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논어집주 (論語集注) - 1 - 학이(學而) - ⑭ |
1 | 子曰 君子食無求飽 居無求安 敏於事而愼於言 就有道而正焉 可謂好學也已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군자(君子)가 배불리 먹기를 바라지 않으며, 편안히 거처하기를 바라지 않으며, 일에는 민첩하고 말을 삼가며, 도(道)가 있는 이를 찾아가서 바로잡음을 받는다면 학문을 좋아한다고 할 수 있다.”라고 하셨다.
不求安飽者 志有在而不暇及也. 편안함과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는 것은 뜻이 있어서 그런 것에 미칠 겨를이 없기 때문이다.
朱子曰 食無求飽 居無求安 須是見得自家心裏常有一箇合當緊底道理 此類自不暇及 주자가 말하길, “먹는 것은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고, 거처하는 것은 편안함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니, 모름지기 자기 스스로 마음속에 항상 하나의 합당하고 요긴한 도리를 갖고 있으면, 이런 부류에는 저절로 생각이 미칠 겨를이 없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志在學 自不暇及於求安飽 신안진씨가 말하길, “뜻이 학문에 있으면, 저절로 편안하고 배부름을 추구하는 것에 미칠 겨를이 없게 된다.”라고 하였다. |
2 | 敏於事者, 勉其所不足. 愼於言者, 不敢盡其所有餘也. 일에 민첩하다는 것은 자기가 부족한 것에 열심히 한다는 것이다. 말에 신중하다는 것은 자기가 하고 싶은 말이 남아 있어도 이를 감히 다 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朱子曰 言易得多 故不敢盡 行底 易得不足 故須敏 又曰 行常苦於不足 言常苦於有餘 주자가 말하길, “말은 많아지기가 쉽기 때문에 감히 다하지 못하는 것이고, 실행의 경우는 부족해지기가 쉽기 때문에 모름지기 민첩해야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또 말하길, “실행은 항상 부족함에서 고통을 받고, 말은 항상 남는 것에서 고통을 받는다.”라고 하였다.
雙峯饒氏曰 敏於事之事 非特指行事而言 凡學問思辨窮理之事皆事也 쌍봉요씨가 말하길, “일에 민첩하다는 말에서 일이란, 단지 어떤 일을 행하는 것을 가리켜서 말한 것이 아니라, 무릇 학문을 하고 思辨하며 窮理하는 일도 모두 다 일이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中庸曰 有所不足 不敢不勉 有餘不敢盡 集註取以訓此 신안진씨가 말하길, “중용에서 ‘부족한 곳이 있으면 감히 노력하지 않을 수 없고, 남음이 있더라도 감히 다하지 못한다.’고 하였는데, 집주에서는 이를 취하여 이곳을 뜻풀이하였다.”라고 하였다. |
3 | ○ 然猶不敢自是, 而必就有道之人, 以正其是非, 則可謂好學矣. 凡言道者, 皆謂事物當然之理, 人之所共由者也. 그러나 오히려 감히 스스로 옳다고 여기지 못하고, 반드시 도가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 이로써 자신의 옳고 그름을 바로잡는다면, 곧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무릇 道라고 말하는 것은 모두 사물의 당연한 이치로서 사람들이 함께 말미암아야 할 바를 말한 것이다.
朱子曰 不求安飽 是其存心處 敏事謹言 是用工處 須就正方得 有許多工夫 不能就有道以正其是非也不得 無許多工夫 雖欲就正有道 亦徒然 주자가 말하길, “편안함과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는 것은 바로 그 마음이 보존된 곳이고, 일에 민첩하고 말을 삼가는 것은 그가 힘을 쓰는 곳이니, 모름지기 올바른 것으로 나아가야만 바야흐로 가능한 것이다. 수많은 공부를 하였다면, 도가 있는 사람에게 나아가서 그 시비를 바로잡을 수 없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이다. 수많은 공부를 하지 않았다면, 비록 바른 사람에게서 올바름으로 나아가고자 할지라도, 역시 헛될 뿐이다.”라고 하였다.
此章須反覆看其意思如何 若只不求安飽而不謹言敏行 有甚意思 若只謹言敏行而不就正有道 則未免有差 若工夫不到 則雖親有道 亦無可就正者 聖人之言周遍無欠缺類如此 이 장은 모름지기 반복해서 그 뜻이 어떠한지 살펴보아야 한다. 만약 그저 편안함과 배부름을 추구하지 않을 뿐 말을 삼가지 않거나 행함에 민첩하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만약 그저 말을 삼가고 행함에 민첩할 뿐 도가 있는 사람에게서 올바름으로 나아가지 않는다면, 어긋남이 있음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만약 공부가 (일정 수준에) 이르지 못하였다면, 비록 도가 있는 사람에게 가까이 간다고 할지라도, 또한 올바른 것으로 나아갈 만한 것이 없을 것이다. 성인의 말씀은 주도면밀하여 흠결의 부류가 없음이 이와 같은 것이다.
朱子曰 道卽理也 以人所共由 則謂之道 以其各有條理而言 則謂之理 주자가 말하길, “道는 곧 理이니, 사람들이 함께 말미암는 바로써 (말하자면) 이를 일컬어 道라고 말하는 것이고, 각자 조리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써 말하자면 이를 일컬어 理라고 하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學而篇 言道者三 前兩道字汎 此一道字切 父之道 是父之所由 先王之道 是先王之所由 故集註獨於此釋之曰 人之所共由 道猶路 然人所由者 謂之非路不可 不若人之所共由者 則大路也 운봉호씨가 말하길, “학이 편에서 道를 말한 것이 3번 있는데, 앞의 두 道자는 넓고 얕은 것이고, 여기 하나의 道자는 절실한 것이다. 아버지의 道는 아버지가 말미암은 바이고, 선왕의 道는 선왕이 말미암은 바이다. 그래서 집주는 유독 여기에서 道를 풀이하여 말하길, 사람들이 함께 말미암는 바라고 하였다. 道는 길과 같은 뜻이다. 그러나 사람이 말미암는 것을 일컬어 길(路)이 아니라고 말하면 안 된다. 사람들이 함께 말미암는 것이라면 곧 큰길이라고 하는 것만 못하다.”라고 하였다.
新安陳氏曰 此有道字指有道之人 此人之身與道爲一 能由人所共由之道者也 신안진씨가 말하길, “여기의 有道라는 글자는 道가 있는 사람을 가리키는데, 이 사람의 몸은 道와 더불어 하나가 되었으니, 사람들이 함께 말미암는 道를 능히 말미암을 수 있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
4 | ○ 尹氏曰: “君子之學, 能是四者, 可謂篤志力行者矣. 然不取正於有道, 未免有差. 如楊ㆍ墨學仁義而差者也, 其流至於無父ㆍ無君, 謂之好學 可乎?” 윤씨가 말하길, “군자가 학문을 함에 있어, 이 네 가지를 할 수 있다면, 돈독한 뜻으로 힘써 행하는 사람이라고 일컬을 만하다. 그러나 도가 있는 사람에게서 올바름을 취하지 않는다면, 잘못(差)이 있음을 면할 수 없다. 예컨대 양주나 묵적이 인의를 배웠지만 잘못된 것처럼, 그것이 아비도 없고 임금도 없는 지경에 흘러서 이를 것이니, 그것을 일컬어 배움을 좋아한다고 말한다면, 되겠는가?”라고 하였다. 朱子曰 楊氏以世人營營於名利埋沒其身而不自知 故獨潔其身以自高 然不知 義者則制事之宜 處人倫事物 各當其所 乃合於義 今但知有己而已 使人皆如此 潔身自高 則天下事敎 誰理會 此便是無君 墨氏見世人自私自利 不能及人 故欲兼天下而盡愛之 然不知 仁者心無不溥遍 而施則有差等 心皆溥遍者 仁也 其理一 施有差等者 仁中之義也 其分殊 今親親與仁民同 是待親猶他人也 此便是無父 此學者所以必求正於有道也 주자가 말하길, “양주는 세상 사람들이 명성과 이익에 분주하여(營營) 그 몸을 파묻고서도 스스로 알지 못하였기에, 홀로 제 몸을 깨끗이 하여 자신을 고상하게 하였지만, 그러나 義라는 것은 일을 통제하는 마땅함이며, 인륜과 사물을 처리함에 있어 각자 제자리에 있게 해야만, 마침내 義에 부합한다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 지금 단지 자기가 있는 것만 알아서, 사람들로 하여금 모두 이와 같이 제 몸을 깨끗이 하여 스스로를 고상하게 하도록 한다면, 천하의 일과 교화는 누가 이해할 것인가? 이것은 바로 임금이 없는 지경인 것이다. 묵자는 세상 사람들이 자기만 사사로이 이롭게 하면서 남에게 미치지 못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에, 천하의 모든사람들을 전부 다 똑같이 사랑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仁이라는 것은 마음에 두루 널리 미치지 않음이 없는 것이지만, 베풂에 있어서는 차등이 있는 것이라는 점을 알지 못하였다. 마음이 모두 두루 널리 미치는 것은 仁이다. 그 이치는 하나지만, 베풂에 있어서는 차등이 있는 것은 仁 속에 있는 義이다. 그 구분은 아주 현저한 것인데도, 지금 부모를 친애하는 것을 백성을 인애하는 것과 같게 한다면, 이는 부모님 대하기를 타인처럼 하는 것과 같은 것이다. 이는 곧 아버지가 없는 지경이다. 이것은 배우는 자가 반드시 道가 있는 사람에게서 올바름을 구해야만 하는 까닭이다.”라고 하였다. 勉齋黃氏曰 尹氏所謂篤志爲不求安飽而言也 所謂力行爲敏事慎言而言也 以是四字而繼之 以集註不敢自是之言 然後足以盡此章之旨 蓋此章謂之好學 非篤志力行不自是 亦無以見其所以爲好也 면재황씨가 말하길, “윤씨가 말한 이른바 篤志라는 것은 편안함과 배부름을 구하지 않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소위 力行이라는 것도 일에 민첩하고 말을 삼가기 때문에 이렇게 말한 것이다. 이 네 글자(篤志力行)로 설명했으면서도, 집주의 ‘감히 자기가 옳다고 자처하지 못 한다’는 말로써 계속한 뒤에서야, 이 장의 취지를 전부 다 충분히 드러냈던 것이다. 아마도 이 장에서 그것을 일컬어 好學이라고 말하였는데, 篤志力行과 不自是가 아니라면, 역시 좋아함이 되는 까닭을 제대로 보여줄 수가 없었을 것이다.”라고 하였다.
雲峯胡氏曰 必無求然後見其有好之之志 必敏愼然後見其有好之之實 必取正有道然後不差夫好之之路 此足以見好學者之甚難得也 운봉호씨가 말하길, “반드시 (安飽를) 추구함이 없는 연후에 배우기를 좋아하는 그 뜻이 있음을 볼 수 있고, 반드시 (언행에) 신중하고 민첩한 연후에 배우기를 좋아하는 그 실질이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반드시 도가 있는 사람에게서 올바름을 취한 연후에 저 배우기를 좋아하는 길에서 어긋나지 않는 것이다. 이는 배우기를 좋아하는 자를 얻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을 보여주기에 충분한 것이다.”라고 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