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양쓰레기 중 플라스틱이 81% 차지
우리나라 1인당 플라스틱 사용률 세계 최고
전 세계 바다 오염의 주범, ‘스티로폼 부이’
미세 플라스틱 제로화 실현 총력 경주, 더 늦기 전에
국가 해안쓰레기 모니터링 보고서를 보면 해안쓰레기의 81.2%는 플라스틱이다. 해양쓰레기 무게의 65.7%도 플라스틱이다.
그 중에서도 스티로폼 파편이 1위, 2위는 섬유형 밧줄, 다음으로 음료수병과 뚜껑, 경질형 파편, 발포형 파편 순이다.
플라스틱의 형태가 워낙 다양해지고 크기도 제각각이어서 수거나 분류도 힘들어지고 있다.
그리고 전 세계 1위 바다 오염의 주범은 바로 ‘스티로폼 부이’다.
스티로폼은 값이 저렴하고 가벼워 사용이 편리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파도에 쉽게 부서지고 햇빛에 잘 삭는 문제가 있다.
'경남 굴 양식장 스티로폼 부자 쓰레기 발생량 추정과 저감 방안' 보고서(해양정책연구)에 따르면, "우리나라 18개 해안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세계 최고 수준(1~5mm, 평균 10,000개/제곱미터)이었으며, 조성의 99%가 스티로폼이었다"고 밝히고 있다
부서진 스티로폼은 다 어디로 갔을까.
2016년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이 경남 진해·거제의 양식장과 인근 해역에서 굴·담치·게·지렁이 4종을 잡아 내장과 배설물 등을 분석했다. 그 결과 139개체 중 97%(135개체)에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 한 개체에서 무려 61개의 미세플라스틱이 나오기도 했으며, 심지어 미세플라스틱으로 가득해 장이 팽창한 개체도 있었다.
국내 바다 미세 플라스틱 오염 발생의 90~99%가 스티로폼 부이 때문이었고, 바다로 퍼져나간 스티로폼 미세 플라스틱이 양식장의 굴과 홍합뿐 아니라 갯벌 속에 사는 바지락 등의 수산물을 통해 우리 입으로 들어오고 있는 심각한 현실이다.
플라스틱은 다양한 기능을 부여하기 위해 제조 과정에 난연제, 가소제, 열과 자외선 안정제, 염료, 충전제 등의 화학물질을 섞는다. 문제는 이 화학물질들에 발암물질과 환경호르몬, 독성물질 등의 유해물질이 들어있다는 것이다.
스티로폼 부이로 인한 미세플라스틱이 위험한 이유는 굴, 홍합, 멍게, 바지락 등의 수산물은 내장과 함께 통째로 먹기 때문이다. 결국 미세플라스틱에 함유된 유해화학물질을 우리 몸에 축적시키는 것과 다름없다.
값싸고 편리하며 굴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는 이유로 1980년대부터 스티로폼 부이가 유행했고, 다른 종류의 양식 방법들이 점점 자취를 감추기 시작한 것이다.
연간 약 66만 8천 개의 스티로폼 부이 쓰레기가 발생한다. 스티로폼 부이는 해양 생태계뿐만 아니라, 국민의 건강마저 위협하는 중이다. 정부도 스티로폼 부이로 인한 해양오염의 심각성을 이미 오래전부터 잘 알고 있다. 그러나 어민들의 경제적 이유와 편리함 때문에 지금까지 방치하며 전 세계 1위 미세플라스틱 오염 국가라는 오명을 쓰고 있다.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전국 18개의 해안에서 모두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됐다고 녹색연합은 전했다.
이 중 폴리프로필렌(30%), 폴리스틸렌(29%), 폴리에틸렌(22%) 등의 3가지 성분은 모두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이는 플라스틱으로 생물학적인 분해가 잘되지 않는 대표적인 열가소성 플라스틱이다.
해변 미세플라스틱 중 약 94%가 스티로폼이다
미세플라스틱에 대한 우려가 커지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해 많은 나라들이 플라스틱 배출을 줄이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런데 사실 플라스틱이 아주 광범위하게 쓰여서 우리가 생각지 못한 곳에도 플라스틱이 있다.
피부 각질 제거에 효과 있는 세안제나 치약 속에 든 작고 꺼끌꺼끌한 알갱이 역시 플라스틱이다. ‘마이크로비드(microbead)’로 불리는 아주 작은 플라스틱은 최근 해양 오염의 적으로 경계대상이 되고 있다.
시판되는 제품에 함유된 마이크로비드는 주로 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지며,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나일론으로도 만들어진다. 마이크로비드는 크기가 1mm보다 작은 플라스틱이다. 크기가 5mm 이하인 것을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하는데, 마이크로비드의 크기는 그보다 훨씬 작은 것이다. 이렇게 작은 마이크로비드는 정수 처리 과정에서 걸러지지 않고 하수구를 통해 강으로, 바다로 스며든다.
바다로 흘러간 마이크로비드는 어떻게 될까? 바닷새에게는 이 작고 반짝이는 마이크로비드가 물고기 알로 보일 수 있다. 이미 바닷새들을 플라스틱을 주식처럼 먹고 있다고 한다. 거북은 비닐을 해파리로 오인해 먹기도 하고, 고래는 썩지 않는 플라스틱 때문에 위가 파열돼 죽은 채로 발견되기도 한다.
2015년 여름 일본 도쿄에서 잡은 멸치 64마리 중 49마리의 체내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발견된 연구 사례도 있다. 호주 연방과학산업연구기구는 알바트로스, 갈매기, 펭귄 등 42개 속 186종의 바닷새들의 먹이 행태 및 해양 플라스틱 관련 자료를 종합하고 분석해, 2050년이 되면 모든 바닷새의 99.8%가 플라스틱을 먹게 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바다에 물고기보다 플라스틱이 더 많게 되리란 우울한 예측도 있다.
물고기는 플라스틱을 먹기만 하는 게 아니다. 작게 쪼개진 플라스틱은 비늘에 박히거나 아가미를 통해 몸속으로 들어간다. 해양 포유동물 267종은 플라스틱 때문에 다치거나 죽는다. 미역이나 김과 같은 해조류나 산호초, 굴 등도 미세 플라스틱으로 인해 위험에 처하는 것은 마찬가지다. 프랑스 국립해양연구소의 아르노 후베 박사 연구팀은 폴리스틸렌 입자를 풀어놓은 물에 태평양에 서식하는 굴을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두 달 후 굴의 난세포 수가 정상보다 35% 줄어들었고, 정자의 활동 빈도도 정상보다 23% 느린 것으로 조사됐으며, 굴의 성장속도도 현저하게 느려진 것을 확인했다. 게다가 플라스틱을 먹은 굴은 내분비교란물질을 배출했다.
마이크로비드로 인해 식수가 오염되는 상황도 예상해볼 수 있다. 바다에 버려진 크기가 큰 플라스틱은 햇빛과 파도에 의해 잘게 쪼개진다. 플라스틱은 얼마나 더 작아질 수 있을까? 1mm의 1/1000인 1μm(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마이크로비드도 발견된 바 있다. 작아지고 눈에 보이지 않는다고 분해되거나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작고 보이지 않기 때문에 더 위험해질 뿐이다.
해양 플라스틱 폐기물에 관한 최초의 보고서는 이미 1960년대에 나왔지만 크게 대두되지 않았다. 하지만 마이크로비드에 대처하는 자세는 사뭇 다르다. 미국의 각 주는 2015년에 잇달아 마이크로비드 사용금지를 선언했고, 지난해 말 오바마 대통령은 2017년부터 세안제품에 마이크로비드 사용을 전면 금지하는 수질오염 방지법에 서명했다. 유니레버, 로레알, 존슨앤존슨 등 다국적 위생제품생산 업체들도 앞다퉈 생산 중단을 선언했다.
플라스틱은 탄생한 지 한 세기도 되기 전에 우리 생활을 잠식했다. 플라스틱 의자에 앉아 플라스틱 그릇, 플라스틱 포크로 음식을 먹으면서도 몰랐다. 우리가 플라스틱을 먹게 될 줄은. 이미 바닷새와 물고기의 위장엔 플라스틱이 가득하다.
그러기에 지금 우리가 경각심을 가지고 더 이상 쉬쉬하지 말고 미세 플라스틱 제로화 실현에 총력을 경주해야 한다.
더 늦기 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