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어릴적 들었을때 몰랐던 새로운 느낌. 참 오랜만에 다시 샘솟네요. ㅎㅎ
라디오에 때만 되면 나오던 뻔한 노래었는데... 신곡도 아니고 몇십년전 들었던 노래에 자꾸 빠지게 됩니다.
이제 새로운 건 점점 두렵고 귀찮은 나이가 되가는건가?
아뭏든 여기저기서 퍼온글을 함께 올려봅니다.
송코디 신청곡이었던걸 이제 알았네. ㅎㅎ 찌찌뽕...
가사 하고는 참..
모두 곱게 늙어가는 화창한 주말 되시길 바래요.
알란 파슨스
알란 파슨스(Alan Parsons)는 학창 시절부터 전자 효과 음악과 전자 기계에 대한 관심이 많았다. 그렇지만, 학교를 졸업하고 처음으로 가진 직업은 TV카메라를 개발하는 일이었다. 이 직업이 자신의 적성과 맞지 않음을 안 알란 파슨스는 테이프 제작 회사로 직장을 옮겨 보았으나, 전자 효과음악에 대한 미련이 많았던 그는, 얼마 후 비틀즈가 경영하던 에비로드 스튜디오의 보조 엔지니어로 취직했다. 이곳에서 음의 분리와 믹싱 작업을 익힌 그는 비틀즈(Beatles)의 「Abbey Road」와 「White Album」을 제작했고, 핑크 플로이드(Pink Floyd)의 「The Dark Side of The Moon」, 그리고 알 스튜어트(Al Stewart)의 「Year of The Cat」 등에서 프로듀서 및 엔지니어로서의 재능을 발휘해 왔다.
기계 조작에 의한 레코딩에 매력을 느낀 그는, 남의 레코딩 작업 때에는 과감한 테크닉 시도가 어렵다는 것을 깨닫고, 자신의 그룹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Alan Parsons Project)를 결성했다. 그리고 특이한 예술적 감각으로, 현시대를 앞선 사운드를 개발하여 오던 알란 파슨스는, 1976년에 데뷔 앨범 「The Tales of Mystery And Imagination」 제작에 들어가 자신의 음악적 재능을 총동원시켜, 사운드 테크닉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를 유감없이 파헤쳤다.
알란 파슨스는 대부분의 자신의 앨범 속에 항상 어떤 특이한 테마를 담고 있는데, 이 앨범에서는 에드가 알란 포우(Edgar Allan Poe)의 괴기 소설을 그대로 음악으로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 앨범의 반응은 순식간에 유럽 일대를 석권할 수 있었으며, 캐나다와 뉴질랜드에서는 골드 레코드를 기록하면서 엔지니어상과 테크닉 사운드상을 함께 수상하는 등, 팝계에 지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켰다.
그해 연말에는 두 번째의 앨범 「I Robot」를 발표하였는데, 이 앨범에서는 로보트를 주제로 하고 있어 기계에게 말을 거는 인간을 꼬집으며 기계화된 현대 사회 문제를 파헤치고 있다. 1977년에는 세 번째의 앨범 「Pyramid」를, 1979년에는 여성에 대한 내용을 한 「Eve」를 발표했다. 효과 위주의 앨범을 계속 발표하고 있는 알란 파슨스는, 대중성보다는 훌륭한 사운드가 어떤 것인가를 전하는 데 큰 공헌을 했다. 하지만, 대중성을 겸비하면서 대중들에게 쉽게 친숙할 수 있었던 앨범은 싱글 <Time>이 수록되어 있었던 「Turn of A Friendly Card」로, 이 앨범이 발표되면서 알란 파슨스는 세계적인 아티스트로 성장할 수 있었다.
1981년에 발매된 이 앨범은, 음악인의 정신과 한계, 또한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가 국제적인 성공을 이루기까지의 이야기를 체계화시켜 시리즈로 엮었던 것인데, <Games People Play>, <Time>, <May Be A Price To Pay> 등이 크게 히트되어, 앨범 차트와 싱글 차트에서 모두 좋은 반응을 보였던 앨범이었다.
음악성과 상업성을 적절하게 혼합하여 하늘의 세계를 시리즈로 엮고 있는 앨범 「Eye In The Sky」는, 1982년에 에비 로드 스튜디오에서 녹음한 것으로 단숨에 각 차트를 석권했던 앨범이기도 하다. 1982년 10월 23일자 빌보드 앨범 차트 3위에 랭크되어 정상을 노리던 이 앨범은, 하늘의 별들 중 가장 밝은 천랑성인 <Sirius>를 오프닝 곡으로 하여, 전자 사운드로 적절하게 연주되면서 메인 테마 <Eye In The Sky>로 연결되어, 투명하면서도 모든 것을 꿰뚫어 볼 수 있는 눈을 묘사하면서 시작된다. 이 앨범 제작에서는 95명의 대규모 오케스트라까지 동원되어, 알란 파슨스 자신의 심혈을 기울여 만든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항상 자신의 그룹 프로젝트와 함께 새로운 음악을 창조해 수준 높은 사운드를 들려주고 있는 알란 파슨스는 사운드 믹싱 재능도 그야말로 탁월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 [Alan Parsons Project] (팝스타소사전, 삼호뮤직)
에릭 울프슨
1945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태어났다. 1963년 런던에서 세션 피아니스트로 일했다. 그해 영국 록 그룹 롤링 스톤스(The Rolling Stones)의 매니저이자 프로듀서인 앤드류 루그 올덤(Andrew Loog Oldham)이 설립한 음반사 이미디어트 레코즈(Immediate Records)와 작곡가 계약을 맺었다. 이후 영국 가수 마리안 페이스풀(Marianne Faithfull), 영국의 컨트리 가수 프랭크 이필드(Frank Ifield), 미국 태생의 프랑스 가수 조 다셍(Joe Dassin), 영국의 비트 그룹 트레멜로스(The Tremeloes), 스코틀랜드 팝 록 그룹 마멀레이드(marmalade) 등에게 곡을 써줬다.
1971년 '에릭 엘더(Eric Elder)'라는 이름으로 데뷔싱글 <산 토케이(San Tokay)>를 발표했다. 1972년 영국 가수 데이브 베리(Dave Berry)의 싱글 <무빙 온 (턴 어라운드)(Moving On (Turn Around))>에서 프로듀서를 맡았다. 이후 1970년대 중반까지 트레멜로스, 영국 가수 대런 번(Darren Burn), 영국 그룹 셰퍼즈 부시 코메츠(The Shepherds Bush Comets) 등의 음반 프로듀서로 활동했다.
1975년 런던 애비 로드 스튜디오(The Abbey Road Studios)에서 엔지니어로 일하던 알란 파슨스(Alan Parsons)와 함께 프로그레시브 록 그룹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를 결성했다. 알라 파슨스 프로젝트의 멤버로 《아이 로보트(I Robot)》(1977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9위), 《더 턴 오브 어 프렌들리 카드(The Turn Of A Friendly Card)》(1981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13위), 《아이 인 더 스카이(Eye In The Sky)》(1982년 미국 빌보드 앨범차트 7위) 등의 앨범을 발표했고, <타임>(1981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5위), <아이 인 더 스카이>(1982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위), <올드 앤드 와이즈(Old And Wise)>(1983년 영국 싱글차트 74위), <돈트 앤서 미>(1984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15위), <프라임 타임(Prime Time)>(1984년 미국 빌보드 싱글차트 34위) 등 여러 곡을 히트시켰다.
1989년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11번 째 앨범 작업을 하면서 음악적 방향을 뮤지컬로 전환하고자 했고, 1990년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라는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정신분석의 창시자인 오스트리아의 정신과 의사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의 영향을 받아 만든 뮤지컬 앨범 《프로이디아나(Freudiana)》를 출시했다. 《프로이디아나》에서 에릭 울프슨이 거의 모든 노래의 작곡과 작사를 담당했고, 알란 파슨스는 프로듀서만 맡았다. 결국 그해 두 사람은 음악적 견해차이로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를 해체했다.
1990년 오스트리아 빈(Vienna)의 빈 극장에서 직접 극본과 음악을 맡은 첫 뮤지컬 《프로이디아나(Freudiana)》가 초연됐다. 이후 에릭 울프슨은 스페인의 건축가 안토니오 가우디(Antoni Gaudi)를 테마로 한 뮤지컬 《가우디(Gaudi)》(1995), 순진한 젊은이가 도박에 빠져 파멸해가는 모습을 그린 뮤지컬 《갬블러(Gambler)》(1996), 미국 작가 에드거 앨런 포(Edgar Allan Poe)의 삶을 그린 뮤지컬《포(Poe)》(2003)에서 극본과 음악을 맡았다. 2007년에는 차범석의 『산불』을 원작으로 삼은 한국의 창작뮤지컬 《댄싱 섀도우(Dancing Shadows)》의 음악을 담당했다. 2009년 12월 2일 런던에서 신장암으로 사망했다.
에릭 울프슨은 영국의 록 그룹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의 멤버로 프로그레시브 록의 대중화에 기여했고, 뮤지컬의 발전에도 앞장섰다. 대표곡으로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 멤버로 발표한 <타임>, <아이 인 더 스카이>, <돈트 앤서 미>, <프라임 타임> 등이 있다.
[디스코그래피: 스튜디오 앨범]
1990년 《프로이디아나(Freudiana)》
1991년 《프로이디아나 비엔나 캐스트 앨범(Freudiana Vienna Cast Album)》
1995년 《가우디 뮤지컬 캐스트 앨범(Gaudi Musical Cast Album)》
1997년 《갬블러 (다스 가하임니스 데어 카르텐)(Gambler (Das Geheimnis Der Karten))》
2003년 《포: 모어 테일스 오브 미스터리 앤드 이매지네이션( Poe: More Tales Of Mystery And Imagination)》
2007년 《댄싱 섀도우스(Dancing Shadows)》
2009년 《에드거 앨런 포: 어 뮤지컬(Edgar Allan Poe: A Musical)》
2009년 《에릭 울프슨 싱스 디 알란 파슨스 프로젝트
[네이버 지식백과] 에릭 울프슨 [Eric Woolfson] (두산백과)
As far as my eyes can s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