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욕 실천의 법의 - ‘가사(袈裟)’
승복(僧服)은 스님들이 입는 옷을 통틀어 말하는 것으로 장삼(長衫)과 가사(袈裟)를 포함한다. 승의(僧衣) 또는 법의(法衣)라고도 한다. 가사(袈裟)란 산스크리트어 ‘카사야(Kasaya)’에서 음을 딴 것으로, 장삼 위에 스님들이 입는 법의(法衣)를 말한다.
색에 의한 명칭으로는 염의(染衣), 염색의, 부정색의, 괴색의, 탁적의(濁赤衣), 황갈색의 등이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삼의(三衣), 승의(僧衣), 비구의(比丘衣)라 하며, 공덕의 측면을 강조하여서 법복, 법의, 불의, 공덕의라고도 한다.
승복이라 하면 회색의 장삼 위 왼쪽 어깨에서 오른쪽 겨드랑이 밑으로 걸쳐 입는 법의를 가리켜 ‘가사라 한다. 가사의 색과 형태 등은 종파와 법계에 따라 엄격한 규정이 있는데, 구족계를 수지한 우리나라 조계종 스님들은 갈색에 가까운 ‘괴색(愧色)’의 가사를 걸쳐 입는다.
원래 인도에서는 날씨가 더워 하의(下衣) 위에 직접 입는 옷이었으나, 중국과 한국, 일본 등에서는 추워서 가사만을 입을 수 없으므로 장삼을 입고 가사를 걸치게 됐다. 대부분 왼쪽 어깨로부터 오른쪽 옆구리에 걸쳐 두른다.
석가모니 부처님께서는 수행자의 옷이 화려함을 갖추는 것을 경계하며 5가지 색(청ㆍ적ㆍ황ㆍ흑ㆍ백)을 피하고 잡색인 괴색으로 만들어 사용하도록 했다. 옛 인도에서는 누더기 옷을 ‘가사야(Kasaya)’라고 불렀으며 이는 바르지 못한 색(不正色), 물들인 색(濁染色), 탁한 색(濁色), 괴색(壞色) 등으로 번역된다.
초기 교단에서 수행자들은 검소하게 생활함으로써 탐심이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남들이 입다가 버린 옷, 죽은 사람의 옷, 낡은 옷 등의 천 조각을 모아 꿰매어 깨끗이 세탁해 ‘분소의(糞掃衣)’라는 남루한 누더기 옷을 만들어 입었다.
<사분율>에는 부처님께서 아난에게 가사를 만들도록 한 모습이 나온다. 아난이 조각천을 기워 가사를 만들어 보이자 부처님께서는 “출가자들이 필수적으로 지녀야 하는 대의(大衣), 상의(上衣), 내의(內衣) 등 세 벌의 가사(三衣)는 모두 조각천을 기워서 만들어야 한다”고 칭찬했다.
직사각형의 베 조각들을 세로로 나란히 꿰맨 것을 1조(條)로 하여, ‘승가리(僧伽梨)’는 거리로 외출할 때 입는 9조 내지 25조로 된 가사이다. 우리 나라에서 보통 가사라고 하면 이 ‘승가리’를 가리킨다. 이는 예불, 설법, 의식, 독경 때 장삼 위에 걸쳐 입는 옷이다.
또 ‘안타회’는 일상적인 작업이나 잠잘 때 입는 5조로 된 가사이고, ‘울다라승’은 강의를 듣거나 포살 등을 행할 때 입는 7조로 된 가사이다. 부처님께서 3벌의 옷과 1벌의 발우, 즉 삼의일발(三衣一鉢)을 비구의 전재산으로 삼게 하신 것은 수행승의 청빈을 강조한 가르침이다.
[출처] 무욕 실천의 법의 - ‘가사(袈裟)’|작성자 일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