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1.6.20이후 적용 자세한사항은 공지확인하시라예
출처: 여성시대 Au revoir
▼ 봐도 되고 안봐도 되고
들어가기에 앞서
안읽어본 언니들은 왕비의 대례복 글을 읽어줘.
친절하게 링크도 걸어 놓겠음ㅋ
조선시대 왕비의 대례복
혼례복이라고 떠돌고 있던 사진은
혼례복보다는 대례복이라고 하는게 맞는 말이라서
저 글을 쓰게 된거고..
쓰다가 보니까 대례복 말고도
여러 종류가 많아서 다시 한번 또 쓰게 되었음.
그리고 이미지 사진은 예전에 여기저기 모아뒀던 걸 사용한건데
100% 완벽 고증을 한게 아니라서 그때 그 시대 그대로의 의상은 아니지만
그나마 옷 이름 정도를 알 수가 있을꺼야.
우선 우리 눈에 가장 익은 것부터

현대에 들어서 혼례복으로 입는 활옷
원래는 조선시대에 공주, 옹주가 입던 대례복이었는데
조선 말기에는 일반서민들도 혼례용으로 입게 되었음.
활옷의 특징은 앞부분 보다 뒷부분이 더 화려한데
앞면은 두손을 모아서 가리기 때문에 무늬가 없고
뒷면은 전면이 보이기 때문에 수를 화려하게 놓음.
(공주의 활옷으로 제대로 나온 드라마가 공주의 남자 밖에 생각이 안나네;;
그런데 공주의 남자가 워낙에 의상 고증따윈 엿바꿔 먹어서
이 활옷도 고증의 제대로 살렸는지 의문이지만-_-;)

다소 생소해 보일 수 있는 옷인데,
이 옷의 이름은 노의
조선 초기에는 왕비의 상복(常服)이며
4품 이상 정처의 예복으로 사용되었음.
이것 역시도 작위에 따라 색이 달랐는데
왕비는 가슴에 흉배를 달았음.
조선 중기까지 사용해오다가 당의가 생기면서 없어졌음.
다음은 원삼으로 넘어가겠음.
이 원삼은 왕비 이하 내·외명부들의 예복으로
왕비, 세자빈은 소례복으로 대군부인 이하 상궁들은 대례복으로 입었음.
(사실 원삼이랑 활옷은 비슷하긴한데 다른 점이라면
활옷은 자수가 더 많이 들어가서 화려하다는 것)

황원삼
적의와 마찬가지로 황후의 예복이므로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입어 본 황후는 순종의 비 순정효황후 윤씨 뿐임.
한마디로 원삼 중에 니가 짱임!
(왼쪽 그림은 순정효황후의 영정)

홍원삼
조선 중기부터 왕비가 착용해오던 옷인데
대한제국에서는 황태자비의 대례복으로 사용함.

자적원삼
자적원삼은 비빈들, 세자빈 또는 당상관 부인들이 입던 옷임.
세자빈이 입었을때는 흉배를 다는게 특징이고
후궁들은 금박을 달았음.
'

녹원삼
공주, 옹주, 사대부 부인들이 입었던 옷으로
일반 시민의 혼례복으로까지 사용하였음.
다만, 왕실과 다른 점은 민가의 혼례복은 금박을 하지 않고
소매에 색동을 많이 넣어 꾸몄음.
(덧붙여 상궁의 대례복으로 입기도 하였음
그러나 사진에서 처럼 흉배를 달거나 금박을 하지는 않았고...)
간단하게 말하자면 원삼은 주로
황후는 황색, 왕비는 홍색을
세자빈, 공주, 옹주들은 녹원삼,
후궁들은 자적원삼을 입었다고 생각하면 됨.
아, 그리고
황원삼은 용무늬, 홍원삼은 봉황무늬,
자적원삼은 福 글자 무늬, 녹원삼은 花무늬로 하였음.
뭐, 그밖에도 소례복에는 당의, 장삼, 단삼이 있는데 쓰기 귀찮....;;
(당의는 잘 알고 있을 것이고 장삼은 조선시대 초중반까지 입었던 예복임)
오늘은 여기까지 하고
다음에 시간나면 왕의 대례복을 한번 써보도록 하지.
첫댓글 잘 보고 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