 곳에서도 가깝게 연결될수 있도록 만들어져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너무 자기지역 편의주의만 생각하지 말고 더큰 미래를 내다 보는 협심이 필요합니다.
안동역을 간이역 식으로 건립한다면 무엇인가 섭섭한 생각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