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모래위에 핀 해당화
 
 
 
카페 게시글
기타 영농정보 스크랩 달래
신영희 추천 0 조회 155 15.01.23 17:06 댓글 0
게시글 본문내용

달래  

명칭

달래는 백합과 식물로 학명은Allium grayi REGEL이며 이와 유사한 종으로는 산달래,

산부추, 참산부추, 두메부추, 한라부추, 산파등이 있다.

달래와 야생부추의 형태적 특성을 비교해보면 발아후 1∼2년까지는 크게 달라지지 않으나

2∼3년후 부터 뚜렷하게 차이가 난다.

형태적 비교로 살펴보면 땅속 인경의 경우 달래는 둥근형이나 야생부추는 긴타원형이고

추대 및 개화는 달래 5∼6월, 야생부추 7∼9월이고 주 번식방법은 달래의 경우 주아,

자구이고 야생부추는 종자, 자구이다.

잎모양의 경우 달래는 둥근삼각형, 야생부추는 장타원삼각형이며 휴면기 및 냄새의 경우

달래는 6∼7월과 파냄새가 나며 야생부추는 휴면기는 없고 부추 냄새를 풍긴다.

봄철 무침나물, 김치부침, 튀김 등 반찬 등으로 주로 이용되며 한약으로는 건위, 발한,

이뇨, 거담, 정장, 살균, 구충약, 지혈, 전염성 위장염, 동맥경화증, 고혈압, 소화불량,

종기, 옴, 황달, 관절염 등의 치료제로 많이 쓰이고 있다.

 

생육특성

비늘줄기는 둥근 계란형이며 크기 6∼10㎜, 굵기 8∼12㎜의 두꺼운 인피로 되어 있다.

잎은 길이가 10∼20㎝, 폭은 3∼8㎜의 선형 또는 넓은 선형으로 2∼3개가 나온다.

꽃대는 5∼6월에 나와서 꽃잎이 6개인 긴타원형 또는 좁은 계란형으로 백색, 붉은색 등으로

피며 주당 150∼300개가 피고 6월 하순경 까만 종자(1,000립중 1.2g내외)가 결실되기도

하지만 대부분 주아로 변형되어 주당 30∼65개의 주아가 달리며 지름 0.2∼0.5cm, 높이

0.3∼0.6cm, 개체무게 0.1g 내외로 연한 흑색을 띤다.

주아는 6월 중하순경에 떨어져 휴면에 들어가고 지상부의 잎은 말라 버린다.

30∼40일간 휴면기가 지나면 8월 상순경부터 발아되어 7∼8㎝정도 자라면서 겨울을 맞는다.

월동후 3월 하순부터 다시 자라며 4∼5월경에 걸쳐 먹을 만큼 자란다.

인경은 모구와 자구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모양, 크기 및 분구는 5월경에 나오는 꽃대 끝에

파나 양파와 같이 꽃만 피거나(개화계통) 마늘과 같이 주아만 달리는 등 계통에 따라

다르다. 

<표 3> 달래의 개화 및 주아형성계통별 인경비교

계 통

구형

구색

모 구

자 구

지름(㎝)

높이(㎝)

무게(g/개)

지름(㎝)

높이(㎝)

무게(g/개)

분구수(개/주)

개화계통

난형

1.4∼ 1.5

1.2∼ 1.3

1.6∼ 1.8

0.7∼ 0.8

0.9∼ 1.0

0.2∼ 0.3

5∼8

주아형성계통

원형

1.8∼ 1.9

1.5∼ 1.6

3.2∼ 3.4

0.9∼ 1.1

0.9∼ 1.1

0.4∼ 0.5

2∼3

 

재배환경

달래의 발아 및 생육적온은 20℃정도로 서늘한 조건에서 잘 자라고 여름철에는 25℃이상

고온이 되면 줄기와 잎이 마르며 곧 여름잠에 들어간다.

추위에는 강하여 -20℃에서도 견디며 겨울철에 지상부의 잎은 말라죽지만 땅속뿌리 비늘

덩이는 봄철에 새싹이 돋아날 준비를 한다.

햇볕은 80%정도면 충분하며 고온장일조건에서 꽃대가 발생되어 꽃과 주아가 피고 달린다.

적정토양은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좋은 땅이면 어느 곳이든 잘 자라며 특히 충적토에서

재배하면 관리하는데 편리하다.

달래재배에 알맞은 토양산도는 pH 6.0∼6.8 정도가 알맞다.

 

재배기술

종구준비

모구와 자구는 생체 생산용에 그리고 주아와 종자는 종구 생산용에 이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주아를 이용한 하우스 시설내 생체생산도 가능하다.

수량지수

 100%

 840kg/10a

※ 파종:43%

   8월15일

  수확: 3%

  4월15일

모 구

자 구

주 아

<그림 1> 달래종구의 종류별 생산력 비교 (′80. 강원농진)

A : 발아전의 자구, B : 8월 중순, C : 9월 상순, D : 9월 하순, E : 10월 중순,

F : 11월 상순, G : 3월 중순의 식물체

<표 4> 달래종구의 채종기별 채종량 및 후대수량 비교 (′81∼′82, 강원농진)

채종기

모구중

(g/개)

자 구

주 아

※후대수량(kg/10a)

개수(개/주)

무게(g/개)

개수(개/주)

무게(g/개)

5월 1일

0.26

2.2

0.09

-

-

304

5월15일

0.24

2.4

0.15

-

-

381

6월 1일

0.26

2.7

0.16

25.3

4.2

387

6월15일

0.34

4.2

0.18

56.5

5.0

449

※ 채종후 8월 1일 파종(모구)

※ 종구 : 모구+자구(1:4), 파종방법 : 조파(20× 5㎝)

파종기

노지재배는 7월 하순, 하우스 재배시는 9월 중순경이 가장 수량이 많았으나 작부체계상

전작물을 고려하여 8월 중하순에 파종하되 토양수분을 적절하게 유지하면 수량에 큰

차이가 없다.

달래 종구의 종류별 생산력 비교<그림 1>를 살펴보면 모구의 수량지수를 100%(840㎏

/10a)볼때 자구는 43%, 주아는 3%로 나타났다.

※ 파종기 :노지 및 채종재배 7∼9월

           하우스시설재배 9∼10월

달래 노지재배시 파종기별로 수량지수(4.15일 수확)를 <그림 3>에서 살펴보면 7월 30일

617㎏/10a을 100%으로 볼때 8월 15일 92%, 8월 30일 43%, 9월 15일 14%, 9월 30일 7%,

10월 15은 6%로 나타났다.

재배작형

월 별

1

2

3

4

5

6

7

8

9

10

11

12

노지재배

하 우 스

시설재배

채종재배

---------▥▥▥▥ ●----------●--▥▥▥▥▥▥▥

▥▥▥▥▥▥ ●----●----△-------

-------------------------▥▥▥ ●----------●-------------

<그림 3> 달래의 재배작형

● 파종 ▥ 수확(채종) △하우스 설치 □ 월동전 수량(11월 15일 수확) ▥ 월동후 수량( 4월 15일 수확)

 

수량지수

100

100

92

70

43

53

14

14

7

7

8

8

 

 

 

 

 

 

 

 

 

 

 

7월30일 파종

8. 15

8. 30

9. 15

9. 30

10. 15

 <그림 4> 달래 노지재배시 파종기별 수량비교(′80, 강원농진)

 

수량지수

100

1,091 kg/10a

89

84

9월20일 파종 (2월29일 수확)

10. 10 (3. 11)

10. 30 (3. 20)

 <그림 5> 달래 하우스시설재배시 파종기별 수량비교(′84, 충북농진)

파종방법

달래 파종은 보통 점파, 줄뿌림, 흩어뿌림 등이 있는데 보편적으로 농가에서는 흩어

뿌림을 많이 하고 있으며 노지 및 채종재배시에는 줄뿌림(20× 5cm),

하우스재배시에는 흩어뿌림을 한다.

수량지수

100

102

126

166

147

278kg/ 10a

 

 

 

 

 

 

 

 

80kg/10a

100kg

120kg

140kg

160kg

<그림 6> 달래 노지재배시 파종량별 수량비교(′82, 강원농진)

 

파 종 량

※ 종구: 모구+자구(1:4), 파종방법 : 조파(20× 5cm)

수량지수

100

132

173

 

 217 kg/10a

382 kg/10a

□월동전 수량 (11월 15일 수확)

▥ 월동후 수량 (4월 15일 수확)

 점파(20×15cm)

조파(20×5cm)

<그림 7> 달래 노지재배시 파종방법별 수량비교(′80, 강원농진)

※ 종구 : 모구+자구 (1 : 4)

 

포장준비

퇴비, 석회를 골고루 전면살포한 후 깊이갈이를 실시하고 파종 5∼7일전 밑거름으로

화학비료를 시용한 후 정지하고 폭 120∼150cm의 휴반을 설치한다.

파종량

달래의 파종량은 대체로 10a당 120∼140㎏ 정도가 알맞으며 특히 조기 하우스 재배시에는

160㎏까지 파종하면 수량이 증가된다.

파종시 모구와 자구의 혼합비를 1 : 4 정도로 하지만 모구가 많을 때는 120㎏까지 줄여서

파종하는 것이 좋다.

 

그림8 ※ 통로의 흙을 휴반위에 놓음(화살표 방향)

달래 노지재배시 파종량별 수량비교(그림 6)을 살펴보면 10a당 80㎏ 파종시 수량지수를

78㎏/10a에 100%로 보았을때 100㎏ 파종시 102%, 120㎏ 파종시 126%, 140㎏ 파종시

166%, 160㎏ 파종시 147%로 나타났다.

시비

퇴비와 요소, 염화가리, 용성인비 등을 밑거름은 전량을 밭두둑 만들기 전에 잘 혼합

되도록 미리 시용하여 밭갈이를 한다.

웃거름은 재배작형에 따라 수시로 주되 하우스 재배시에는 전량 밑거름으로 하고

봄노지재배시에는 2월 하순경에 웃거름을 주는 것이 좋다

<표 5> 달래재배시 시비량  

비료종류

총 량

밑 거 름

웃 거 름

비 고

퇴 비

2,000

2,000

 

※ 성분량

 N=9, P2O=6, K2O=7

요 소

20

13

7

용 과 린

30

30

-

염화가리

12

8

4

석 회

200

200

-

※ 노 지 재 배 : 웃거름 2월중하순경 시용

   하우스시설재배 : 전량 밑거름 시용

제초

달래는 싹이 트면서 가을에 발생하는 잡초와 경합이 되므로 조기에 제초작업을 하는

것이 필요하다.

잡초제거용 약제로는 알라유제, 파미드수화제 등이 있으며 알라유제(약량 250㎖/

물100ℓ/10a), 파미드수화제(약량 300g/물100ℓ/10a)를 파종 후 3일이내 토양살포처리로

생력화가 가능하다.

관배수

파종기가 고온건조이기 때문에 파종시 토양습도의 보존이 수량증가와 직결되므로

건조시에는 물을 꼭주어야 하며, 특히 호우가 올 시기이므로 짚피복으로 유실방지 및

배수작업을 할 필요가 있다.

보온

하우스 시설재배시 11월 상중순경에 하우스내에 턴넬을 설치하여 보온관리를 철저히

해준다.

병충해 방제

병해는 아직까지 거의 없는 편이나 주요 병으로는 하우스재배시 다습으로 인한 흑성병,

연부병, 시드름병 등이 발생되나 환기를 잘하면 별 문제가 없으며 해충으로는 고자리파리,

총채벌레 등의 피해가 있으므로 살충제로 방제해야 한다.

특히, 시드름병은 후사리움 옥시스포리움이라는 병원균에 의하여 발생하는데 종자전염을

하므로 베노람, 지오람수화제 0.3∼0.5%로 분의하거나 200배액에 1시간 침지한다.

상토는 무병 토양을 쓰거나 토양훈증제인 싸이론, 클로르피크린으로 소독하여 사용한다.

일반살포용이나 관주용 농약으로는 베노밀수화제가 가장 효과적이다.

정식전에 베노밀수화제 1,500∼2,000 배액에 모의 뿌리를 담갔다가 사용하거나 생육중

병든 뿌리는 뽑아내고 베노밀수화제를 200∼300mm씩 관주한다.

수확

수확시기는 지역, 작형, 수요지 상황, 가격 등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하우스 재배시에는 주로 12∼2월경에 수확하고 종구를 목적으로 할 경우 6월달에 주아,

자구, 모구를 수확하게 된다.

10a당 생체 수확량은 노지재배는 500∼900㎏, 하우스 밀식재배시는 2,000∼3,000㎏까지도

가능하다. 

종구는 자구와 모구를 합하여 700∼800㎏정도 수확이 가능하다.

주수확시기 

노지재배 : 10∼11월, 3∼4월

하우스시설재배 : 1∼2월

채종재배 : 6월 10a당 수량성

생채 : 노지재배 500∼900㎏

하우스재배 : 2,000∼3,000㎏

종구 : 700∼800㎏

 

소득분석

<표 6> 달래의 재배형태별 소득   ※ 자료 : 농촌진흥청(′93)

재배형태

단수(kg/10a)

단가(원/kg)

소득(천원/10a)

노 지

630∼1,029

1,500∼2,000

735∼1,318

시 설

632∼4,065

2,000∼5,900

1,800∼5,400

 

재배 및 유통동향

재배면적

 가) 연도별 재배면적

 <표 1> 연도별 달래재배면적 추이      ※ 자료 : 농촌진흥청  

′89(A)

′90

′91

′92

′93

B/A(%)

15

34

45

117

195

1,300

 

 나) 도별 재배면적

 <표 2> 도별 달래재배 면적비교(′93)   ※ 자료 : 농촌진흥청  

구분

충남

충북

강원

기타

195.4(100)

187.5(96.0)

4.4(2.3)

2.5(1.2)

1.0(0.5)

노지 시설

135.9(69.5)

130

3.5

2.2

0.2

59.5(30.5)

57.5

0.9

0.3

0.8

- 도별 재배면적 분포로 보아 충남이 96%로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충북>강원 순임.

- 재배형태로는 노지재배가 전 면적의 약 70%를 점유하고 있으며 시설재배면적은

  약 60ha로 전국 재배면적(195.4ha)의 30%임.

- 전국재배면적은 ′92년부터 급증한 가운데 ′93년현재 195ha에 이르고 있음

 

유통

- 시기 : 10∼5월(전체 출하량의 50∼60%가 3∼5월 집중)

- 등급 : 잎과 줄기의 크기, 구근의 크기, 신선도 등에 따라 상품, 중품, 하품으로 구분

- 포장 : 골판지, P.P포대

- 거래단위

도매시장 출하시 16㎏, 4㎏,

소매단계에서는 100g, 300g, 500g 등 다양 가격변화

고가 11∼2월, 저가 4∼5월

 
다음검색
댓글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