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ㅣ글 출처: 항공정보포탈시스템)
【본문】
- 9일 체류객 수송 목적 임시편 15편(제주↔부산 5편, 제주↔김포 10편) 투입
- 제주공항 활주로 재개 맞춰 임시편 적시 투입... 폭설 체류객 전원 수송 마쳐
에어부산이 제주도 폭설로 제주공항에 발이 묶인 여행객들을 위해
지난 9일 총 15편의 임시 항공편을 투입, 체류객 수송을 완료했다고 10일 밝혔다.
에어부산은 원활한 체류객 수송을 위해
3천 200석 규모의 임시편 15편(제주↔부산 5편, 제주↔김포 10편)을 투입,
국적 항공사 중 가장 많은 임시편을 운항했다.
특히, 제주 기점으로 총 1천 710석의 좌석을 지원해 925명의 체류객을 수송,
나머지 체류객은 정기편을 활용해 수송했다고 관계자는 말했다.
에어부산 관계자는 “갑작스러운 기상 악화로 불편을 겪은 여행객의 편의를 지원하기 위해
이번 임시 항공편을 투입하게 되었다.”며 “매년 겨울마다 발생할 수 있는 악기상에 대비해
여력 항공편 편성 및 체류객 수송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라고 전했다.
한편, 지난 7일과 8일 계속되는 폭설과 강풍으로 제주공항의 항공편 282편 이상이 결항돼
약 2만 명의 승객이 제주에 체류하게 됐다.
(끝)
에어부산은 작성자 개인적으로
국내 저가항공사들 중에서 가장 좋아하며, 안전하다 여기는 항공사중 하나 이다.
이유 즉슨,
우선 에어부산에는 대단한(경력이 화려한) 파일럿 (비행운전사)이 많다고
익히 들었기 때문이고
실제로
기상악화로 제주도 공항을 오가는 항공사들 중
에어부산이 고 어라운드(영어: Go-around)가 가장 적었다.
나의 두눈으로 확인
TIP 고 어라운드란? |
비행기가 어떠한 이유에 인해 착륙을 포기하고, 속도와 고도를 다시 높인뒤 공항에 한바퀴 빙빙돈뒤, 다시 착륙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
그 만큼 노하우가 많고, 이/착륙시 능숙능란 하기 때문이 아닐지
기상악화 기준시 말이다.
지난 2019년 2월초
작성자는 필리핀 세부를 다녀왔고, 이때도 에어부산을 이용했다.
(이때만 해도 우한폐렴으로 상황이 심각한 단계가 아니였습니다)
이륙/착륙시 안정감 있게 운전한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고
나와의 일행들도 그리 느끼기 까지 했다.
나는 17년동안..느낀것이지만
비행기는 타면 탈수록 공포감이 더 든다.
이상하다.
그래서 신중하다.
#고어라운드, #에어부산, #제주행항공기, #저가항공기, #제주도여행, #제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