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교육론 강의를 시작하면서 법제처(www.moleg.go.kr 또는 인터넷 검색창에 법제처를 검색후 홈페이지에 검색창에 ‘산림’으로 검색) 법령을 인용하여 산림교육에 대해 설명하셨다.
국민의 욕구와 수요가 커지면서 산림복지진흥을 볍령으로 시행함
♣산림교육활성화 법령개정( 2014년3월 )
-"산림교육"이란 산림의 다양한 기능을 체계적으로 체험·탐방·학습함으로써 산림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산림에 대한 지식을 습득하며 올바른 가치관을 가지도록 하는 교육을 말한다.
-"산림교육전문가"란 산림교육전문가 양성기관에서 산림교육 전문과정을 이수한 사람으로서 다음 각 항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산림청 홈페이지 휴양·문화(숲에on) 카테고리에서
산림교육과 산림교육전문가의 역할, 산림교육전문가 자격취득방법,산림교육 프로그램 인증제도 등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산림치유지도사
-치유의 숲에서만 활동제안이 있었지만, 법령개정으로 치유의 숲 뿐만 아니라 삼림욕장,숲길으로 활동범위를 확대함
♣산림청 홈페이지 행정·정책 카테고리
*탄소나무계산기:일반가정에서 에너지 소비량에 따라 1인이 1년 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의 총 배출량과, 배출한 이산화탄소의 흡수를 위하여 심어야 할 나무그루수를 계산하여주는 탄소나무 계산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국립산림과학원과 산림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서비스를 제공하였습니다
*탄소나무스쿨(홈페이지 행정·정책 카테고리 하단 탄소나무계산기 클릭후 왼쪽에위치)
-학교숲에 구성하는 토양및,나무의 종류,구별방법,높이지름 재는방법 등을 재미있게 풀어가는 학교숲 조사 프로그램..
*이스트섬의 몰락 ‘모아이석상’
-인류의 문화를 설명하시면서 세계불가의 중에 하나인 모아이석상에 비유하였다. 원래 숲이 우거진 풍요로웠던 섬이 무분별한 벌채로 나무를 이용해 거대석상을 옮기고 나무을 베면서 숲이 사라지게 되었다. 숲이 사라지면서 먹을 것이 없어지고 부족간의 사람까지도 해치는 카니발리즘(인육을 먹는 풍습)현상도 나타나게 됨

♣산림(숲)이란?
①지목설 :토지대장에 지목이 산림으로 되어 있는 곳
②목적설 :토지가 산림으로 경영될 목적으로 존재하는 곳
③현상설 :현재 임목이 서 있는 곳
♣우리나라 산림역사: 통일신라시대에는 숯을 이용한 생활형태가 많았고, 고려시대 때는 몽고의 수탈로 산림의70%가 폐해가 심해 풍수해,기아가 발생하면서 조선 건국시 ‘치산치수’를 주요정책의 통치이념으로 하였다.
*산림녹화사업 시 심은 아까시나무(연료,땔감으로 이용,대기중의 질소를 영양분으로 삼는다)
플라타너스(성냥,나뭇젓가락,도시락등으로 이용) 당대에는 최고의 호용가치를 누렸던 나무가 홀대받고 쓸모없는 나무로 전략해 버린 아쉬움.. 인간중심의 산림가치를 비판(?)하심
♣산림의 기능
①산림휴양기능 ②산지재해 방지기능 ③목재생산기능 ④수원(水源)함양기능 ⑤자연환경보전기능
⑥생활환경보전기능

어떤 시선으로 다가가야 할까요?(관점의차이)
문맹이나 컴맹은 배우고 익히면 가능하지만 생태맹은 자연과 교감하고 함께 나누는 일은 자연에서 현장에서 체험하지 않으면 불가능하 다고 합니다.
인간이 간섭하고 조성한 산림을 책임감과 자긍심을 가지고 산림에 대한 올바른 인식으로 다가가는 숲해설가의 역할을 주문하셨습니다.
첫댓글 정리하시느라 수고 많으셨습니다.
생태 맹이 되지 않기 위해 자연 현장체함을 많이해야 하겠군요.
수고 하셨습니다
교육생들이 아주 좋아 하겠습니다
제비꽃샘 수고 많았어요
멋진 정리 감사합니다
연평식교수님 강의를 놓쳐서 아쉬웠는데... 제비꽃님께서 올려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열정넘치는 12기선생님들 화이팅입니다.
치산치수가 예전에도 중요했군요.
요약정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