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토양에서 인산비료의 고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
㉮ pH 3~4 정도에서 가장 많이 고정된다.
㉯ 음이온이 공존할 경우 고정량은 증가한다.
㉰ 논이 밭보다 고정이 빨리 된다.
㉱ 토양 중 인산의 용해도는 규반비가 낮아지면 감소한다.
2. 작토 10a의 중량(10㎝깊이)을 10만㎏이라할 때, 전산도 1.5me H+/100g인 산성토양 30a를 중화하는데 소요되는 산물석회량은? 3
(단, 석회는 CaO : 35% + MgO : 10%이고, 각 원소의 원자량은 Ca : 40, Mg : 24, O : 16 이다.)
㉮ 389㎏ ㉯ 300㎏ ㉰ 257㎏ ㉱ 200㎏
3. 토양 중 황의 존재 및 흡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2
㉮ 주로 SO42-형태로 식물체에 흡수된다.
㉯토양에서는 무기태의 형태로만 존재한다.
㉰ SO42-의 흡수는 타성분에 비하여 pH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 식물체내의 전황의 함량은 건물(乾物)로 약 0.2~0.5% 범위이다.
4. 깻묵의 비효 및 시용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
㉮ 나뭇재를 섞어 쓰면 부열(腐熱)을 지연시킨다.
㉯ 고형비료이므로 논에서의 유실이 적고 노후화답이나 배수가 심한 논에 효과적이다.
㉰ 대체로 인산과 카리가 적어서 과린산석회 등으로 보충해주어야 한다.
㉱ 질소함량이 많은 것 일수록 속효성이고, 탄소율이 높은 것 일수록 지효성이다.
5. 유효인산의 정량을 위한 분석방법(Lancaster법)시의 시약으로 옳지 않은 것은?
㉮ 0.8M - H3BO3액 ㉯ NaHSO3 용액㉰ 몰리브텐산 암모늄 황산혼합액 ㉱ 브롬크레솔 그린
6. 어느 농도 범위에서 Ca2+ 은 K+, Rb+, Br-의 흡수를 촉진시키는데 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가
㉮ Viets효과 ㉯ Boas 효과 ㉰ 길항작용 ㉱ 흡수의 이중성
7. 칼슘(Ca)의 생리기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다
㉮ 조직의 구성성분으로 pectin질에 들어 있다.
㉯ 세포의 신장과 분열에 필요하다.
㉰ 일반적으로 단자엽식물에 비교적 많고 식물체내에서는 이동이 어렵다.
㉱ 결핍증상은 생장점 부분의 분열 조직에 나타나기 쉽다.
8. 요소와 석회질소를 각각 성분량으로 등량 시비 하였더니 요소시비구는 450 kg/10a, 석회질소시비구는 442 kg/10a의 수량을 얻었으며, 이 때의 무비료구 수량은 300 kg/10a 였다. 석회질소의 비효가는 얼마인가? 가
㉮ 약 95 % ㉯ 약 87 % ㉰ 약 78 % ㉱ 약 66 %
=>설명부탁드립니다..
9. 석회를 과잉 시비한 곳에 결핍 현상을 나타내는 성분은? 가
㉮ B ㉯ Zn ㉰ Mo ㉱ Mn
=>설명부탁드립니다 아연과 망간이 안되는 이유는???
10. 토양 중 황의 동태에 대하여 잘못 설명한 것은?
㉮ pH 6.0 이하인 산성에서 SO42-의 흡착이 일어난다.
㉯수용성 황산염의 전체 황에 대한 비율은 활성철과 알루미늄의 함량증가에 따라서 높아진다.
㉰ 환원 상태의 S가 공기를 만나면 산화하여 pH가 급격히 낮아진다.
㉱ pH가 낮아지면 수용성 황산염의 비율이 낮아진다.
11. 토양의 유기물 함량이 같을 때, 일반적으로 토양의 유효수분 함량이 가장 많은 토성은? 라
㉮ 점토 함량 10%인 사양토 ㉯ 점토 함량 20%인 양토
㉰ 점토 함량 30%인 식양토 ㉱ 점토 함량 50%인 식토
12. 우리 나라에서 토양유실예측공식을 적용하기 위한 강수인자가 400인 지역에서 토양인자가 0.25, 경사인자가 1.0인 상태에서 옥수수(작물관리인자:0.4)를 등고선(토양보전관리인자:0.6) 재배하면, 1 ha의 경사지 밭에서 연간토양유실량은 어느 정도로 예측되는가? ????
㉮ 10 ~ 15톤 ㉯ 20 ~ 40톤 ㉰ 45 ~ 60톤 ㉱ 65톤 이상
13. 토양의 용적밀도가 1.8 g/㎤일 때 75 ㎤ 용적에 들어있는 건조토양의 무게는?
㉮ 0.024g ㉯ 135g ㉰ 42g ㉱ 36g
14. 물에 의한 토양의 침식이 가장 적을 것으로 예상되는 토양으로만 나열된 것은? ????
① 미사 함량이 높은 토양 ② 입단발달이 양호한 토양
③ 투수성이 양호한 토양 ④ 유기물 함량이 높은 토양
㉮ ①,② ㉯ ②,④ ㉰ ①,②,③,④ ㉱ ①,③
12. 토양의 다량 원소인 K는 산화환원에 관계없이 일정하게 용액으로 녹아 나오지만 Fe와 Mn 등은 환원이 되면 용해도가 급격히 증가한다. 다음 중 토양이 환원으로 진전될 때 예상되는 변화는? ????
㉮ K 공급은 일정하므로 작물의 K 흡수는 아무런 변화가 없다.
㉯ K 공급은 일정하지만 Fe와 Mn에 의하여 길항이 일어나므로 작물의 K 흡수는 줄어든다.
㉰ K 공급은 Fe와 Mn에 의하여 흡수가 조장되어 작물의 K 흡수는 늘어난다.
㉱ K 공급은 에너지가 소모되는 적극적인흡수이므로 Fe와 관계없이 작물의 K흡수는 일정하다.
⇒
13. 인산질비료를 주면 효과가 크게 나타나는 토양은? 1 ?????
① 중성의 논토양 ② 중성의 밭토양⇒화산회토??//
③ 미경지의 산성토양 ④ 용성인비를 시용해 온 논토양
⇒인산의 유효도는 중성에서 높고 논에는 천연공급량이 많으므로 요구량이 적다(한냉지 저온의 생육초기 유효)
14. 2:1 결정격자형 점토광물의 음전하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2 1111
① 결정단위당 동형치환에 의한 양전하의 부족량은 montmorillonite가 illite보다 크다.
② illite에서는 주로 양전하의 부족이 규산4면체의 규소가 Al3+과 치환됨으로써 생긴다.
③ montmorillonite에서는 양전하의 부족이 주로 알루미늄8면체의 동형치환 때문에 발생한다.
④ illite는 결정단위표면 근처에서 양전하의 부족이 생기는 반면 montmorillonite는 결정표면에서 먼 중심부에서 양전하의 부족이 생긴다.
15. 노량진 앞의 한강 둔치 토양을 시료채취기로 Core 채취하여 부피를 측정한 결과, 부피가 1000㎤, 젖은 토양의 무게는 600g이며, 이를 105℃ dry oven에서 18시간이상 건조시킨 후 무게를 달아보니 400g이었다. 이 토양의 중량수분함량과 용적수분함량은? 4 : 200g/400g, 200/1000
① 30%, 50% ② 33%, 40% ③ 40%, 30% ④ 50%, 20%
16. 어느 토양에서 삼투계수가 0.6 cm/sec이고, 이 토양의 공극률이 50%일 때 수리전도도는(cm/hr)? 3
① 300 ② 360 ③ 720 ④ 900
17. Chitin을 분해 할 수 없는 사상균은? 3
① Mucor ② Fusarium ③ Penicillium ④ Aspergillus
18. 셀룰로스와 펙틴 및 키틴을 모두 분해할 수 있는 사상균은? 2
① Penicillium ② Fusarium ③ Aspergillus ④ Mucor
19. 생육에 필요한 에너지는 화학적 암반응으로 얻고, 유기물을 필요로 하는 혐기성세균이 아닌 것은? 2 333
① 탈질균 ② Aerobacter③ Pseudomonas ④ 황산환원세균
20 리그닌을 분해할 수 있는 사상균이 아닌 것은? 3
① Coprinus ② Agaricus③ Mucor ④ Poria
21. 다습지대의 토양으로 Ca과 Mg 등이 풍부하고 우리나라의 산간 구릉지나 평지에 많은 농업에 잘 이용되는 토양은?
① 엔티졸 ② 알피졸 ③ 울티졸 ④ 히스토졸
22. 양이온치환용량(CEC)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4
① 부식과 점토함량이 많을수록 CEC가 크다. ② 전기음성도가 클수록 CEC가 크다.
③ CEC가 클수록 토양완충능이 크다. ④ 점토광물의 CEC는 토양 pH와 비례관계를 보인다.
23. 반건, 반습의 초원을 이루는 토양목은? 3
① Alfisol(m,o,s 없다) ② Oxisol ③ Mollisol(o,s 없다) ④ Ultisol
24 다음 중에서 토양이 환원상태에서 제일 처음 일어나는 화학반응은? 3
① CO2 + 8H+ + 8e = CH4 + 2H2O ② Fe(OH)3 + 3H+ + e = Fe2+ +3H2O
③ MnO2 + 4H+ + 2e = Mn2+ + 2H2O ④ SO42- + 10H+ + 8e = H2S + 4H2O
⇒환원순서: 유리산소>질산화합물>망간>철>황>염
25. 토양수분이 A에서 B로 이동하도록 수분포텐셜을 바르게 표시한 것은? 2
① A: -500kPa B: -30kPa ② A: -30kPa B: -500kPa
③ A: -30kPa B: -30kPa ④ A: -500kPa B: -500kPa
26. 부산물비료 중에서 퇴비의 공정규격에 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3
① 유기물의 함량이 25% 이상이다. ② 염분의 함량은 1.0% 이하이다.
③ 유기물대 질소의 비는 25 이하이다. ④ 함유된 유해성분량을 규제하고 있다.
27. 부산물비료인 퇴비의 공정규격에서 유해성분의 규제기준이 틀린 것은? 111
① 납 : 100mg/kg 이하 ② 비 소 : 50mg/kg 이하 ③ 수 은 : 2mg/kg 이하 ④ 카드뮴 : 5mg/kg 이하
28. 토양에서 식물에 가장 유효한 형태의 칼륨은? 3 ????
① Illite의 K ② 흑운모의 K ③ montmorillonite의 K ④ 정장석의 K
29. 점토광물 중에서 황을 가장 강하게 흡착하는 것은? 3
① Chlorite ② Illite ③ Kaolinite ④ Vermiculite
30.토양 속의 토양 유기물의 작용 효과가 아닌 것은? 1
① 토양 유용 미생물을 감소시킨다. ② 수분 함유량을 높인다.
③ 토양 pH를 높인다. ④ 양분유효도를 높인다. ⑤ 전기전도도를 낮춘다.
31 논토양에서 객토하는 이유로 타당하지 않은 것은? 4
① 작토층의 확대 ② 철분의 공급 ③ 미량요소의 공급 ④ 보수력 증대
=>논에서 객토를 하는 곳은 누수답과 사질답이므로 보수력 증대가 이유가 된다...
32 Rhizobium melitoti는 어떤 작물과 공생 질소고정관계를 형성하는가? 4
① 땅콩 ② 완두 ③ 대두 ④ 알팔파
33 토양의 수분함유 형태에서 포장용수의 부피가 토양부피와 비교해서 상대적인 부피는? 1
① 토양의 75% ② 토양의 30% ③ 토양의 50% ④ 토양의 10% ⑤ 토양의 100%
첫댓글 알록달록 정신없네요,,,
문제 5 정답 라 브롬크레솔 그린 염가치환용량의 측정사용시약 사정 토양학p348 참조
요소와 석회질소성분량으로 요소시는 450 kg-300 kg=150kg 이 비효율100% 보고 석회질소 442 kg-300 kg=142kg이므로 요소의 150kg 기준으로 10%는 15kg이므로 142kg을 15kg나누면9,47... 여기에 100을 곱하면 나옴
토양유실예측공식을 적용=강수인자(400)x 토양인자( 0.25 )x경사인자( 1.0)X(작물관리인자:0.4)X(토양보전관리인자:0.6) =24톤정도 20-40톤
문제24토양환원의 열역학적 순위 토양사정학 p259 4줄 보시면 화학반응 순위
28문제 montmorillonite은 광물입자가 미세하여 점착성과 응집성이 크고 수축도와 팽창성이 높으므로 물 쉅게 분산 되므로 K나온다 Illite의 K , 흑운모의 K , 정장석의 K 것은 고정이 된다.
9문제길항작용으로 서로흡수를 조정하여 과잉의 해를 일으기는 작용 칼슘과 철.망간,물
12문제 철과 망간은 길항적용을 하나 ,칼륨과 철은 서로 흡수를 방해하는작용으로 칼륨흡수가 적어진다.
토양수분이 A에서 B로 이동하도록 수분포텐셜은 높은 곳에서 낫은곳으로 이동한다.A: -30kPa 포장용수량 B: -500kPa 생장저해수분과초기위조점사이 -0,033x1000=-30, -0.5x1000=-500
2번 문제 해석좀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