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駕洛宗親(가락종친)
東洋甲族李金許(동양갑족리김허)
駕洛始祖誕龜峰(가락시조탄구봉)
黃玉皇妃婚首露(황옥황비혼수로)
天孫後裔永包容(천손후예영포용)
가야의 후예는 김, 허, 리가이니
가락국 시조 구지봉서 탄생했네.
황옥 황후님 수로왕과 결혼했고
천손의 족속들 길이 포용하리라.
*駕洛宗親(가락종친): Kindred of Garak, 김수로대왕(金首露大王)과 허황후(許皇后)의 후손인 김해김씨(金海金氏), 허씨(許氏), 인천이씨(仁川李氏) 연합 종친.
*필자는 김수로대왕(金首露大王) 69世孫, 이허겸(李許謙) 36世孫임.
2. 貫鄕仁川(관향인천)
大韓甲族住仁川(대한갑족주인천)
景德至今李氏圈(경덕지금리씨권)
文鶴飛來基校洞(문학비래기교동)
伽耶後裔永綿綿(가야후예영면면)
대한의 갑족이 인천에서 살았으니
경덕왕에 지금까지 이가 권역이지.
문학이 내려왔던 터전은 교동이요
가야의 후예들 길이길이 이으리라.
*貫鄕仁川(관향인천):The birthplace of one's first ancestor- Incheon
3. 源仁齋(원인재)
源仁齋閣在邵城(원인재각재소성)
入水靈龜永遠亨(입수영구영원형)
文鶴到來鳴四海(문학도래명사해)
子孫代代得功名(자손대대득공명)
원인재 재각이 소성에 있는데
영구 입수형 영원히 형통하리.
문학이 도래해 세상을 울리니
자손 대대로 공명을 얻으리라.
*源仁齋(원인재): Woninjae, A house based on benevolentness
1世 李許謙, 인천 연수구 연수2동 584
4. 李公壽墓誌銘(이공수묘지명)
撰人子弟在松山(찬인자제재송산)
掠奪誌銘止返還(약탈지명지반환)
連結奇平生誤譯(연결기평생오역)
東京帝大野蠻顔(동경제대야만안)
작자는 아들 송악에 있었는데
뺏긴 묘지명 반환을 금지하네.
연결된 기명은 오역을 낳았고
동경 제대는 야만의 얼굴이군.
*李公壽墓誌銘(이공수묘지명):Series biographies of Lee Gong Soo
5世 李公壽, 일본 동경공과대학 건축학과 전시관
5. 烏川齋(오천재), 天安(천안)
烏川齋閣在天安(오천재각재천안)
恭度文和宅祭壇(공도문화택제단)
完遂朝鮮高麗職(완수조선고려직)
李公後裔耀三韓(이공후예요삼한)
오천재 재각은 천안에 있으니
공도공 문화의 유택 제단이네.
조선과 고려의 직분을 완수해
이공의 후예들 삼한을 빛낸다.
*烏川齋(오천재): OHCHEON JAE, 충남 천안시 동남구 구성동 99,
주벽(主壁): 14世 이문화(李文和)
*이문화[李文和, 1358~1414], 자 백중(伯中), 호 오천(烏川), 시호 공도(恭度),
참찬의정부사, 예문관대제학, 대사헌. 증 영의정(贈 領議政), 시호(諡號)는 ㄱ오도공(恭度公)
6. 金溪祠(금계사), 長興(장흥)
柳楊薪峴在祠堂(유양신현재사당)
昔者金莊移利方(석자금장이이방)
公度後孫奉位牌(공도후손봉위패)
山川草木願平康(산천초목원평강)
유량마을 신현에 사당이 자리한데
옛터는 금장이라 서방으로 옮겼다.
공도공 후손들이 위패를 봉안하니
산천과 초목들도 평안을 기원하네.
*金溪祠(금계사):Geumgye Temple, 장흥군 부산면 유량리 317 소재
*14世 烏川 李文和, 청강 이승(淸江 李昇), 강동 이신립(江東 李信立), 만수재 이민기(晩守齋 李敏琦) 배향,
7. 西溪書院(서계서원)- 崇德祠(숭덕사), 大丘(대구)
八公南側碧西溪(금호상측벽서계)
書院祠堂有德棲(서원사당유덕서)
百日紅花明四海(백일홍화명사해)
苔巖後裔永萋萋(태암후예영처처)
팔공산 남쪽의 푸른 서계동에
서원 사당 유덕의 보금자리여.
백일홍 꽃이 사방을 밝혀주니
태암의 후예 길이 번성하리라.
*西溪書院(서계서원):Seogyeseowon Confucian Academy, 대구광역시 북구 무태 서변동 881 소재.
*14世 李文和, 태암 이주(苔巖 李輈) 배향.
8. 道川祠(도천사), 咸安(함안)
伯夷山麓道川祠(백이산록도천사)
主食採薇義理齋(주식채미의리재)
忠孝學行傳後世(충효학행전후세)
丹書竹帛儼然熙(단서죽백엄연희)
백이산 기슭의 도천사 사당이라
주식은 고사리 의리의 집이구나.
충효와 학행이 후세에 전해지니
단서와 죽백이 엄연히 빛나구려.
*道川祠(도천사): Docheon-shrine, 경남 함안군 군북면 명관리 明館里 536 소재.
*14世 恭度公 李文和·삼휴당 이교(三休堂 李郊)· 소고 이원성(嘯皐 李元盛)· 금계 이원좌(琴溪 李元佐)·인원군 양졸정 이휴복(仁原君 養拙亭 李休復)배향.
*丹書竹帛(단서죽백):임금이 알리는 글을 적은 문서와 사서(史書).
9. 聞韶樓(문소루), 義城(의성)
九峯山麓月光嘉(구봉산록월광가)
秀麗聞韶景致華(수려문소경치화)
傑出文人興趣迹(걸출문인흥취적)
游藍騷客樂煙霞(유람소객낙연하)
구봉산 자락의 달빛은 아름다워
수려한 문소루 경치는 빛나구나.
걸출한 문인들 흥취의 흔적이요
유람하는 묵객들 경치를 즐긴다.
*聞韶樓(문소루):Moon So-ru, 경북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 1137-1 소재
*14世 恭度公 李文和 題詠 漢詩, 韻字- 下平聲 麻 字韻
*傑出文人(걸출문인):李文和, 鄭夢周, 金子粹
○高麗李文和詩
聞韶山水瀟灑,夜靜簾疎月斜。柳色靑靑客舍,香煙苒苒僧家。
憂民便爲鶴髮,得雨還岸烏紗。六月未成一事,却慙前後皇華。
10. 利見臺(이견대), 慶州(경주)
神文孝子建樓臺(신문효자건누대)
先代文武遺業回(선대문무유업회)
扶桑龍王防倭敵(부상용왕방왜적)
萬波息笛守東萊(만파식적수동래)
신문왕 효자께서 누대를 세우니
선대 문무왕의 유업이 돌아오네.
동해 용왕님 왜적을 막아주소서
신기한 피리도 동래를 지킨다네.
*利見臺(이견대):Egyeon-Fortification, 경북 경주시 감포읍 대본리 소재.
*14世 恭度公 李文和 題詠 漢詩, 韻字- 上平聲 灰 字韻
○李文和詩:
羅代君王孝子臺,如今登眺已封苔。霓旌羽蓋腸堪斷,峻宇雕墻址自頹。
雲漢分明看北斗,煙濤髣髴望東萊。可憐波上白鷗鳥,潮去潮來依舊迴。
[출전: 新增東國輿地勝覽,慶州府, 樓亭編]
11. 先照樓(선조루)- 瑩源寺(영원사), 密陽(밀양)
層層樓閣在門前(정문누각재문전)
寺址愀然石佛田(사지초연석불전)
大德龜巖知歷史(대덕구암지역사)
山川依舊奈參禪(산천의구내참선)
층층의 누각이 정문에 있었는데
절터는 쓸쓸한 석불의 밭이라네.
대덕산 거북바위 역사를 알리오
산천은 의구한데 참선을 어쩌라.
*先照樓(선조루):Sunjo-ru, 경남 밀양시 조도면 덕산리 산123-1 소재.
*14世 恭度公 李文和(1402년~ 경상도도관찰출척사)題詠 漢詩, 元韻字- 下平聲 先 字韻
○寺有先照樓。李文和詩:
先照樓中僧坐禪,冋然心迹兩相便。何年渡海一蘆上 今日飜經雙樹前。
[출전: 新增東國輿地勝覽, 密陽都護府, 古跡編]
12. 思敬齋(사경재), 高陽(고양)
前方北漢碧蹄川(전방북한벽제천)
吉地大慈侍聖賢(길지대자시성현)
姜氏外孫祭數歲(강씨외손제수세)
長興李族謁祖先(장흥이족알조선)
전방은 북한산과 벽제천 시내요
길지의 대자동이 성현을 모셨네.
강가 외손들이 수년을 제사하니
장흥의 이문들 조상을 뵙습니다.
*思敬齋(사경재):Sagyeong-jae, 경기도 고양시 대자동 356-14, 통일로 554번길 43.
*15世 李孝智, 조선 시대 혼란으로 장흥으로 내려간 후손들을 대신하여 외손 강씨들이 시제를 모셔옴.
13. 則孝齋(칙효재), 長興(장흥)
龍溪薪峴在祭堂(용계신현재제당)
孝道人倫始作場(효도인륜시작장)
立柱長興祖上一(입주장흥조상일)
明龍南裔萬年香(명용남예만년향)
용계면 신현에 제당이 있으니
효도는 인륜의 시작 자리니라.
장흥에 입주한 조상의 첫째요
명용남 후예들 만년의 향기여!
*則孝齋(칙효재): Chikhyou-jae, 전남 장흥군 부산면 유량리 317
*19世 李貴秀, 祭享
*龍溪(용계): 용계면 지역은 1914년 일제의 행적구역 개편으로 부산면과 장동면에 분할 합병 됨. 동학농민운동의 거점인 용계면의 용반접장 이사경 등 인천이씨들의 단합된 조직을 해체하기 위해 개편함.
*明龍南(명용남): 인천이씨 장흥 종중(입향조-李貴秀)은 의 세 아들을 중심으로 명교파, 용계파, 남면파로 문중을 이룸.
14. 景慕齋(경모재), 長興(장흥)
背山騎驛慕祭堂(배산기역경모당)
東側水聲曲汭陽(동측수성곡예양)
稜線先祖遺美德(능선선조유미덕)
龍溪後裔得晨光(용계후예득신광)
뒷산은 기역산 경모하는 제당인데
동쪽의 물소리 굽이친 예양강이네.
능선의 선조들이 미덕을 남겼으니
용계의 후예들도 서광을 얻으리라.
*景慕齋(경모재):Gyeongmo-jae, 전남 장흥군 부산면 유량리 산 38 thwo
*20世 李達 祭享, 인천이씨 장흥 종중 용계 문중의 파조 제당.
*騎驛(기역): 기역산, 262.8m 산. 북쪽은 탐진호, 앞쪽은 예양강(-탐진강)이 흐름.
*汭陽(예양): 탐진강의 원래 지명.
15. 遠慕齋(원모재), 長興(장흥)
龍頭山麓慕祭堂(용두산록모제당)
回曲三溪萬壑蒼(회곡삼계만학창)
前面帝巖供地德(전면제암공지덕)
獐項一族後孫莊(장항일족후손장)
용두산 자락의 흠모하는 제당이라
돌아치는 삼계는 골마다 푸르구나.
전방의 제암산이 지덕을 공급하니
노루목의 일족과 후손들 씩씩하리.
*遠慕齋(원모재):Wonmo-jae,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621-1 소재.
*22世 李奎 인천이씨 장흥 종중 용계 문중 장동(莊洞)파 파조 제당.
*龍頭山(용두산): 호남정맥의 높이 549.1m의 산. 산자락에는 안중근 의사의 사당인 해동사(海東祠)가 있음.
*帝巖(제암): 제암산, 호남정맥의 높이 807m의 산. 철쭉으로 유명하며 99개 암자 터가 있음. 수량이 풍부하여 용계면 일대에 물을 공급함.
16. 盤松齋(반송재), 長興(장흥)
虎溪川上古祭堂(호계천상고제당)
泉石淸江曲曲浪(천석청강곡곡낭)
平野竹林搖動態(평야죽림요동태)
龍頭支脈確然剛(용두지맥확연강)
호계천 위의 오래된 제당이라
수석의 청강 굽이굽이 흐르네.
들판 죽림의 흔들리는 자태여
용두산 지맥이 확연히 굳세다.
*盤松齋(반송재):Bansong-jae,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815-86 소재
*25世 李廷燁 祭享.
17. 金藏齋(금장재), 長興(장흥)
金溪水石竹林衫(금계수석죽림삼)
平野祭堂孝子銜(평야제당효자함)
背後龍頭精氣脈(배후용두정기맥)
登巖後裔不常凡(등암후예불상범)
금계의 수석과 죽림의 적삼이여
들판의 제당은 효자의 직함이라.
배후의 용두산은 정기의 줄기니
등암의 후손들 범상치 아니하네.
*金藏齋(금장재):Giumjang-jae, 전남 장흥군 부산면 금자리 소재.
*26世 李時輝 祭閣, 등암파 파조이며 1694년에 발간된 인천이씨 갑술시간보 편찬위원장 역임함.
18. 尙孝齋(상효재), 長興(장흥)
鷹峯山麓洞前堂(응봉산록동전당)
先代孝誠永遠光(선대효성영원광)
右側二松明舊事(우측이송명구사)
竹林處士與鳳凰(죽림처사여봉황)
매 봉의 자락 마을 앞의 집인데
선대의 효성은 영원히 빛나구나.
우측 두 소나무 옛날 일 밝히고
죽림의 처사는 봉황과 함께하네.
*尙孝齋(상효재):Sanghyou-jae,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원만년 1길 23, 효자 李相行의 효도로 孝誠洞 지명 유래가 됨.
*27世 李仁咸, 28世 李慶恒, 29世 泰成, 30世 李相行 등 祭享.
19. 孝子松(효자송), 長興(장흥)
白虎稜線一雙松(백호능선일쌍송)
九折垣衣似黑龍(구절원의사흑룡)
至極孝誠連萬代(지극효성연만대)
帝巖木石自然恭(제암목석자연공)
우백호 능선의 한 쌍의 소나무여
감긴 담쟁이는 검은 용과 같구나.
지극한 효성 오랜 세대를 이으니
제암산 나무와 돌 절로 공손하네.
*孝子松(효자송): A pine tree of filial piety, 전남 장흥군 장동면 만년리, 원만년 1길 孝生洞 (43)-산 소재
*30世 李相行 孝子의 일화가 담긴 두 그루의 소나무. 孝生洞 지명의 유래가 됨.
20. 唐谷祠(당곡사), 長興(장흥)
語山稜線在祠堂(어산능선재사당)
眠峙歸雲下萬方(면치귀운하만방)
椋木靑靑慈洞里(량목청청자동리)
九賢學德美然香(구현학덕미연향)
어산마을의 능선에는 사당이 있으니
자는 재 되도는 구름 만방에 내리네.
푸조나무 푸르름 마을을 사랑했으니
구현들의 학덕이 아름답고 향기롭다.
*唐谷祠(당곡사):Danggog- shrine, 전남 장흥군 용산면 어산리 885
*방계 선조, 24世 李昇, 25世 李宗仁, 25世 李孟, 27世 李昌命, 29世 李希僧, 30世 李鍾旭, 30世 李福淵, 31世 李商啓, 33世 李熙錫 配享.
21.長興東學農民革命記念館(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
石臺平野白衣巾(석대평야백의건)
稜線日軍卽殺人(능선일군즉살인)
南道將星東學徒(평야시신동학도)
汭陽眠峙憶農民(예양면치억농민)
석대뜰 들판은 흰옷과 두건이요
능선의 일본군 사람을 즉살하네.
남도 장군과 동학의 교도들이여
예양강 자울재 농민을 기억하리.
*長興東學農民革命記念館(장흥동학농민혁명기념관): Jangheung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Hall, 전남 장흥군 장흥읍 남외리 164-5. 1894년 12월 20일 동학농민혁명의 최후의 격전지에 2015년 건립한 기념관.
*石臺(석대): 석대뜰, 장흥읍 교촌리,충렬리, 남외리 앞 넓은 들판.
*南道將星(남도장성): 장태장군 남도장군 장흥 대접주 이방언(李芳彦, 1838~1895), 방계 선조 인천이씨 33 世.
*汭陽眠峙(예양면치): 예양강과 자울재, 예양강이 원래 지명인데 일제 강점기에 탐진강으로 지명을 개편함. 석대 전투에서 살아남은 농민군은 예양강 건너편 자울재를 넘어 천관산으로 퇴각함.
22. 龍淵祠(용연사), 陜川(합천)
梁川江岸位龍淵(양천강안위용연)
降櫃坪碑孝道筵(강궤평비효도연)
兎洞南冥生外族(토동남명생외족)
後孫欽慕永千年(후손흠모영천년)
양천강 언덕엔 용연사가 자리하니
강궤평의 비석은 효도의 자리라네.
토동 남명선생 외족으로 태어났고
후손의 흠모함 길이길이 천년이라.
*龍淵祠(용연사): Youngyeon- shrine, 경남 합천군 삼가면 토동 thwo
*방계 선조 10世 李榲 配享
*降櫃坪(강궤평):가난한 李榲 효자를 위해 쌀이 든 금궤가 뇌성벽력 폭우 속에 내려온 들판.
*南冥(남명): 曺植의 호. 토동 인천이씨 외갓집에서 출생하여 유년 시절을 보냈고 벼슬을 하다가 48세(1548년) 때 뇌룡사(雷龍舍)를 짓고 61세(1561년) 때까지 강학에 힘썼으며 이곳에 용암서원(龍巖書院)이 있음.
23. 上薪祠(상신사), 慶州(경주)
吐含山麓位祠堂(토함산록위사당)
前面薪溪水石蒼(전면신계수석창)
開拓六鎭虎氣像(개척육진호기상)
將軍勇猛衛邊方(장군용맹위변방)
토함산 기슭에 사당이 자리하고
앞쪽 신계의 수석들은 푸르구나.
육진을 개척함은 범의 기상이요
장군의 용맹이 변방을 지켰다네.
*上薪祠(상신사):Sangsin- shrine, 경북 경주시 외동읍 신계리 32-2
*방계 선조 16世 忠剛公 李澄玉 配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