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 | 쿠웨이트, 한국산 주방용품·기기 수출 유망 | ||||||||||||||||||||||||||||||||||||||||||||||||||||||||||||||||||||||||||||||||||||||||||||||||||||||||||||||||||||||||||||||||||
---|---|---|---|---|---|---|---|---|---|---|---|---|---|---|---|---|---|---|---|---|---|---|---|---|---|---|---|---|---|---|---|---|---|---|---|---|---|---|---|---|---|---|---|---|---|---|---|---|---|---|---|---|---|---|---|---|---|---|---|---|---|---|---|---|---|---|---|---|---|---|---|---|---|---|---|---|---|---|---|---|---|---|---|---|---|---|---|---|---|---|---|---|---|---|---|---|---|---|---|---|---|---|---|---|---|---|---|---|---|---|---|---|---|---|---|---|---|---|---|---|---|---|---|---|---|---|---|---|---|---|---|
게시일 | 2015-08-26 | 국가 | 쿠웨이트 | 작성자 | 송세현(쿠웨이트무역관) | ||||||||||||||||||||||||||||||||||||||||||||||||||||||||||||||||||||||||||||||||||||||||||||||||||||||||||||||||||||||||||||||
--> -->
쿠웨이트, 한국산 주방용품·기기 수출 유망 - 한국산 제품 인지도 높아져 - - 쿠웨이트 바이어, 가격비교 및 샘플 테스트 이후 주문하는 경향 -
□ 쿠웨이트 주방용품 시장 현황
○ 쿠웨이트 주방용품 시장은 가격이 저렴한 중국 제품이 42%(2014년 기준)를 차지하고, 터키·인도산 주방용품의 수입이 그 뒤를 이음.
○ 쿠웨이트의 한국산 스테인리스강 주방용품 수입액은 2014년 기준 44만 달러로 전년대비 1434%가 증가함.
스테인리스강 주방용품 주요 수입국 현황(HS Code 732393 기준) (단위: 천 달러, %)
자료원: Trade Map(2015.8.4. 기준)
○ 쿠웨이트의 유통점의 매출 중 가정용품, 식재료, 가구류 등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 - 고온기후로 인해 실외활동이 어려운 쿠웨이트 여건상, 대부분의 쿠웨이트인들은 쇼핑몰 및 가정에서 여가생활을 보내고 있기 때문에 외식산업이 발달하고 주방용품에 대한 소비성향이 높음.
쿠웨이트 유통점 매출 비율
자료원: BMI(2015년 8월 기준)
□ 주요 유통경로
○ 대형 유통점 - 진열 품목: 식료품, 주방용품, 가전제품, 학용품, 도서, 캠핑용품, 공구 등 종합품목 - 회사별로 구매정책이 상이하나, 통상 샘플 테스트 이후 후불결제방식으로 신규 거래가 이루어짐.
주: 시장 점유율은 매출액 기준임. 자료원: BMI(2015년 8월 기준)
○ 주방용품·기기 수입상 - 쿠웨이트 내 주방용품 및 기기를 전문적으로 취급하는 수입상은 호텔, 대형 유통점, 소매상, 제과점 등 폭넓은 판매망을 구축하고 있음. - 제품 수입 시 독점공급 계약을 맺기를 희망하는 편이며, 대금 결제조건은 일반적으로 계약금(50%)과 잔여금(50%)을 지급하고 있으며, 대형 유통점에 비해 결제가 빠른 편임. - 주방용품 및 기기에 대한 전문성이 높기 때문에 제품 세부사양이 포함된 홍보물과 샘플을 면밀히 검토한 후, 소량 주문을 시작으로 점차 수입물량을 늘려나가는 경향이 있음.
□ 시사점
○ 쿠웨이트 주방용품 수입 바이어에 따르면 한국산 주방용품의 품질이 중국산 제품에 비해 우수하고 합리적인 가격이기 때문에 소비자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고 함. - 한국산 주방용품의 품질을 홍보하기 위해서는 바이어에게 샘플을 보내줘서 소비자의 반응을 피드백 받을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함. - 기존에 시장에서 찾을 수 없었던 새로운 기능을 가진 제품의 경우, 쿠웨이트 주요 유통점 및 수입상에게 영문 카탈로그를 발송해 적극적으로 홍보하는 것이 중요함.
○ 한국산 주방용품의 가격 및 제품 특성에 맞게 유통경로를 선택 필요 - 대형 유통점: Sultan Center, Lulu Hypermarket 등 대형 유통점은 주방용품 진열 코너가 별도로 구분돼 있으며, 유통점별로 구매정책이 상이하므로 해당 구매부서를 접촉해 개별 상담을 하는 것이 필요함. - 주방용품 전문 수입상: 주방용품 및 기기만을 전문으로 취급하는 수입상의 경우, 쿠웨이트 내 주요 호텔, 음식점, 중소형 마트 등 최종 소비자와 네트워크가 잘 형성돼 있으므로 안정적으로 제품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음.
○ 국내외 전시회를 통해 접촉 바이어에게 지속적으로 홍보하고 요구사항에 대해 빠르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 - KOTRA에서 주관한 ‘2015 서울식품산업대전’에 참가한 쿠웨이트 바이어 I사는 전시회에서 수집한 카탈로그를 수시로 확인하며 한국 주방용품 제조사와 연락을 취함. - 쿠웨이트 바이어는 대륙별로 개최되는 전시회에 주기적으로 참석해 유럽, 중국 등 다양한 제품을 접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산 제품을 경쟁국과 비교해 장단점을 파악하고 있음. - 한국산 주방용품을 수입하는 바이어가 겪는 애로사항은 의사소통이 잘 되지 않아 필요한 물품을 적기에 수입하지 못하고 신제품이 출시되는 경우에도 바이어에게 통보가 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파악됨.
자료원: Trade Map, BMI, 바이어(I사) 인터뷰 및 KOTRA 쿠웨이트 무역관 자료 종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