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달성군 옥포면 비슬산 적멸보궁 용연사(경북사찰)
용의 아들이 창건을 도운 사찰ㅣ대구 용연사 ㅣ청도 운문사ㅣ 절따라 전설따라 7편
비슬산 적멸보궁 용연사 유례
비슬산용연사는 대구광역시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비슬산에 있는 절로서, 대한불교조계종 제9교구 본사인 동화사의 말사이다.
비슬산(琵瑟山) 용연사(龍淵寺)는 천년 역사와 정취를 고스란히 간직한 유서 깊은 천년고찰(千年古刹)로서 신라 신덕왕 1년(912년) 보양국사(寶讓國師)가 창건했으며, 이 절터는 용(龍)이 살았던 곳이라고 해서 절 이름을 용연사(龍淵寺)라 불린다고 한다.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03년(선조 36)에 휴정 사명대사(四溟大師)의 명령으로 인잠(印岑)· 탄옥(坦玉). 경천(敬天) 등이 재건했다. 1650년(효종 1)에 일어난 화재로 보광루만 제외하고 모두 불타버렸으나 다음해에 계환(戒環)· 여휘(麗輝) 등이 중건했다. 그 후에도 여러 차례의 중수가 있었으며 현존 당우로는 극락전· 영산전· 명부전· 삼성각· 안양루. 사명당. 선열당. 심검당. 유정당 등이 있다. | |
중요문화재로는 부처님 진신사리를 모신 적멸보궁 금강계단(보물 제539호)이 있고, 1728년 세운 다포식 맞배지붕의 극락전(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41호)과 극락전에 모셔진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보물 제1813호), 묘법연화경 권4~7(보물 제961-3호) 이 외에도 3층 석탑(대구광역시 유형문화재 제28호)과 14기의 부도 등이 있다.
특히 용연사의 적멸보궁은 영남지방의 영험 기도처로 부처님의 훈훈한 향기를 느낄 수 있는 성스러운 장소로 널리 알려져 있다.
비슬산 용연사의 전설
| 대구시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에 “용연지”라는 못이 있었다.
이 못은 주변마을 사람들의 식수와 농업용수 공급에 중요한 역할을 하여 가뭄이 들어도 주민들은 이 못에서 부족한 물을 얻을 수 있었다. 매월 정월 초에는 제사를 올려 그 해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기도 하였다. 그렇게 평온한 생활을 하며 살아가던 중 이 마을에 큰 재앙이 닥치게 되었는데, 그 것은 바로 외적의 침입이었다. 외적을 물리치기 위해 마을 주민들은 혼연일체가 되어 밤낮을 가리지 않고 맞서 싸웠다. 그러나 외적을 막아내려니 전방에 나가 외적과 직접 맞서 싸울 주민들이 필요했으나 대부분의 주민들은 목숨을 거는 위험한 일이라 선뜻 나서지 않았다. |
그러나 외적의 공격은 더욱 거세졌고 마을이 위험에 처하자 마침내 일곱 명의 건장한 청년들이 마을을 수호하기 위해 목숨을 걸고 발 벗고 나섰다. 이 청년들의 목숨을 건 전투 덕분에 외적을 물리칠 수 있었지만 청년들은 모두 전사하여 못의 물을 피로 붉게 물들게 하여 마을 주민들을 비통하게 만들었다. 세월이 흘러 청년들이 죽은 지 몇 년이 지나자 그 못의 물이 이유 없이 계속 마르기 시작했고, 결국은 바닥이 거의 드러나게 되었다. 못은 마을 주민들에게 꼭 필요한 물을 공급해 왔기 때문에 그 일은 심각하지 않을 수 없었다. 주민들은 일곱 명의 청년들이 한이 남아 이 못을 떠돌아다닌다고 생각하고 그들의 영령을 기리는 제사를 매년 크게 치러주었다. 그랬더니 그 이후로는 신비롭게도 못의 물이 다시 불어났다고 한다.
그리고 그 후 언제부터인가 그 못에서 일곱 마리의 어린용이 살기 시작했고, 특이하게도 이 마을에 가뭄, 홍수, 화재, 기한 등 인간 능력 밖의 재앙이 생겨 힘들 때마다 이 용들이 해결해 주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에게 이 못은 마을을 지켜주는 수호신과도 같은 존재가 되었다.
세월이 흐르고 흘러 천 년이 지나자 용이 승천할 때에 이르게 되었다. 그러자 이 일곱 마리의 용들이 먼저 올라가려고 다투는 일이 발생하여 못에 큰 싸움이 일어났다. 그 싸움 중에 네 마리의 용은 무사히 승천을 했지만 세 마리는 끝내 올라가지 못하고 그 못에 남아 계속 다투게 되었다. 마을의 우환을 관장하던 용들이 승천을 위한 싸움에 몰두하느라 마을을 돌보는 일을 소홀 하게 되어 그해 농사는 가뭄으로 인해 흉년이 들고, 마을에는 전염병이 돌아 목숨을 잃는 주민들의 수가 늘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마을 주민들은 먼 바다로 나가 재앙으로부터 마을을 구해달라고 용왕님께 제를 올리게 되었다. 용왕은 그의 아들인 이무기를 지상에 내려 보내 세 마리의 남은용을 모두 죽이도록 명령했다. 결국 세 마리의 용은 못에서 죽음을 맞이하게 되었고, 그 후 마을 주민들이 죽은 용을 위해 제사를 올려주었다. 이런 용을 위한 제의 풍습은 매년 이루어지면서 전승이 되어 왔고, 주민들은 죽은 용들을 위해 절을 지었는데, 이 절을 용의 못이라는 의미에서 용 용(龍 )자에 못 연(淵)자를 써서 용연사(龍淵寺)라 불렀다고 전해져 오고 있다. 지금도 용연사에서는 매년 단오(음.5월5일)경에 용왕제를 성대히 거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