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능식조직이 테일러의 철학을 가져다 쓴건 맞지만 기능식감독자제도와는 좀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시간담당, 장비담당, 경로담당.. 이런 식의 기능별 감독자를 두어서 작업자를 관리했거든요. 한 명의 작업자에게 8명의 기능별감독자가 붙었기 때문에 명령이 중복되고 혼선이 생기는 부작용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페이욜이 명령일원화원칙을 도입했죠. 테일러의 기능식감독자제도가 작업자수준(시간.경로,장비등)의 기능분화라면 기능식구조은 조직수준(영업,마케팅등)의 기능분화입니다. "기능식조직은 테일러의 전문화, 효율성 철학을 바탕으로 페이욜의 명령일원화 원칙을 수용하고 베버의 수직적 위계를 적용했으며 포드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고전적 조직이다." 이 정도로 정의될 거 같습니다.
와우 원띵님 답변에는 항상 놀라네요! 인사관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계신듯한데 저는 아직 한참 모자라서.. 혹시 어떤 식으로 공부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테일러의 기능식 감독자제도만 해도 강사저만 읽었을때는 그냥 일선감독자의 업무구조를 분업했다는 식으로 두루뭉실하게만 알았는데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말씀해주신대로 8명의 기능별 감독자가 있었다는 걸 추가적으로 알게되었거든요. 원띵님은 강사저 외에도 따로 교수저도 읽으면서 공부하신 걸까요?
첫댓글 와 생산성 개판이네 왜지? -> 뭔 놈의 일선 관리자가 생산,인사 등등 다 하고 자빠졌냐-> 기능별로 감독자 나누자-> 기능식 조직의 아이디어 제공
물론 생산성 올리기 위해서 차별성과급 등도 있습니다
댓글 감사합니다!!! 그러면 테일러가 기능식 조직을 직접 이야기한 것은 아니고 기능식 감독자 제도의 개념이 후에 기능식 조직에 대한 아이디어를 제공한 것일까요??
기능식조직이 테일러의 철학을 가져다 쓴건 맞지만 기능식감독자제도와는 좀 차이가 있지 않을까요? 시간담당, 장비담당, 경로담당.. 이런 식의 기능별 감독자를 두어서 작업자를 관리했거든요. 한 명의 작업자에게 8명의 기능별감독자가 붙었기 때문에 명령이 중복되고 혼선이 생기는 부작용이 많았습니다. 그래서 페이욜이 명령일원화원칙을 도입했죠. 테일러의 기능식감독자제도가 작업자수준(시간.경로,장비등)의 기능분화라면 기능식구조은 조직수준(영업,마케팅등)의 기능분화입니다. "기능식조직은 테일러의 전문화, 효율성 철학을 바탕으로 페이욜의 명령일원화 원칙을 수용하고 베버의 수직적 위계를 적용했으며 포드의 대량생산에 적합한 고전적 조직이다." 이 정도로 정의될 거 같습니다.
와우 원띵님 답변에는 항상 놀라네요! 인사관리를 깊이 있게 이해하고 계신듯한데 저는 아직 한참 모자라서.. 혹시 어떤 식으로 공부하시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테일러의 기능식 감독자제도만 해도 강사저만 읽었을때는 그냥 일선감독자의 업무구조를 분업했다는 식으로 두루뭉실하게만 알았는데 인터넷에서 찾아보니 말씀해주신대로 8명의 기능별 감독자가 있었다는 걸 추가적으로 알게되었거든요. 원띵님은 강사저 외에도 따로 교수저도 읽으면서 공부하신 걸까요?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3.24 02:04
@One Thing 답변 감사드립니다. 역시 여러 책을 읽어야 이 정도의 깊이 있는 지식을 얻을 수가 있는 거군요. 대단하십니다..! 혹시 가장 추천하시는 교수저가 있을까요? 일단 저는 박경규 저 신인사관리만 보유하고 있습니다.
비밀글 해당 댓글은 작성자와 운영자만 볼 수 있습니다.25.03.24 02:04
@One Thing 역시 베스트는 윰쌤의 전략노트군요. 나중에 여유가 된다면 추천해주신 책도 읽어봐야겠습니다! 답변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기능적 감독제도는 기능식조직의 기본개념을 창시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습니다. 직접적으론 아니더라도 간접적인 영향은 있다고 볼수있죠.
이제 확실히 이해가 된 것 같습니다!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