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리학이 1000년를 이어져 오면서 역대 선배들이 록명법을 자평학에 이용하는 응용법을 찾아 노력을 많이 했습니다. 그 결과가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는 사주학이 됩니다 즉 삼명학에서 뽑아 쓸 수 있는 기술들은 거의 다 활용하여 온 것이 오늘날의 현대 명리학이라 이해하면 됩니다. 그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하는 기술이 년주 기준으로 뽑는 신살류들입니다. 응용하다 보니까 년주로 뽑은 신살이 많은 적중률을 보인 겁니다 그 이외 일간 기준으로 하는 야자시를 발견하였고 그 외 활용된 기술은 납음의 물상을 비교해 보는 방법입니다. 그러나 그 이외 단시법 등의 삼명법은 적용하기 어려운 점으로 인해 거의 폐기하였고 지금의 명리학으로 확정이 되었습니다.[ 만세력을 뽑아 보면 나오는 사주팔자학의 데이타가 있는데 그것에 따르면 납음 물상이 추가된 명식이 보입니다]
時 | 日 | 月 | 年 | 곤 명 |
정재 | 我 | 식신 | 식신 | 六 神 |
壬 | 己 | 辛 | 辛 | 天 干 |
申 | 丑 | 丑 | 酉 | 地 支 |
상관 | 비견 | 비견 | 식신 | 六 神 |
욕 | 묘 | 묘 | 생 | 12운성 |
망신 | 화개 | 화개 | 장성 | 12신살 |
검봉금 | 벽력화 | 벽상토 | 석류목 | 납 음 |
79 | 69 | 59 | 49 | 39 | 29 | 19 | 9 | 대 운 수 |
己 | 戊 | 丁 | 丙 | 乙 | 甲 | 癸 | 壬 |
酉 | 申 | 未 | 午 | 巳 | 辰 | 卯 | 寅 |
그 사람의 정신을 보려면 식상(食傷)을 관찰한다. 이 명조는 식신(食神)이 다자(多字)이고 유축(酉丑)합으로 금(金)의 세력이 주종(主從)을 이룬다 그러면 검날(劍捺)의 봉(鋒)은 둔탁(鈍濁)하여 녹슬게 되니 완금장철(頑金丈鐵)에 불과하다. 반드시 임수(壬水)를 만나야 맑아지게 되고 그런 후에 추수명검(秋水名劍)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이 명조는 식신생재(食神生財)로 임수(壬水)에 주목해야 한다 그런데 임신(壬申)은 납음 검봉금(劍鋒金)이다. 칼을 찬 장수이다. 신금(辛金)의 날카로운 칼날들이 검봉금을 만난 것이다. 그러므로 이 명조는 군,검경 계통과 특정 관련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리고 검봉금(劍鋒金)이 벽상토(壁上土)를 보고 있다. 이것은 연마(練磨)를 위한 숫돌의 의미가 크다. 또한 벽상토가 석류목을 보았다. 벽상토(壁上土)가 목(木)을 본다는 것은 목(木)은 틀과 들보로 사용되므로 추위와 더위를 막는 하우스가 된다. 그러므로 임수 검봉금의 모양세는 큰 집을 지키는 칼을 찬 장수이다. 이 명조는 식신생재의 구조이고 관록도 취약하다보니 분명 정부 소속은 아닐 것이다. 신신(辛辛)은 병화(丙火)를 부르고 유금(酉金)은 종(鍾)의 상징물이다. 병화(丙火)는 빛이며 전파이다 병화(丙火)가 신유(辛酉)와 합하면 전파(電波)의 빛이 신(辛)과 연계 된 유금(酉金)을 울리므로 빛의 소리를 낸다 이 여자는 전화국에서 일하는 청원 경찰관이다.
명식출처: 큰 돌 선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