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선사시대
선사시대는 구석기시대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로 나뉜다. 구석기시대에는 뗀석기를 이용하여 사냥과 채집활동을 하였으며, 무리를 지어 동굴이나 막집을 짓고 이동생활을 하였다. 신석기시대에는 간석기를 이용하며, 농사를 짓기 시작하였다. 씨족들끼리 움집을 짓고 정착생활을 하였다. 청동기시대에는 평야나 하천 가까운 곳에 작은 마을을 이루고 살았으며, 지배하는 사람과 지배 받는 사람들로 나뉘게 되었다.
02. 메소포타미아 문명
메소포타미아문명은 티그리스강과 유프라테스 강 사이에 발생한 인류 최초의 문명이다. 최초에는 수메르 인들이 도시국가를 건설하였으며 점차 통합과 전쟁을 거듭하다 바빌로니아 인들이 세운 나라에 일시적인 통합을 이루게 된다. 힛타이트는 철기문화를 도입하게 되고 이후 아시리아왕조가 메소포타미아 세계를 통합하게 된다. 이들은 인류 최초로 체계적인 종교를 갖추었으며 문자를 사용하였다.
03. 이집트 문명
이집트의 나일강을 주변으로 발달한 문화를 말한다. 지금의 이집트를 기반으로 발전하였으며 태양신 숭배사상을 가지고 그들만의 상형문자를 사용하였다. 20세기에 이르러 로제타석해석으로 이집트 문명의 실체가 밝혀지기 시작하였다. 메소포타미아 문명에비해 폐쇄적인 지역환경을 가지고 있어 외부와의 교류나 외적의 침입을 거의 받지 않았다. 힉소스인들이 침입하기까지 외적의 침입은 찾아보기 힘들며 힉소스인들이 말들을 가지고 들어와 말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강력한 왕권을 바탕으로 피라미드등 거대 건축물등을 제작하였다.
04. 인더스 문명
이집트의 인더스 강 유역에서 발달한 인도문화를 인더스 문명이라고 한다. 그들은 그들의 문자를 가지고 있었으나 아직 해독되지 않아 많은 부분이 베일로 가려져 있다. 하지만 계획적으로 세워진 도시나 여러 유적들을 보면 상당한 문명을 이루었음을 알 수 있다. 아리아인들의 침입으로 문명은 파괴되고 그 명맥은 사라졌다. 이후 아리아인들이 갠지스 강유역으로 이동하여 인더스 문명을 계승하였다고 할 수 있다.
05. 황하 문명
중국의 황하유역에서 발생한 문명을 황하문명이라고 한다. 룽산, 량샤오의 토기등이 이시적의 유물이고 이후 하, 은, 주를 거쳐서 발달한 중국 문명의 시초가 된 문명이다.
06. 고대 그리스 세계
고대 그리스 문명은 지중해 유역의 크레타 섬에서 발생한 크레타문명과 미노아 문명을 멸망시키면서 역사에 등장했다. 고대 그리스는 기본적으로 폴리스라는 도시를 기반으로하는 도시국가의 형태를 띄고있었다. 그들은 자유민과 노예의 계급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자유민에 의한 통치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시기 시민의 세력이 강했었던 이유는 중장보병에서 찾을 수 있다. 군대의 기본은 자유민으로 이루어져있는 중장보병이 중심이었는데 중장보병의 무장은 전부 자비로 이루어져있었다. 때문에 어느시대보다 일반 시민의 영향력이 강했다. 이들 중장보병은 당시 세계 최강이던 페르시아의 군대를 물리 칠수 있었고 이후 찬란한 그리스 문화를 발달시켰다. 하지만 델로스 동맹의 중심이던 아테네와 펠레폰네소스 동맹의 중심인 스파르타간의 전쟁으로 찬란한 그리스 문화의 절정기도 지나게 된다.
07. 고대 로마 시대
이탈리아반도의 작은 도시국가였던 로마는 점차 주변 도시국가들을 병합하면서 그 세력을 키우기 시작했다. 페니키아인들의 식민국가인 카르타고와의 3차에 걸친 포에니 정쟁의 결과 로마는 지중해의 패권을 장악하게 되고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게 된다. 최초 로마의 출발은 왕권제였으나 점차 귀족정으로 변해갔다 포에니 전쟁 당시는 귀족에 의해 정치는 좌지우지 되고 있었다. 이후 삼두정치라는 과도정치시기를 거쳐서 로마 최초의 황제 아우구스티누스가 등장하게 되면서 로마는 황제중심의 국가가 되었다. 이 당시 로마는 지중해 전역과 서부유럽의 일부까지 진출하게 되었는데 이러한 로마의 발전이 로마의 몰락을 초래하게 되었다. 로마는 시민 대다수를 차지하던 자영농이 무너지고 장원이 확대되면서 군대의 근간이던 시민중장보병은 사실상 해체되었다. 그 대안으로 등장한 세력이 게르만인 용병세력이었는데 이 용병세력이 긑내는 동서로 갈라진 로마중 서로마를 멸망시키게 된다.
08. 유대교, 그리스도교, 이슬람교
유대교는 이스라엘에서 발생한 유대인의 민족종교이다. 이들은 메시아 이론을 가지고 구원의식을 가지고 있었으나 그 구원의 대상이 유대민족만이라는 편협한 사고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세계종교로 발전하지 못했다. 하지만 그리스도교의 모태가 되어 그 영향력은 결코 적다 할 수 없다.
그리스도교는 유대교의 일파가 그 대상을 세계인으로 삼음으로써 발생한 한 분파라고 할 수 있다. 예수라는 메시아를 중심으로 발생하여 로마시기의 가혹한 탄압에도 꾸준히 교세를 확장하여 콘스탄티누스시대에는 로마의 국교로 인정받게 된다. 세계시민의식을 가지고 있던 로마에서 받아드려짐으로서 그리스도교는 세계 중심 종교로 자리 잡게 된다.
이슬람교는 아랍인 모하메드가 그리스도교, 유대교, 조로아스터교등의 영향을 받아 창시한 비교적 신흥 종교이다. 유일신 알라를 중심으로 코란이라는 경전을 가지고 그 교리를 전파한다. 하지만 그당시 아라비아의 중심지인 메카에서는 배척당하고 피난하게 되나 교세를 확장하여 이슬람교를 중심으로 하는 이슬람 제국의 모태가 되었다.
09. 유럽 세계의 성립
로마가 동서로마로 갈라지고 난 이후 게르만족의 대이동이 시작되었다. 게르만족의 볼래 거주지는 동유럽의 초원부근이었으나 동쪽에서 밀려온 훈족의 세력에 밀려 게르만족은 속속 로마제국 안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미 로마의 군사는 게르만인으로 채워져있었기에 로마는 게르만인들을 막을 수 없었고 결국 동서 로마중 이탈리아반도에 있던 서로마제국은 멸망하게 된다. 이때를 로마의 멸망으로 보고 중세사회의 시작으로 본다.
게르만인들은 종사제도라는 특유의 제도를 가지고 있었는데 이 제도는 발전하여 중세 봉건사회의 기초가 된다.
게르만족이 세운 국가중 가장 강대하던 국가가 프랑크 제국이었는데 프랑크 제국은 남쪽에서 올라오던 이슬람세력을 막는 방파제이자 유럽의 그리스교를 수호하는 역할을 하여 로마제국 황제로 교황에게 인정받기에 이르른다.
10. 유럽의 봉건 사회
중세 유럽의 여러 국가들은 왕은 존재하느 군림하지 못했다. 그들은 자신의 국가에 많은 봉건귀족들을 임명하여 그 지역이 자치 지역으로 남도록 하고 국가의 필요시에 그들의 군사적 힘을 빌릴수 있었다.
또한 봉건영주들도 자신들을 위한 군사 즉 기사들을 계약에 의해 고용하였고 자신의 장원에서는 농노들을 고용하여 경제활동을 하였다.
11. 교회의 세속적 발전
유럽의 교회는 카놋사의 굴욕을 통해서 드러났듯 왕권을 능가하였다. 그리고 교부철학 스콜라 철학등을 발전시켜 인간 정신세계를 풍요롭게 하는데 기여하였다. 하지만 신성에 대한 집착으로 인해 인간 세계의 발전을 도와주기보단 침체되게 하는데 기여한 영향이 더욱 크다고 할 수 있다.
12. 십자군 전쟁
이 당시 중동엔 투르크 민족의 세력이 강대해져 아랍세계를 통일하고 셀쥬크투르크라는 국가를 성립하였다. 투르크는 동로마의 영역을 끊임없이 침범하였으며 서아시아의 지배자였다. 로마 교황은 동로마 제국 황제의 요청을 받고 성지탈환이라는 명분을 세우며 서아시아로 침략전쟁을 일으켰다. 하지만 십자군 전쟁의 결과는 실패로 돌아갔고 중세봉건영주의 몰락을 초래하게 되었다. 또한 교회의 권위를 몰락시켜 종교개혁의 단초를 제공하기도 하였다.
13. 중세 유럽의 붕괴
십자군 전쟁의 결과 중세 봉건영주들은 전쟁으로 인한 사상등을 통해 몰락하고 장원은 해체되기 시작하였다. 이때 지역의 중심지로 등장한것이 현대적인 의미의 도시이다. 도시는 상공업자들이 주된 활동지로써 중세 영주들이 아닌 상공업자들의 세력이 커지게 되는 계기가 된다.
14. 르네상스
르네상스는 보통 인문주의 운동이라고 일컬어 진다. 신중심의 중세 문화에서 인간 중심의 그리스, 로마문화로의 회귀를 꾀했는데 이때부터 유럽 문화가 급격히 발달하기 시작한다. 이들 인문주의에 기초를 둔 예술가들은 이탈리아의 대상인이나 유력자들의 지지를 얻어 자유로운 문화활동을 하지만 신항로 개척등 이탈리아 상인들의 정치적 지지기반을 상실하자 그 힘을 잃게 되었다.
15. 신대륙의 발견
당시 유럽에서 아시아와의 무역은 상당한 부를 보장해주는 매력적인 아이템이었다. 하지만 지중해를 통한 무역은 이탈리아 상인들이 독점을하고 서아시아의 이슬람 세력은 자유로운 무역을 방해하였다. 그래서 대서양 연안의 국가들이 찾은 방법이 아시아로 가는 신항로의 개척이었다. 이 신항로의 개척은 이베리아 반도의 두 나라, 에스파냐와 포르투칼이 주도를 하였고 그 결과 아시아로의 신항로및 아메리카 대륙을 발견하게 되었으며 식민지 정책을 표명하게 되었다. 이때 신대륙및 아시아로부터 들어온 많은 부는 유럽에 상업혁명을 일으키게 된다.
16. 종교개혁
십자군 전쟁의 실패로 인한 교회의 권위 실추, 그리고 교회의 세속적은 타락은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되었다. 독일의 마르틴 루터는 면죄부 판배를 비판하다 파면을 당하였는데 이때 교리를 손봐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된다. 루터는 독일의 지방 영주들로부터 지지를 받았으며 로마 교황은 신성로마제국황제를 통해 탄압하려 하였다. 그 결과 30년동안 독일에서 유럽의 모든 국가들이 참여한 국제 전쟁이 벌어지게 되었다. 베스타팔렌조약으로 30년 전쟁은 끝나고 신교가 인정을 받게됨으로써 종교전쟁은 마무리가 되었다. 하지만 이 전쟁으로 인해 독일은 프로이센에 의해 통일될때까지 유럽의 변방으로 남게 되었다.
17. 중국과 일본의 쇄국정책
18. 프랑스의 절대주의
19. 영국의 명예 혁명
20. 러시아의 등장
21. 군국주의적 절대주의 : 프로이센
이야기 한국사
선사시대는 구석기시대부터 고대국가의 형성단계인 초기철기 시대 까지를 말한다. 각 시대의 생계를 보면 구석기시대는 수렵과 채집, 신석시대는 어로와 원시농경이 주가 되며, 청동기시대 이후에는 본격적인 농경 생활로 접어든다. 사냥은 구석기시대부터 창이나 도끼 등의 근거리 사냥도구가 사용 되었으나, 중석기시대 이후부터 활과 화살의 발명으로 날짐승의 사냥 까지도 가능케 되었다. 어로도 초기단계에서는 창으로 직접 잡는 방식이었으나, 점차 낚시와 그물을 이용하는 방법으로 발전하였다. 신석기시대의 생활은 주로 어로에 의존한 것으로 보이는데, 부산 동삼동의 조개무지 등에서는 각종 어류와 뼈와 함께 조가비가 출토된 바 있다. 신석기시대 유적에서는 도토리가 많이 출토되어 중요한 식량원이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관련한 도구로 갈판과 돌확이 출토되고 있는데, 청동기시대 이후 절구와 시루에 밀려 소멸된 것으로 보인다. 이외에도 각종 열매나 뿌리와 줄기, 버섯 등 다양한 식용식물 들의 채집이 있었던 것 같다. 농경생활은 신석기시대 후기부터 조 중심의 밭농사가 시작되었으며, 돌이나 동물의 뼈로만든 낫, 돌보습, 돌괭이 등 다양한 농구가 출토되고 있다. 청동기시대에는 벼·보리·조·콩·수수 등의 다양한 곡물이 재배되기 시작하며, 대표적인 수확구로는 반월형돌칼을 들 수 있다. 토기는 정착생활이 이루어진 신석기시대부터 사용된 저장 도구이다. 진흙으로 빚은뒤 야외에서 낮은 온도로 구웠기 때문에 대부분이 적갈색을 띠며, 표면이 덧무늬나 각종 기하학무늬를 새겼다. 청동기시대에는 거의 무문토기이며, 붉은색이나 검은색으로 윤택을 낸 것도 있다.
고조선은 남 만주와 요동 일대에서 청동기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해 온 환웅부족의 단군이 건설한 국가로 우리나라의 시조이다. 단군신화에 따르면, 하늘나라의 왕 환인의 아들인 환웅과 웅녀가 결혼하여 낳은 아들이 단군왕검이며, 그가 고조선을 건립하였다고 한다.
고구려는(-37~668) 본격적인 대외정복 활동을 수행하였다. 기원년 전후에 다른 부족국가를 병합하여 그 축적된 힘으로 낙랑을 제외한 한군현을 한반도에서 몰아낸 고구려는 꾸준히 영토를 확장하는 팽창정책을 취했다. 영토확장의 첫 번째 시기는 태조왕 때부터이다. 고대국가의 기틀을 잡은 그는 동해의 옥저를 정벌하고 이어 한군현이 지배했던 요동지역과 현도,낙랑,동예,숙신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특히 요동으로 철수한 현도군과 낙랑군에 대한 공격은 전형적인 게릴라식 전투였다. 고구려는 한군현을 기습하여 물자와 백성들을 포획하고는 곧바로 근거지로 돌아왔다
동명성왕 - 유리왕 - 대무신왕 - 민중왕 - 모본왕 - 태조왕 - 차대왕 - 신대왕 - 고국천왕 -
산상왕 - 동천왕 - 중천왕 - 서천왕 - 봉상왕 - 미천왕 - 고국원왕 - 소수림왕 - 고국양왕 -
광개토대왕 - 장수왕 - 문자왕 - 안장왕 - 안원왕 - 양원왕 - 평원왕 - 영양왕 - 영류왕 - 보장왕
백제(百濟)는(18~663) 북방에서 남쪽으로 이동해 온 부여족의 일파가 마한의 북쪽인 현재의 서울시 일원에서 지배권을 확립한 일종의 정복국가였다. 또한 정복국가로서의 이동성을 특징으로 중국 일본 등 당시 동아시아의 여러 나라와 활발한 교섭을 하였던 대외지향적 국가였다.
처음에 백제는 마한의 여러 소국 중의 하나인 백제(伯濟)로서 성립하였으나, 서울시 일원이 가지고 있는 지리적 경제적 이점을 발판으로 다른 소국들을 통합하여 고대국가로 성장할 수 있었다.
신라는(-57~935) 시조 박혁거세가 기원전 57년에 경주평야를 무대로 한 6개촌락에서 비롯되어 1,000년동안 영화를 누린 나라이다. 신라 건국당시에는 진한 12개국중의 하나에 지나지 않은 조그마한 나라였지만, 주변의 작은 나라들을 정복하면서 고대국가로서의 기틀을 닦았다. 5∼6세기 들어서는 낙동강 유역과 한강유역을 차지한 뒤 7세기 중반에 이르러서는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합치고, 마침내 통일전쟁 과정에서 외교적 힘을 빌었던 중국 당나라의 야심을 이 땅에서 몰아냄으로써 삼국통일의 대업을 이룩하게 되었다.
1.혁거세왕(-57~4)2.남해왕(4~24)3.유리왕(24~57)4.탈해왕(57~80)5.파사왕(80~112) 6.지마왕(112~134)7.일성왕(134~154)8.아달라왕(154~184) 9.벌휴왕(184~196) 10.내해왕(196~230) 11.조분왕(230~247) 12.첨해왕(247~261) 13.미추왕(261~284) 14.유례왕(284~298) 15.기림왕(298~310) 16.흘해왕(310~356) 17.내물왕(356~402) 18.실성왕(402~417) 19.눌지왕(417~458) 20.자비왕(458~479) 21.소지왕(479~500) 22.지증왕(500~514) 23.법흥왕(514~540)24.진흥왕(540~576)25.진지왕(576~579) 26.진평왕(579~632) 27.선덕여왕(632~647) 28.진덕여왕(647~654) 29.무열왕(654~661) 30.문무왕(661~681) 31.신문왕(681~692) 32.효소왕(692~702) 33.성덕왕(702~737) 34.효성왕(737~742) 35.경덕왕(742~765) 36.혜공왕(765~780) 37.선덕왕(780~785) 38.원성왕(785~798) 39.소성왕(798~800) 40.애장왕(800~809) 41.헌덕왕(809~826) 42.흥덕왕(826~836) 43.희강왕(836~838) 44.민애왕(838~839) 45.신무왕(839~839) 46.문성왕(839~857) 47.헌안왕(857~861) 48.경문왕(861~875) 49.헌강왕(875~886) 50.정강왕(886~887) 51.진성여왕(887~897) 52.효공왕(897~912) 53.신덕왕(912~917)54.경명왕(917~924) 55.경애왕(924~927) 56.경순왕(927~935)
발해는 대조영(大祚榮 : ?~719)을 중심으로 고구려 유민이 주체가 되고 여기에 말갈족이 결합하여 698년에 건국되었다. 건국 초기에는 당과의 대립이 격화되어 무왕(武王 : 719~737)때 발해 수군이 당의 등주(登州)를 공격하기에 이르렀다(732). 그런데 8세기 중반 이후에는 당을 축으로 발해, 신라, 일본이 공존하는 안정된 국제관계의 틀이 형성되었다. 발해는 10대 선왕(宣王 : 818~830년 재위)부터 13대 왕에 이르기까지 전성기를 누리면서, ‘바다 동쪽의 융성한 나라'라는 해동성국(海東盛國)으로 불리웠다. 또한 발해 국왕은 황제의 칭호를 사용하고 있었다. 대조영집단이 동모산(東牟山)에서 나라를 처음 세운 후 몇 차례 도읍을 옮겼지만, 가장 오랫동안 수도였던 곳은 상경(上京)이었다. 발해의 영역은 상경을 중심으로 동쪽으로 러시아 연해주, 서쪽으로 요동반도, 북쪽으로 송화강, 남쪽으로 대동강과 용흥강을 잇는 선까지 미쳤다. 넓은 영토에는 5경 15부 62주를 두어 다스렸고, 그 중심지마다 성을 쌓아 통치의 거점으로 삼았다.
고려(918~1392)
왕건은 송악지방의 정치적·경제적·군사적 기반 위에서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였다. 고려 전기에는 호족통제책, 왕권강화정책, 민심안정책 등의 여러 정책들을 통해 국가기반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정책들은 무인정변이 일어나기 전까지 나름대로의 성과를 보이면서 안정된 국가를 유지하였다.
[1] 태조 (918~943) 왕건[2] 혜종 (943~945) 왕무[3] 정종 (945~949) -- 왕요[4] 광종 (949~975) -- 왕소[5] 경종 (975~981) -- 왕주[6] 성종 (981~997) -- 왕치[7] 목종 (997~1009) -- 왕송[8] 현종 (1009~1031) -- 왕순[9] 덕종 (1031~1034) -- 왕흠[10] 정종 (1034~1046) -- 왕형[11] 문종 (1046~1083) -- 왕휘[12] 순종 (1083~1083) -- 왕훈[13] 선종 (1083~1094) -- 왕운[14] 헌종 (1094~1095) -- 왕욱[15] 숙종 (1095~1105) -- 왕희[16] 예종 (1105~1122) -- 왕우[17] 인종 (1122~1146) -- 왕해[18] 의종 (1146~1170) -- 왕현[19] 명종 (1170~1197) -- 왕호[20] 신종 (1197~1204) -- 왕탁[21] 희종 (1204~1211) -- 왕영[22] 강종 (1211~1213) -- 왕오[23] 고종 (1213~1259) -- 왕철[24] 원종 (1259~1274) -- 왕식[25] 충렬왕 (1274~1298/1298~1308) -- 왕거26] 충선왕 (1298~1298/1308~1313) -- 왕장[27] 충숙왕 (1313~1330/1332~1339) -- 왕만[28] 충혜왕 (1330~1332/1339~1344) -- 왕정[29] 충목왕 (1344~1348) -- 왕흔[30] 충정왕 (1348~1351) -- 왕저[31] 공민왕 (1351~1374) -- 왕전[32] 우왕 (1374~1388) -- 왕우[33] 창왕 (1388~1389) -- 왕창[34] 공양왕 (1389~1392) -- 왕요
조선(1398~1910)
고려의 뒤를 이어 함경도 출신의 무장(武將)인 이성계(李成桂)가 신진 사대부(士大夫)와 협력하여 세운 왕조.
1392년 즉위한 태조(太祖) 이성계에서 1910년 마지막 임금인 순종(純宗)에 이르기까지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지속되었다.
14세기 후반에 이르러 고려왕조는 권문세족(權門勢族)이 발호하는 가운데, 정치체제가 약화되고 왕권이 쇠퇴하였으며, 밖으로는 이민족(異民族)의 침입이 계속되는 등, 혼란을 거듭하였다. 이러한 때에 이성계는 여진족(女眞族) ·홍건적(紅巾賊) ·왜구 등을 물리쳐 명성을 높이며 중앙정계에 진출, 조준(趙浚) ·정도전(鄭道傳) 등의 신진사대부와 손을 잡고,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을 단행하여 구세력인 최영(崔瑩) 일파를 숙청하고, 또 전제개혁(田制改革)을 단행하여 경제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마침내 1392년 7월 16일 개성의 수창궁(壽昌宮)에서 선양(禪讓)의 형식으로 왕위에 올라 나라를 개창하니, 이를 역성혁명(易姓革命)이라고도 한다.
약70만년전 구석기문화
6000 신석기문화
2333 단군, 아사달에 도읍,고조선 건국 (삼국유사)
1122 8조금법(八條禁法) 제정
1000 청동기문화의 전개, 고조선의 발전
800년 고조선의 수도 : 왕검성
300 철기문화의 보급
194 위만, 고조선의 왕
108 고조선 멸망, 한(漢)사군 설치
59 해모수 북부여 건국
57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37 주몽 고구려 건국 (~A.D. 608)
28 고구려 부위염, 북옥저 병합
18 온조 하남위례성 백제 건국(~A.D. 660)
5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 고구려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8 백제 마한 병합
42 김수로왕 금관가야 건국
194 고구려 진대법 실시
209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60 백제 고이왕 16관등과 공복 제정
313 고구려 낙랑군 멸망시킴
372 고구려 불교전래, 태학설치
백제, 동진에 사절 파견
384 백제 불교 전래
427 고구려 평양 천도
494 부여 고구려에 복속
502 신라 우경 실시
503 신라 국호와 왕호 정함
512 신라 이사부 우산국 정벌
520 신라 율령 반포, 백관의 공복 제정
527 신라 불교를 공인, 이차돈 순교
532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 신라 연호 사용
538 백제 사비 천도
562 신라 대가야 멸함
576 신라 원화(源花)제도 시작
598 고구려 수문제 30만 대군 침공
612 고구려 을지문덕 살수대첩 (수나라)
645 고구려 안시성 싸움 승리 (당나라)
646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60 백제 멸망 황산벌전투
668 고구려 멸망 (나당연합군)
676 신라 삼국통일
685 9주 5소경 설치
698 대조영 발해의 건국
722 신라 정전 지급
723 혜초 왕오천축국전
788 독서 삼품과 설치
828 장보고 청해진 설치
900 견훤 후백제 건국
901 궁예 후고구려 건국
918 왕건 고려 건국(~1392)
926 발해 멸망
935 신라 멸망
936 고려 후삼국 통일
956 노비 안검법 실시
958 고려 과거제도 실시
976 전시과 실시
1009 강조의 정변
1019 귀주대첩
1033 고려, 천리장성 축조(~1044)
1076 전시과 개정, 관제개혁
1097 주전도감 설치
1107 윤관 여진정벌
1126 이자겸의 난
1135 묘청의 서경천도 운동
1170 무신정변
1196 최충헌의 집권
1198 만적의 난
1219 몽고와 통교
1231 몽고의 제1차 침입
1232 강화 천도
1270 개경으로 환도, 삼별초의 대몽항쟁
1274 여, 원 제1차 일본원정
1359 홍건적의 침입(~1361)
1376 최영 왜구정벌
1377 최무선 화통도감 설치
1388 위화도 회군
1389 박위 쓰시마 섬 정벌
1392 고려 멸망, 조선 건국
1394 한양 천도
1402 호패법 실시, 무과 설치
1403 주자소 설치
1411 한양에 5부 학당 설치
1418 세종대왕 즉위
1433 4군 설치
1437 6진 설치
1443 훈민정음 창제
1466 훈민정음 반포, 직전법 실시
1510 3포 왜란
1512 임신약조
1519 향약 실시
1554 비변사 설치
1555 을묘왜변
1592 임진왜란, 한산도대첩
1593 행주 대첩
1597 명량해전 승리
1608 경기도에 대동법 실시
1609 일본과 기유약조 체결
1623 인조 반정
1624 이괄의 난
1627 정묘호란
1628 벨테브레, 제주도 표착
1636 병자호란
1653 하멜, 제주도 표착
1678 상평통보의 주조
1696 안용복, 독도에서 일인 쫓아냄
1708 대동법 전국 실시
1712 백두산 정계비 건립
1725 탕평책 실시
1784 이승훈의 천주교 전도
1785 대전통편 완성
1786 서학을 금함
1801 신유박해
1811 홍경래의 난(~1812)
1839 기해박해
1860 최제우, 동학 창시
1862 임술민란
1863 고종즉위, 흥선대원군 집권
1866 병인박해, 병인양요
1871 신미양요
1875 운요 호 사건
1876 강화도 조약 체결
1881 신사유람단 및 영선사 파견,
별기군 창설
1882 임오군란,
미.영.독 등과 통상조약 체결
1883 전환국설치, 태극기 사용
1884 우정국 설치, 갑신정변
1885 거문도 사건, 배재학당 설립,
서울-인천 간 전신개통, 광혜원 설립
1886 이화학당 설립
1889 함경도에 방곡령 실시
1894 동학 농민운동, 갑오개혁 실시
1895 을미사변, 유길준 서유견문 지음
1896 독립협회 설립, 아관파천
1897 대한제국의 성립
1898 만민공동회 성립
1899 경인선 개통
1903 YMCA 발족
1904 한.일 의정서 맺음, 경부선 준공
1905 을사조약, 천도교 성립
1906 통감부 설치
1907 국채 보상운동, 헤이그 특사 파견,
고종황제 퇴위, 군대해산, 신민회 설립
1909 안중근 이토 사살, 나철 대종교 창시
1910 국권 피탈
1912 토지 조사사업 시작(~1918)
1914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
1919 3.1운동,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대한 애국 부인회 조직
1920 김좌진 청산리대첩
1922 어린이날 제정
1926 6.10 만세운동
1927 신간회 조직
1929 광주학생 항일 운동
1932 이봉창, 윤봉길 의거
1934 진단학회 조직
1938 일제, 한글교육 금지
1940 한국 광복군 결성
1942 조선어 학회 사건
1945 8.15광복
1946 제1차 미.소 공동위원회 개최
1948 5.10 총선거 실시
대한민국 정부수립
여수.순천 10.19 사건
1950 6.25 전쟁
1952 평화선 선언
1953 휴전협정 조인, 제1차 통화개혁 실시
1960 4.19혁명
1961 5.16군사정변
1962 제1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66)
1963 박정희 정부수립
1965 한.일 협정 조인
1966 한.미 행정협정 조인
1967 제2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71)
1970 새마을운동 시작, 경부고속도로 개통
1972 제3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76)
7.4 남북 공동성명, 남북 적십자 회담,
10월 유신
1973 6.23 평화 통일 선언
1977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81)
1979 10.26 사태
1980 5.18 광주 민주화 운동
1983 KAL기 피격참사, 아웅산 사건,
이산 가족찾기 TV 생방송
1986 제10회 아시안게임 서울개최
1987 6.29선언, 대통령 직선제 실시
1988 한글 맞춤법 고시,
제24회 서울올림픽 개최
1989 헝가리.폴랜드 등 동국권국가와 수교
1990 한,소 수교
1991 남.북한 동시 유엔가입,
지방자치제 부활
1992 한.중 수교
1993 대전 EXPO 개최,
소말리아 UN 활동 참여,
금융실명제 실시
1995 김일성 사망
고조선->위만조선,진나라 ->부여,고구려,동예,옥저,진한,마한,변한 - >
고구려,백제,신라,가야 - >고구려,백제,신라 -> 통일신라,발해 ->
신라,후고구려(태봉),후백제 -> 신라,고려,후백제 -> 고려
-> 조선 - >대한제국 - >일제 강점기 - >대한민국
우리나라 역사
삼국시대B.C 82~ A.D 667
69년 신라에 박혁거세 탄생.
59년 해모수가 북부여를 건국.
58년 동부여에서 주몽 탄생.
57년 신라, 혁거세 거서간 즉위. 왕호를 거서간, 국호를 서나벌이라 칭함.
50년 신라, 왜구를 격퇴.
37년 주몽이 고구려 건국(~후 608). 신라, 경성을 쌓고 금성이라 칭함.
19년 고구려, 동명성왕 죽고(BC 58~), 유리왕즉 위. 신라, 석탈해 탄생.
18년 온조가 하남위례성에 백제국 건국(~후660).
5년 백제, 한산으로 천도.
기원 후
3년 고구려,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
4년 신라, 혁거세거서간 죽고(BC 69~), 남해차차웅 즉위.
8년 백제, 마한을 멸하고 병합.
14년 고구려, 양맥을 멸하고, 한의 고구려현을 공격. 신라, 병선 100여 척으로 왜구 격 퇴.
27년 고구려, 낙랑을 멸함.
28년 백제, 온조왕 죽고(? ∼), 다루왕(多婁王) 즉위.
37년 백제, 후한의 낙랑군을 멸함.
49년 부여, 왕호(王號)를 사용, 후한과 수교.
65년 신라, 국호를 계림(鷄林)으로 개칭. 신라, 김알지(金閼智) 탄생.
77년 신라, 가야와 싸워 대승.
80년 신라, 우시산국(于尸山國)˙거칠산국(居漆山國)을 멸함.
105년 고구려, 한의 요동 6현을 공략하였다가 패퇴.
132년 백제, 북한산성(北漢山城)을 축성.
194년 고구려, 진대법(賑貸法) 실시.
209년 고구려, 환도성(丸都城)으로 천도.
244년 고구려, 위(魏)의 관구검이 침공.
307년 신라, 국호를 계림에서 신라로 고침.
346년 백제, 계왕 죽고(?∼), 근초고왕(近肖古王) 즉위(∼375).
371년 고구려, 백제군과 싸워 고국원왕 전사(?∼), 소수림왕(小獸林王) 즉위(∼384). 백제, 한산(漢山)으로 천도.
375년 고구려, 불교를 공인(公認). 백제, 근초고왕 죽고(?∼). 근구수왕(近仇首王) 즉위(∼384).
391년 고구려, 고국양왕 죽고(?∼), 광개토왕(廣開土王) 즉위(∼413).
400년 고구려, 백제˙가야˙왜의 연합군을 격파.
414년 고구려, 광개토왕비 세움. 장군총(將軍塚) 축성.
427년 고구려, 평양으로 천도. 안학궁(安鶴宮) 건립.
475년 고구려, 백제의 한성(漢城)을 공격. 개로왕 죽고(?∼), 문주왕(文周王) 즉위(∼479). 웅진(熊津)으로 천도.
494년 부여, 고구려의 공격으로 멸망.
501년 위사좌평(衛士佐平) 백가가 동성왕 살해(?~), 무령왕(武寧王) 즉위(~523).
503년 신라, 국호를 신라(新羅), 존호를 왕(王)이라 함.
512년 신라, 이사부(異斯夫)가 우산국(于山國)을 침.
520년 신라, 율령(律令) 반포.
527년 신라, 이차돈(異次頓) 순교.
532년 금관가야, 신라에 항복하여 멸망.
536년 신라, 처음으로 연호(年號)를 세워 건원(建元)이라 함.
538년 백제, 사비성(泗侁城으로 천도. 국호를 남부여(南扶餘)라 함.
551년 신라, 개국(開國)이라 개원(改元). 백제·신라가 연합하여 고구려를 공격.
553년 신라, 황룡사(皇龍寺) 건립을 시작(∼566).
555년 진흥왕, 북한산신라진흥왕순수비(北漢山新羅眞興王巡狩碑) 건립.
561년 신라, 창녕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62년 신라, 대가야(大伽倻)를 멸함.
568년 신라, 황초령(黃草嶺)신라진흥왕순수비와 마운령(摩雲嶺)신라진흥왕순수비 건립.
586년 고구려, 평양의 대성산(大城山)에서 장안성(長安城)으로 천도.
598년 고구려, 수(隋)나라 문제(文帝)가 30만 대군으로 침공해 옴. 고구려, 이를 격파.
612년 수나라의 제1차 고구려 침공. 을지문덕(乙支文德)이 살수(薩水)에서 수군을 섬멸(살수대첩).
613년 고구려, 수나라 양제(煬帝)의 요동성 공격을 물리침(제2차 공격).
642년 고구려, 연개소문(淵蓋蘇文)이 영류왕 죽이고(?∼) 보장왕(寶藏王)을 옹립(∼647). 신라, 김 춘추(金春秋)가 고구려에 군사 요청.
645년 당(唐)나라 태종(太宗)이 10만 대군으로 고구려 공격을 개시. 안시성(安市城)을 포위한 당나 라 군대를 격퇴. 신라, 당나라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백제, 신라의 7성을 공략.
646년 고구려, 천리장성(千里長城) 완성.
647년 신라, 경주 첨성대(瞻星臺) 건립.
648년 백제, 신라의 10여 성을 점령. 신라, 백제의 21성 공략. 김춘추(金春秋)와 그의 아들 김인문 (金仁門)이 당나라에 가서 백제협공을 요청.
660년 신라왕, 백제 공격을 위해 출병. 신라˙백제, 황산벌전투에서 백제의 계백(階伯)전사(?∼), 의자왕 항복.
661년 백제부흥군, 주류성(周留城)을 거점으로 부흥운동 전개. 당나라 군대 고구려를 공격. 압록강 에서 격전. 신라, 태종무열왕 죽고(?∼), 문무왕(文武王) 즉위(∼681). 신라왕이 고구려 정벌에 나 섬.
662년 고구려, 연개소문이 사수(蛇水)에서 당나라군을 대파. 당나라군 평양성을 포위. 신라, 백제 부흥군 토벌.
663년 나당연합군(羅唐聯合軍), 백강(百江)에서 일본 구원군을 대파. 부여 풍(扶餘豊)은 고구려로 망명.
666년
고구려, 연개소문 죽고(?∼), 맏아들 남생(男生)이 막리지(莫離支)가 됨. 남생, 당나라로 망 명하고 아우 남건(男建)이 막리지가 됨.
667년 신라, 문무왕이 김유신 등과 함께 고구려 정벌에 나섬. 고구려, 당나라의 공격 받음.
남북국시대 (南北國時代) 668년~ 846년
668년신라, 당군과 합세하여 평양성 포위. 고구려의 보장왕 항복함으로써 고구려 멸망.
669년 당나라가 평양에 안동도호부를 설치.
670년 고구려 유민 검모잠이 한성에서 안승을 추대하고 부흥운동 전개.
672년 신라, 고구려병과 합세하여 백수성 근처에서 당군 격파.
675년 신라, 옛 고구려 남쪽지역에 주군 설치. 설인귀의 당군 대파.
681년 신라, 문무왕 죽고(?∼), 신문왕 즉위(∼692). 대왕암에 문무왕릉 조성.
696년 발해, 고구려 유민과 속말말갈을 통합.
698년 발해, 고왕 대조영이 진을 건국.
713년 발해, 국호 진을 발해로 고침.
723년 신라, 처음으로 왜국에 사신을 보냄. 혜초가 서역에서 돌아와 《왕오천축국전》을 저술.
794년 발해, 대원의 피살되고(?~), 성왕 즉위(~795). 국도를 동경(東京)에서 다시 상경용천부 로 옮김.
819년 신라, 사방에서 초적이 일어남. 당나라에 군사를 보내어 이사도의 난 평정을 지원.
822년 신라, 김헌창의 난 일어남. 실패하여 김헌창 자살.
828년 신라, 장보고가 완도에 청해진을 일으켜 대사에 임명됨.
838년 신라, 희강왕 자살하고 민애왕 즉위(~839). 김양이 청해진에서 반란.
839년 신라, 문성왕 즉위(~857). 장보고를 청해진장군으로 삼음.
846년 신라의 장보고 반란, 염장에게 피살.
(後三國時代) 877 ~ 936(편의상, 왕건의 출생년도를 기준으로 후삼국 시대의 시작으로 삼음)
877년왕건 출생. (867년 견훤 상주 가은현에서 출생. 870년 궁예 출생)
887년 7진성여왕 즉위
889년 상주에서 원종과 애노의 난이 일어남. 아자개(견훤 父)가 상주지역을 장악하고 장군을 칭함. 서남해 수군으로 있던 견훤, 예하의 병력을 이끌고 독립
891년궁예, 죽주의 도적 우두머리 기훤에게 투신
892년궁예, 북원의 양길에게 투신. 명주 관내의 여러 군현을 습격해 모두 항음. 견훤, 무진주(광주)를 습격하여 왕이 됨.
894년 2월신라, 최치원이 를 올림
10월궁예, 北原(현 원주)에서 溟州(현 강릉)로 들어가 장군을 칭함. 그곳에서 병력을 3500명으로 불림.
895년 궁예, 저족, 성천, 부약, 금성, 철원 등 차례로 장악. 신라, 헌강왕의 서자 요를 태자로 책봉.
896년궁예, 스스로 왕을 칭하며 내외관직을 설치.
900년10월궁예, 왕건을 보내어 경기 남부와 충북 지역 장악. 왕건을 아찬으로 삼음. 견훤, 완산(전주)에 도읍하고 “백제(후백제)”라는 국가를 건설함.
901년8월- 견훤, 금성군 남쪽의 10여개 주현 공략. - 견훤, 대야성을 공격하였으나 패배.- 궁예, 왕을 칭하고 국호를 “후고구려”라 일컬음, - 궁예, 영주 부석사(浮石寺)의 신라왕 화상을 칼로 침.
904년 궁예, 백관을 설치. 국호를 마진, 연호를 무태라 함.
909년- 궁예, 왕건에게 나주를 지키라 명하고 해군대장군에 임명.- 왕건, 염해현(영광)에서 오월에 보내는 후백제 使船을 나포. - 왕건, 알찬 종희, 김언 등을 부장으로 진도군을 함락시킴. - 왕건, 진격하여 皐夷島 (고이도) 점령. - 왕건, 다시 나주포구에서 화공으로 견훤을 무찌름. - 왕건, 압해현 반란군 두령 능창 사로잡아 궁예에게 보냄. 궁예가 능창의 얼굴에 침을 뱉고 그를 죽임.
911년 궁예, 국호를 태봉으로, 연호를 수덕만세라 고침. 승려 석총이 궁예를 비판하자 궁예가 쇠몽둥이로 때려죽임.
926년7월발해의 103성, 모두 거란에 점령됨. (발해 멸망)
927년 1월왕건, 친히 후백제의 용주 침공. 신라에서 구원병 보냄.
12월고려 태조, 서경에 행차하여 처음으로 학교를 창설.
935년3월후백제 신검 형제, 아우 금강을 죽이고 견훤을 금산사에 유폐함.
6월견훤이 나주로 탈출하여 고려에 투항하기를 청함. 견훤이 들어오자 왕건은 상부로 칭하고 남궁을 사관 으로 지정.
10월신라왕 김부가 김봉휴를 보내 고려 정부로 들어오기 를 청함.
후백제 신검, 새 왕으로 즉위함.
11월신라 경순왕이 백관을 거느리고 고려에 투항.
고려시대 (高麗時代) 918~1392
918왕건 즉위, 고려 건국, 연호 천수
919도읍 철원에서 송악으로 옮김
920신라, 고려에 사신 보냄
949광종의 즉위 주현의 세공액을 정함
950광덕이란 연호를 사용
956노비 안검법 실시
958과거제도 실시
960백관의 공복을 정함
963제위보를 둠
982최승로, 시무 28조를 올림
98312목 설치, 3성 6부 7시를 정함
984군인의 복색을 정함
986흑창을 의창으로 고쳐 실시
991중추원 설립
992국자감 창립
993거란, 고려에 침입
997목종 즉위
998백관 및 군인 전시과 개정
1002개경에 6위의 군영을 지음
1004과거법 개정
1009서북 병마사 강조, 목종을 폐하고 대량원군 순 현종으로 즉위
1010거란 2차 침입 개시
1013거란 강동6주 침입. [국사] 편찬 시작 30결 이상 소유토지 세액 정함
10184도호 8목의 지방제 개정 거란 소배압 등 10만 침입
1019강감찬의 귀주대첩
1033천리장성 축조 개시
1034정종 즉위
1036모든 관리에게 녹패를 줌
1040도량형 통일
1042국자감의 학생중 나이가 많고 재능이 없는 자를 광군에 보충
1044천리장성 완성
1076양반전시과를 경정
1087[초조대장경] 간행(흥왕사)
1090의천, [신편제종교장총록] 편수
1095중추원을 추밀원으로 고침
1096의천, 속장경을 완성, 부인사에 보관
1097의천, [ 대각국사문집] 지음
1104별무반, 항마군 조직
1107윤관, 여진 격파. 6성 축조
1108윤관, 함경도 북부에 9성 축조
11099성을 돌려줌
1126이자겸의 난
1129서경에 대화궁 낙성. 서적고를 둠 묘청 등 칭제건원 요청
1132임원애, 묘청등을 죽일 것을 요청
1135묘청, 서경에 대위국 건설, 서북농민 이에 호응
1136서경 함락
1145김부식, [삼국사기] 50권 편찬
1170정중부, 문신대학살
1176공주 명학소, 망이.망소이의 민란 서경함락, 조위총을 죽임
1177망이.망소이 항복 망이, 공주.아산 점령. 서경에 민란 재발(서경 장악)
1178이의민, 서경봉기 진압 박제검, 서북지방의 봉기군 토벌
1179서경, 민란 재발 경대승,정중부와 송유인을 죽임. 도방설치
1193운문의 김사미와 초전의 효심 민란
1196최충헌, 이의민을 죽이고 3족을 멸함 봉사 10조 올림
1231살례탑의 몽고군 1차 침입
1232다루가치 설치, 강화 천도 몽고군 2차 침입, 김윤후의 활약 초조대장경 불타버림
1235몽고군 3차 침입
1236대장경 조판에 착수, 몽고군 각지 둔전
1239몽도, 고려왕의 친조를 요구
1247몽고군 제 4차 침입
1249몽고, 고려왕의 출륙친조 요구
1253삼별초, 금주 전주에서 몽고 격파
1254몽고 차라대군 5차 침입
1257몽고 차라대군 6차 침입 최항 죽음, 최의 정권계승
1258김준, 유경등 최의를 죽임 화주에 쌍성총관부를 둠
1269전민변정도감을 둠
1270서경에 동녕부를 둠 배중손 등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 진도로 들어감
1298정방 폐지. 관제를 고침
1301관명이 원과 같은 것은 모두 개칭
1352변발금지. 예의추정도감 둠
1356정동행성 폐지
1359홍건적, 서경 함락
1367호복제를 폐함, 국학 다시 설치
1388최영 요동정벌. 이성계 위화도회군으로 정권 장악
1389이성계, 우왕과 창왕 죽임. 관제 개혁
1390토지문서 불태움
1391과전법 제정
1392이성계 왕으로 추대
조선시대 (朝鮮時代) 1392~1800
1392년 정몽주 피살(1337). 이성계 즉위. 문무백관의 제도 제정.
1395년정도전 등이 《고려사》 37권을 간행. 예문춘추관 설치. 중앙군 10위(衛)를 10사(司)로 고 쳐 의흥삼군부(義興三軍府)에 소속.
1398년제1차 왕자의 난(戊寅靖社). 태조가 왕세자 방과(芳果)에게 선위 정종 즉위.
1400년 제2차 왕자의 난(芳幹의 난). 방원(芳遠)을 왕세자로 책봉. 정종이 방원에게 선위. 태종(太宗) 즉위.
1401년 증광문과(增廣文科) 실시. 신문고(申聞鼓) 설치.
1402년 무과의 과거 실시. 호패법(號牌法) 실시.
1419년 이종무(李從茂), 왜구의 근거지인 대마도 정벌. 제주에 양전(量田) 시행.
1420년 집현전(集賢殿) 설치. 경연청(經筵廳) 설치.
1441년 장영실 등이 세계 최고(最古)의 측우기(測雨器)를 설치하고, 양수표(量水標)를 세움.
1453년 계유정난(癸酉靖難). 수양대군이 김종서·황보인 등을 죽이고 정권장악. 안평대군(安平大君) 사사(賜死)됨. 이징옥(李澄玉)의 난.
1456년 사육신(死六臣)사건.
1457년 단종을 노산군(魯山君)으로 강등, 영월로 유배. 노산군(단종) 죽음.
1466년 과전법(科田法)을 폐지하고 직전법(職田法)을 실시.
1496년 무오사화(戊午史禍). 유자광(柳子光) 등의 무고로 김일손(金馹孫)·권오복(權五福) 등이 처 형되고, 김종직(金宗直)을 부관참시(剖棺斬屍)함.
1504년 갑자사화(甲子士禍).
1506년 중종반정(中宗反正).
1519년 기묘사화(己卯士禍)
1545년 8월, 을사사화(乙巳士禍).
1575년 대마도주(對馬島主)가 왜국이 조선침략을 위해 전선을 건조하고 있음을 통지. 7월, 심의겸 (沈義謙)˙김효원(金孝元)의 동서당론이 일어남.
1583년 이이, 십만양병설(十萬養兵說)을 건의함.
1589년 정여립(鄭汝立)의 모반사건 일어남.
1592년 임진왜란(壬辰倭亂) 시작. 일본침략군 21만이 부산포에 상륙. 옥포해전에서 왜선 26척을 대파. 명(明)나라의 1차원군 압록강을 건너옴. 한산도대첩(閑山島大捷). 명나라의 2차원군 4만이 압록강을 건너옴.
1597년 정유재란(丁酉再亂), 약 20만의 왜군 상륙. 원균(元均) 휘하의 수군이 칠천(漆川)·고성(固城)에서 대패.
1598년 이순신(李舜臣)이 노량해전(露梁海戰)에서 전사. 왜란 종결.
1623년 인조반정.
1624년 이괄(李适)이 반란을 일으킴.
1626년 호패법시행. 남한산성을 쌓고 수어청을 둠.
1627년 후금이 조선에 침입(정묘호란). 인조가 강화로 피신.
1645년 소현세자, 독일인 신부 아담 샬(湯苦望)로부터 천문·산학(算學)·천주교에 관한 서적 등 을 받아 가지고 한성으로 돌아옴. 왕세자(소현세자) 죽음. 봉림대군(鳳林大君) 한성으로 돌아와 세 자로 책봉됨.
1658년 청나라가 러시아정벌에 원군을 요청해 옴.(나선정벌)
1660년 남인·서인 간에 예론시비(禮論是非) 시작됨. 전라도 산간군(山間郡)에 대동법 실시.
1689년 세자책봉문제로 노론(老論)이 실각하고 남인이 집권(기사환국). 왕비 인현왕후 민씨 폐출 됨.
1690년 장희빈을 왕비로 책봉함.
1694년 노론에 의해 남인 몰락(갑술옥사). 4월, 폐비 민씨를 복위하고 왕후 장씨를 다시 희빈으로 강등. 수도 방위를 위해 문수산에 성을 쌓음.
1728년
이인좌(李麟佐) 등 밀풍군(密豊君) 추대, 반란을 일으킴.
1786년 연경에서 서양서적의 구입을 금함. 검서시예(檢書試藝)의 규정을 정함.
1792년 정약용(丁若鏞) 기중기(機重器)를 발명.
1794년 수원성[華城]을 쌓기 시작함. 울릉도 지도를 제작케 하고 토산물을 조사함. 12월, 청나라 신부 주문모(周文謨) 밀입국 상경.
1800년
원자를 세자로 책봉(순조). 정조 죽고, 세자 즉위(순조). 대왕대비(영조계비 정순왕후), 수렴청정을 함.
조선시대 2 (朝鮮時代2) 1800~1910
1811년 곡산 등 민란 일어남. 홍경래(洪景來)의 난(평안도 농민전쟁) 일어남. 역법(曆法)을 개정, 시행.
1812년 홍경래 전사, 난이 평정됨. 왕자 호(昊), 왕세자에 책봉됨(훗날의 익종).
1849년 헌종이 죽자 은언군(恩彦君) 인의 증손 원범(元範) 즉위(철종). 정학유(丁學游) 또는 고상 안(高尙顔)의 《농가월령가(農歌月令歌)》 및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편찬.
1862년 충청·전라·경상도 곳곳에서 잇단 민란 일어남. 1850년 이후에 세운 서원을 모조리 철폐.
1863년 금위영(禁衛營)군졸들, 받은 녹미(祿米)의 질 문제로 소요. 동학 교조 최제우 체포되고, 남 해에 민란. 흥선군을 대원군(大院君)으로 봉하고, 대왕대비 조씨가 수렴청정을 시행.
1866년 대왕대비의 수렴청정 끝내고 왕에게 환정(還政). 민치록(閔緇祿)의 딸이 왕비가 됨. 미국 상선 제네럴 셔먼호(號), 군민(軍民)에 의해 불탐. 척사윤음(斥邪綸音) 발표. 프랑스 함대, 양화진 (楊花津)에 내침. 해군대령 올리비에가 이끄는 프랑스군, 재차 내침, 강화도 점령, 양헌수(梁憲洙) 등이 대파.
1867년
서울 각 성문에서 통과세(通過稅) 징수. 신관호(申觀浩)가 수뢰포(水雷砲)를 만듦. 경복궁 의 근정전(勤政殿)·경회루(慶會樓) 완공.
1868년 당백전(當百錢)의 통용을 명령.
1871년 사액(賜額) 서원 47곳만 남기고 전국의 서원을 철폐.
1873년 선혜청(宣惠廳) 별창(別倉)에 화재. 최익현(崔益鉉), 대원군을 배척하고 시폐(時弊)를 논단 하는 상소로, 호초참판에 특임. 소사(疏辭)가 과격하다 하여 제주에 유배. 국왕, 친정 선포(대원군 실각).
1874년 강화도 연안 포대 축조 완성. 일본의 ‘정한설(征韓說)’로 각 군영(軍營)에 엄중경계령 내림. 병조판서 민승호(閔升鎬)의 침실 화약 폭발로 일가족 폭사. 달레(프랑스 신부)의 저서 최초 의 《한국교회사》 발간.
1875년 울산에서 민란 일어남(29일 진압). 왕이 경복궁으로 옮기고, 양주(楊州)에서 은거하던 대원 군 운현궁으로 환거. 일본 군함 운요호를 포격, 퇴각.
1876년강화도 조약
1880년 .
김홍집(金弘集)을 일본수신사(日本修信使)에 임명. 원산에 일본 영사관 개관. 하나부사, 일 본 국왕의 친서(親書) 고종에게 전달. 삼군부(三軍府) 폐지하고 통리기무아문(統理機務衙門)을 설 치. 《동경대전(東經大典)》 등 출간. 지석영, 종두(種痘) 실시
1881년 박정양(朴定陽) 등 10여 명을 신사유람단(紳士遊覽團)에 임명. 별기군(別技軍)을 두고 신식 군사훈련을 실시.
1882년 조미(朝美)수호조규·조영(朝英)수호조규 조인. 원산·부산·인천 개항. 5월, 조독(朝獨)수 호통상조약 조인. 군인들, 급료 체불과 급여양곡의 변질·정량부족 등에 격분, 난동(壬午軍亂). 대 원군, 원군으로 들어온 청군에 의해 납치, 청국으로 호송. 7월, 제물포조약 및 수호조규속약(修好條規續約) 체결. 박영효(朴泳孝)를 일본특사 겸 수신사로 일본에 파견(선중에서 태극기를 고안).
1883년 태극기를 국기로 정함. 당오전(當五錢)을 주조. 초대 미국공사로 푸트 착임, 수호조규(修好條規)를 비준·교환. 기기국(機器局)을 새로 설치. 최초로 영어교육 실시. 조영(朝英)수호통상 조 약, 조독(朝獨)수호통상조약 조인.
1884년 부산∼나가사키[長崎] 간 해저전선 개통. 우정총국(郵政總局) 개설. 이탈리아 및 러시아와 수호조규에 조인. 개화당 일파, 수구당 민씨 일파를 죽이고 새 정부를 조직(甲申政變). 5개조항으 로 된 한성조약 체결.
1885년 영국함대 거문도를 불법점령.
1887년 거문도 점거했던 영국 함대 철수(1885∼).
1889년 유길준(兪吉濬)의 《서유견문 록(西遊見聞錄)》 완성.1892년 일본 어선, 제주 성산포(城山浦)에 상륙, 민간인을 살해하고 부녀자 폭행. 정부, 김옥균(金玉均) 암살계획을 세워 이일식(李逸植) 등을 일본에 파견. 현대식 화폐 주조.
1893년 동학교도 2만여 명, 충청도 보은군(報恩郡) 장내(帳內)에 모여 ‘척왜척양(斥倭斥洋)’ ‘창의(倡儀)’의 기치 아래 농성시위 계속. 지석영(池錫永), 교동(校洞)에 우두보영당(牛痘保謁堂) 을 설립. 중림동(中林洞) 약현성당(藥峴聖堂) 준공. 전봉준(全琫準) 등 학정 시정을 진정. 최초로 전화기 들여옴. 최초의 시계포, 구리개(을지로 入口)에 등장.
1894년 김옥균, 상하이[上海]에서 홍종우(洪鍾宇)에게 암살당함. 갑오경장(甲午更張)의 시작. 과거 제도 폐지. 15일, 김홍집내각 성립. 경북 안동(安東)에서 서상철(徐相轍) 의병 봉기(최초의 反日의 병운동).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무장봉기 선포. ‘홍범십사조(洪範十四條)’와 ‘독립선고문’ 을 종묘에 고함.
1895년 동학운동 주모자 전봉준 등 사형. 을미개혁(乙未改革) 단행, 재판소(법원) 구성법 등 34건 의 개혁안 의결. 군제(軍制)개혁도 단행, 훈련대 등 설치. 일본공사 미우라[三浦梧樓] 부임. 소학교 령(小學校令) 공포. 8월, 명성황후(明成皇后:閔妃)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 발생. 제3차 김홍 집내각 성립.
1896년 연호 건양(建陽)·태양력 사용(음력 1895.11.17). 이범진(李範晋)·이완용(李完用) 등 고종 및 왕세자를 러시아 공사관으로 이어(俄館播遷). 서재필, 《독립신문》 창간.
1897년 연호를 광무(光武)로 고침. 국호(國號)를 ‘대한제국(大韓帝國)’, 왕의 호칭을 ‘황제’로 정함.
1898년 한성전기회사(漢城電氣會社) 설립. 2월 9일, 독립협회, 종로 네거리에서 만민공동회(萬民共同會) 개최. 22일, 흥선대원군(興宣大院君) 죽음(5월 국장). 동학교주 최시형(崔時亨) 처형. 농상공 부(農商工部)에 철도사(鐵道司) 설치. 《제국신문(帝國新聞)》 순한글 신문으로 창간. 《황성신문 (皇城新聞)》(일간) 발행. 서울 종현(鐘峴)에 천주교회당 건립.
1899년 정선(旌善)·제주 등지에서 민란 발생. 광제원(廣濟院) 개설. 서울에서 전차 운행 시작. 대한국 국제의정(國制議定)을 반포. 경인선(京仁線:인천~노량진간) 완성(33.2km). 《독립신문》 폐 간. 관립경성의학교부속병원(현 서울대 부속병원) 설립.
1900년 만국우편연맹 가입. 의사·약제사·약품순시 규칙 등 공포. 한성전기회사(한·미인 공동경 영)가 최초로 종로에 가로등 3개 가설. 한강철교 준공, 경인선철도 완전 개통. 태극기 규정발표(흰 바탕에 長2자, 廣1자 8치, 태극은 지름 7치에 청·홍색).
1901년 신식 화폐조례(貨幣條例) 공포, 금본위제도(金本位制度) 실시. 7월, 최초의 안남 미 수입. 9월 17일, 흥선대원군을 왕으로 추봉. 10월 9일, 활빈당원 하원홍(河元泓) 등 참형. 혜민 원(惠民院) 설치.
1902년 갑산(甲山) 동광(銅鑛)의 갱도(坑道) 무너져 광부 600여 명 참사. 5월, 일본제일 은행 부산지점, 1원권을 발행, 한국에서 강제유통시킴. 6월 16일, 이상재(李商在) 등 개혁당 사건 과 관련, 구속. 황제등극 40주년 칭경식(稱慶式)을 거행. 8월, 국가(國歌)를 처음 제정. 제1차 하와 이 이민단 100여 명 출발.
1903년 개성∼평양간 전화 개통. 6월 14일, 주한 외국공사들, 러시아 공사관에서 비밀회담. 장지연 (張志淵) 《대한강역고(大韓疆域考)》 등 편찬.
한일의정서(韓日議定書) 조인. 25일, 의주(義州)를 개방. 3월 17일, 이토 히로부 미[伊藤博文], 특파대사로 내한. 8월 18일, 송병준(宋秉畯) 등, 유신회(維新會) 조직. 20일에 일진회 (一進會)로 개칭. 22일, 제1차 한일협약(韓一協約) 체결. 11월 16일, 제중원(濟衆院:세브란스병원)낙 성식. 26일, 원직(元稷)˙나유석(羅裕錫), 보부상을 규합, 진명회(進明會) 조직(12월 共進會와 통 합). 12월 미국인 천일외교관 스티븐스, 외교고문에 임명. 21일, 대한적십자사발족, 세계적십자사에 가맹.
1904년 일본 독도(獨島)를 강점, ‘다케시마[竹島]’로 명명. 3월 25일, 황제, 러시아 정 부에 밀서. 이용익(李容翊), 보성학교(普成學校) 설립(고려대학). 11월 9일, 일본특파대사 이토 히 로부미[伊藤博文] 내한. 17일, 박제순과 일본공사 하야시[林權助], 제2차 한일협상조약(乙巳條約) 조인. 12월 1일, 손병희(孫秉熙), 동학(東學)을 천도교(天道敎)로 개칭. 21일, 일본, 한국 통감부(統監府) 및 이사청(理事廳)관제 공포 시행. 초대 통감에 이토 히로부미가 부임.
1905년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가 입국. 4월 21일, 엄비(嚴妃), 진명(進明)여학교 설립. 6 월 4일, 최익현(崔益鉉)·신돌석(申乭石) 등 의병 일으킴. 7월 2일, 일본 경찰, 경운궁(덕수궁)의 경비권을 강탈. 8월 18일, 최익현˙임병찬 등 9명 대마도에 유배. 31일, 《한성신보》 폐간. 9월 1 일, 통감부의 기관지로 《경성일보(京城日報)》 창간. 10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13도 11부 333 군으로 개편). 18일, 한국 최초의 기념우표 발행. 19일, 가톨릭교에 주간지로 《경향신문》 창간. 12월 1일, 최초의 소년잡지 《소년한반도》 창간. 최초의 전국적 호구조사 실시.
1907년 서상돈(徐相敦) 등, 국채보상운동(國債報償運動). 5월 22일, 이완용(李完用) 내각 성립, 23일 한글판 《대한매일신보》 창간. 6월 15일, ‘헤이그밀사사건’(李儁 분사). 7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황제에게 양위를 강요. 24일, 한일신협약(韓日新協約:丁未七條約) 및 비밀부 각 서 조인. 31일 군대해산 조칙(詔勅) 발표. 8월 2일, 연호를 융희(隆熙)로 함. 12월 27일, 경운궁에 서 순종, 황제 즉위식. 9월 1일, 서울에서 최초의 박람회 개최(~11.15.).
1908년 청진항(淸津港) 개항. 4월 1일, 관립한성고등여학교(현 京畿女高) 설립. 부산역 개 설. 23일 전명운(田明雲)˙장인환(張仁煥),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스티븐스 사살. 안창호(安昌浩) 등 대성학교(大成學校) 설립. 12월 1일, 최남선(崔南善), 최초의 월간종합지 《소년(少年)》 창간. 최초의 신극 이인직(李仁稙)의 《은세계》, 원각사에서 공연. 12월 3일, YMCA회관 개관식 거행.
1909년 나철(羅喆), 대종교(大倧敎) 창시. 2월 1일, 미주(美洲) 한국인단체들, 통합해 국민회로 발족, 6월 2일, 《대한민보(大韓民報)》 창간. 10월 24일, 안중근(安重根),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 미를 사살. 조선은행(현 한국은행) 창립. 최초의 서양화가 고희동(高羲東), 화가로 데뷔.
1910년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 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데라우치, 한일합병 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 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 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여 명 기소.
식민지시대 1910년 3월 26일, 안중근, 여순(旅順)감옥에서 사형당함.8월 16일, 총리대신 이완용, 조중응(趙重應)과 통감 데라우치[寺內正毅]를 방문 합방에 관한 각서 교부. 22일, 이완용·데라우치, 한일합병조약에 조인. 10월 1일, 총독에 데라우치 통감이 임명.12월 27일, 데라우치 총독 암살계획을 추진중이던 안명근(安明根) 체포. 105인 사건으로 확대되어 12년에 윤치호(尹致昊) 등 신민회원 120여명 기소.
1911년 3월, 김좌진(金佐鎭) 등 18명을 강도죄로 구금. 경무총감부, 언론 통제.3월 29일, 조선은행법 공포. 4월 17일, 도로규칙 및 조선토지수용령 공포. 5월 15일, 《소년》지 폐간(지령 23호). 이 해, 경주에서 우편국 직원에 의해 석굴암 발견. 박지원(朴趾源)의 《열하일기(熱河日記)》 《구약성서》 완역판 등 출간.
1912년 2월 16일, 어업세령(漁業稅令) 공포. 23일, 수산조합·어업조합 규칙 공포.
1913년5월 13일, 안창호 등, 흥사단(興士團)을 조직. 12월 15일, 한강철교 복선화 완성. 최초의 번안소설 《장한몽(長恨夢)》, 《매일신보(每日申報)》에 연재.
1914년1월 11일, 대전∼목포간 호남선 공사 완성(3월 22일 개통). 3월 1일, 지방행정구역 개편, 부˙군˙면(府郡面) 통폐합 실시.
1915년 1월 15일, 윤상태(尹相泰)·서상일(徐相日)·이시영(李始榮) 등 30여명, 경북 달성을 중심 으로 조선국권회복단 조직. 9월 11일, 총독부, 경복궁에서 통치 5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朝鮮物産共進會) 개최(~10.31). 15일, 경성우편국청사 준공. 일본제 고무신 등장.
[1916년] 4월 25일, 세브란스의학전문 개교. 6월 25일, 경복궁터에 총독부 청사건물 기공식. 8월 2일, 영친왕 이은(李垠)의 비(妃)로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마사코[梨本宮方子](16)를 선택.9월 12일, 대종교 교주 나철(羅喆:본명 羅寅永), 자결(1863∼). 10월 16일, 일본육군대장 하세카와[長谷川好道], 조선총독에 임명. 박중빈(朴重彬), 전북 인산에서 원불교(圓佛敎) 창시.
[1917년] 1월 1일, 이광수(李光洙)의 장편 소설 ;무정(無情) ; 《매일신보》에 연재 시작. 4월 30일, 이왕가(李王家)에 아악생(雅樂生)양성소 설립. 6월 8일, 순종황제, 일본에 감(28일 귀국). 10월 17일, 한강인도교 준공. 29일, 박용만(朴容萬), 뉴욕에서 열린 세계25개국약소민족회의에 한국대표로 참석.
[1918년] 1월 17일, 고등고시 및 보통고시령 공포. 18일, 총독부, 《조선어사전》 편찬, 간행(1910~). 11월 15일, 신한청년당원 여운형, 미국 윌슨 대통령의 특사 크레인과 회견. 20일, 미주 교포단체들, 윌슨 미국대통령에게 한국의 독립을 요구하는 진정서 제출. 30일, 여운형, 파리강회회의와 미국대통령에게 보낼 한국독립 요청서를 크레인에게 전달 12월 5일 영친왕과 일본 황족 나시모토노미야 미사코와 혼인을 발표.
[1919년] 1월 21일, 고종황제, 덕수궁에서 승하(3.3.국장). 2월 8일, 도쿄유학생 600여명, 기독교청년회관에 모여 조선청년독립단 명의로 독립선언문 발표. 김동인(金東仁), 도쿄에서 《창조》 발간. 3월 1일, 황제의 국장을 계기로 3·1독립운동 일어남. 손병희(孫秉熙)를 비롯한 민족대표 33인의 이름으로 서울 탑골공원에 모여 독립선언서 발표. 중국 상하이에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 만주 류허현[柳河縣]에서 대한독립단 발족. 임시정부, 국호를 대한민국으로 정하고 임시헌장 10개조 발 표. 이승만을 국무총리로 정부를 구성. 8월 12일, 사이토[齊藤實]선임총독 부임. 8월, 홍범도(洪範圖) 휘하의 대한독립군, 기습작전.9월 2일, 노인동맹단의 강우규(姜宇奎), 남대문역(서울역)에서 사이토 총독에게 폭탄투척(37명이 중경상). 10월 5일, 김성수(金性洙) 등, 경성방직(京城紡織)(株) 설립. 27일, 최초의 한국영화 《의리적 구투(義理的仇鬪》. 11월 9일, 의친왕 이강(李堈), 상하이로 탈출(11.11. 국내로 강제압송).
[1920년] 1월 6일, 총독부 《조선일보(朝鮮日報)》 《동아일보(東亞日報)》 《시사신보(時事新報)의 발행을 허가. 4월 28일, 영친왕 이은(李垠), 일본에서 황족 마사코[方子]와 결혼. 6월 25일, 월간종합지 《개벽(開闢)》 창간. 7월 13일, 고원훈(高元勳)˙김성수(金性洙) 등 조선체육회 창립. 25일, 오상순(吳相淳) 등에 의해 《폐허(廢墟)》 창간. 10월 20일, 김좌진(金佐鎭)˙지청천(池靑天) 휘하의 북로군정서군(北路軍政署軍), 청산리(靑山里)에서 대승(청산리대첩). 유관순(柳寬順), 옥중에서 죽음. 윤심덕(尹心悳), 일본에서 한국인 최초로 레코드 취입.
[1921년] 1월 2일, 서재필(徐載弼), 미국 대통령 하딩과 회견, 한국독립 지원 요청. 12월 3일, 김윤경(金允經)·장지영(張志暎)·이병기(李秉岐) 등 16명, 조선어연구회 창립(대표 任景宰 1931.1.10. 조선어학회로 개편). 윤백남(尹白南) 등, 최초의 극영화 《월하(月下)의 맹세》 제작. 변영로(卞榮魯)·황석우(黃錫禹)·박종화(朴鍾和) 등, 최초의 시 동인지 《장미촌》 창간.
[1922년] 1월 7일, 조선불교도총회, 30본산 연합제(本山聯合制) 폐지 결정. 23일, 모스크바에서 극동 민족 무산자대회 개최. 김규식(金奎植), 조선대표로 참석. 월간 문예지 《백조(白潮)》 창간(1923.9. 통권 3호로 종간). 윤백남(尹白南), 민중극단 창단.3월 31일, 총독부, 신교육령에 따라 모든 학교 관제·조선공립학교 관제 공포(4.1.시행). 6월 1일,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약칭 鮮展) 개최(~6.21). 6월, 한국 최초의 비행사 안창남(安昌南), 도쿄∼오사카[東京~大阪] 간 비행 성공
[1923년] 1월, 블라디보스토크에서 고려공산당 중앙총국 발족. 조선물산장려회 창립. 3월, 연희전문학교 설립. 천도교 소년회, 잡지 《어린이》 창간.9월 2일, 박렬(朴烈), 일황(日皇) 암살미수 혐의로 도쿄경시청에 구금됨. 9월 일본 도쿄지방에 대지진 발생[關東大震災]. 한국인들 학살당함. 동인지 《금성(金星)》 창간.
[1924년] 1월 4일, 의열단원 김지섭(金祉燮), 일본 도쿄 궁성(宮城)의 나주바시[二重槁]에 폭탄 투척 (二重槁사건). 3월 31일, 《시대일보(時代日報)》 창간. 4월 17일, 서울에서 전조선노동총동맹 발족. 5월 2일, 경성제국대학 관제 공포. 7월, 이필우(李弼雨), 한국 최초의 기록영화 전국여자배구대회 사진 촬영·제작. 8월 5일, 북풍회(北風會) 최승일(崔丞一)·이호(李浩) 등 문인 30여 명,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1925년] 1월 3일, 도쿄의 북성회(北星會), 일월회(一月會)로 개칭하고 기관지 《척후대(斥候隊)》 발행. 4월 17일, 김재봉(金在鳳)·조봉암(曺奉岩) 등, 서울 조선공산당 조직.11월 27일, 신의주에서 제1차 공산당사건으로 박헌영(朴憲永)˙김약수(金若水) 등 체포. 10월 13일, 기독교계 학교 학생 전원이 신사참배 거부. 15일, 서울운동장 개장.
[1926년] 1월 2일, 일본 미에현[三重縣]에서 교포학살사건 발생. 4월 1일, 경성제국대학 의학부·법문학부 개설. 5일, 만주 지린성[吉林省]에서 정의부(正義府)를 기반으로 고려혁명당 조직(위원장 梁起鐸). 26일 순종(純宗) 승하. 27일, 영친왕 은(垠), 왕위계승. 6·10만세 사건. 9월, 극영화 《아리랑》 상영됨. 30일, 경성방송국 창립. 12월 28일, 의열단원 나석주(羅錫疇), 식산은행과 동양척식(東洋拓殖)회사에 폭탄 던지고, 일경과 맞싸우다가 자결.
[1927년] 4월 7일, 이상재(李商在)의 장례식, 국내 최초의 사회장으로 거행. 5월 1일, 경성∼오사카[大阪] 간 정식으로 무선통신 개통. 2일, 흥남에 조선질소비료주식회사 설립. 마봉옥(馬鳳玉), 한국 최초의 마라톤 공인기록(3시간 29분 37초) 수립.
[1928년]3월 이동녕(李東寧)·이시영(李始榮)·김구(金九) 등, 상하이 프랑스조계(租界)에서 한국독 립당 창당. 6월 5일, 이영행(李永行)·방용배(方龍培), 새 정무총감(政務總監) 이케가미[池上四郞]를 암살하려다 실패, 체포. 최현배(崔鉉培) 저 《우리말본》(제1편) 등 간행.
[1929년] 4월 1일, 여의도비행장 개장. 일본항공수송주(株), 도쿄∼울산 간, 울산∼타이롄[大連] 간 항공로 개설.6월 24일, 총독부 독직(瀆職)사건 발생, 총독 야마나시 파면됨(8.17).8월 17일, 새 총독에 사이토[齋藤實]가 재임. 11월 3일, 광주학생사건 발발, 전국적으로 확대. 12월 13일, 신간회 44명, 근우회 간부 47명 검거됨(민중대회사건). 이 해, 신익희˙김홍일˙민병길(閔丙吉) 등 난징[南京]에서 한국혁명당 조직.
[1930년] 1월 24일, 김좌진(金佐鎭), 북만주 산지(山之) 역전에서 공산주의자에게 암살당함. 1월, 학생시위 전국으로 번져, 학교수업 마비상태. 8월 7일, 평양고무 근로자들 1,800여 명, 임금인하 조처에 반대 동맹파업. 12월 1일, 지방 제제의 개혁 단행. 읍면제(邑面制) 및 도제(道制) 공포.
[1931년]3월 29일, 안창호·조상섭(趙尙燮)·차이석(車利錫) 등 상하이 흥사단 내에 공평사(公平社) 조직(이사장 안창호). 4월 18일, 임시정부, 삼균제도(三均制度)를 건국원칙으로 천명. 6월 17일, 육군대장 우가키[宇垣一成], 총독에 임명됨(7.14. 착임). 7월 2일, 지린성[吉林省] 만보산(萬寶山) 삼성보(三姓堡)에서 수로공사 중 한·중 농민 충돌(만보산사고). 서울·인천·평양 등 전국각지에서 반중(反中) 감정 노골화, 중국인 습격·학대사건 속발. 임시정부, 주석 김구의 직속하에 일본 요인암살을 목적으로 한 ‘한인애국단’을 조직. [1932년] 1월 8일, 한인 애국단원 이봉창, 도쿄 사쿠라다문[櫻田門] 밖에서 히로히토[裕仁]에게 수류탄 투척, 실패. 4월 29일, 한인 애국단원 윤봉길(尹奉吉), 홍커우공원에서 일황생일경축식 겸 상해사변 승리 기념식장에서 폭탄을 던짐. 5월, 임시정부, 상하이에서 저장성[浙江省] 고주(枯州)로 옮김.
[1933년] 2월, 이승만, 제네바에서 열린 국제연맹회의에 대표로 참석, 일본의 만주침략 등 공박. 11월 4일, 조선어학회, 한글반포 487회 기념식 갖고 ‘한글맞춤법통일안’ 발표.
[1934년] 5월 7일, 이병도·김윤경·이병기 등 진단학회(震檀學會) 창립. 4월 11일, 조선농지령 공포(10.20. 시행). 25일, 겸이포제철(兼二浦製鐵), 1일, 부산~신경(新京) 간 직통열차 운행 개시.
[1935년] 4월 15일, 회령(會寧) 유선(遊仙)탄광에서 폭약 폭발, 800여 명 갱부 매몰. 7월 5일, 한국독립당·조선혁명당·의열단·신한민족당·대한독립당, 난징[南京]에서 민족혁명당으로 통합. 임정 국무위원 양기탁·유동열(柳東說)·김규식·조소앙·최동오(崔東旿) 등, 민족혁명당에 참여함으로써 임정운영 한때 정체상태에 빠짐. 12월 3일, 청진(淸津)비행장 개장.
[1936년] 8월 26일, 총독 우가키[宇垣] 후임으로 미나미[南次郞] 부임. 9일, 손기정, 베를린 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동아일보》, 손선수 가슴에 단 일장기(日章旗)를 말소 보도(8.25). 29일, 사건으로 《동아일보》 정간. 10월 23일, 한강인도교 개통(381`m). 12월 12일, 조선사상범 보호관찰 령 공포(12.21. 시행).
[1937년] 3월 10일, 총독부 강권에 따른 제1차 간도이민단 일행 1만 2000명 출발.5월 만주 동북(東北)항일연합군, 갑산군 혜산진(惠山鎭) 보천보(普天堡)주재소 습격(보천보사건). 6월 7일, 안창호 등 150여 명, 동우회(同友會) 사건으로 투옥됨. 총독부, 한국 여인들의 금비녀 등 헌납을 강요. 11월, 임시정부, 후난성[湖南省] 창사[長沙]로 이전.
[1938년]2월 9일, 장로교 평북노회(平北老會), 기독교계에서 최초로 신사참배를 국가의식으로 인정. 2월 조선 육군 특별지원병제도 창설. 3월 3일, 조선교육령 개정 공포. 중등학교에서 ‘조선어’ 과목 교육 폐지. 31일, 평양 숭의(崇義)·숭실(崇實)학교, 신사참배 거부하고 폐교. 7월, 임시정부, 광둥[廣東]으로 옮김. 10월, 임정, 조선민족전선계를 주축으로 조선의용군 편성. 덕수궁 미술관 개관. 조선빌딩(반도호텔) 준공됨.
[1939년] 2월, 광복진선(光復陣線), 광시성[廣西省] 류저우에서 청년공작대 조직.3월, 임시정부, 쓰촨성[四川省]으로 옮김. 7월 3일, 경방단(警防團)규칙 공포. 22일, 경춘선(京春線:경성∼춘천 간) 개통식.9월 28일, 만포선(滿浦線) 완전 개통. 30일, 총독부, 국민정용령 발동(10.1.∼1945년까지 45만 명 동원).
[1940년] 2월 11일, 총독부, 창씨(創氏)제도 시행.8월 10일, 《조선일보》 《동아일보》 폐간. 20일, 쌀 배급제도 실시.
[1941년] 3월 15일, 총독부 학도정신대 조직, 근로동원 강요. 25일, 조선교육령 개정, 소학교를 국민학교로 개칭. 4월 1일, 생활필수문자통제령 공포. 8월, 보천보(普天堡)사건 관련자(6명)에 사형선고. 9월 3일, 총독부, 조선임전보국단(臨戰報國團) 결성. 12월 8일, 외국 신부˙선교사 등 67명 스파이 혐의로 검거. 9일, 임시정부, 대일(對日) 선전포고.
[1942년] 2월 27일, 워싱턴에서 독립운동단체를 총망라한 한족대회 열림(∼3.1.). 3월 1일, 임시정부, 중˙미˙영˙소에 임정 승인을 요청. 5월 29일, 새 총독에 고이소[小磯國昭] 임명. 7월 김두봉(金枓奉) 일파, 옌안[延安]에서 조선독립동맹 조직. 9월 8일, 총독부, 금속(金屬)회수에 강제권 발동. 30일, 청장년 국민등록 실시. 10월 1일, 최현배(崔鉉培) 등 30여 명, 조선어학회사건으로 체포.
[1943년] 3월 1일, 조선인징병제 공포(8.1. 시행). 5월 18일, 태백산(太白山) 남벌 시작(조선목재로 쓰기 위함). 6월 1일, 백금 회수 강행. 3일, 해군특별지원령 공포(10.1. 시행). 10월 20일, 학도병제 실시. 12월 15일, 학도병 미지원자에게 징용령 발동.
[1944년] 2월 8일, 국민총동원법에 의거, 징용제 실시. 10일, 여자청년특별연성령(特別鍊成令) 공포. 관청들 일요일 휴무제 폐지. 4월 22일, 기독교도의 신사참배 강요에 항거하던 주기철(朱基徹) 목사 순교. 5월 9일, 여자정신대 1차(경남반), 도야마현[富山縣] 동제공업(銅材工業)에 동원됨.6월 17일, 미곡강제공출제(할당제) 실시. 7월 24일, 새 총독으로 아베[阿部信行] 임명. 8월 23일, 독신여성을 동원, 일본˙남양군도 등지의 종군위안부 등으로 강제징용.8월, 한국광복진선계(光復陳線系), 충칭[重慶]에서 한국청년회 조직.
대한민국 (大韓民國) 1
미군정, 제1공화국(1945~1960 )
19458월일본 무조건항복, 광복
9월연합군최고사령부, 북위 38도선을 경계로 미·소 양군의 한국분할점령 방안 공표
미국 극동군사령부, 남한 군정(軍政)시행을 선포
총독부, 항복문서에 조인
10월김일성(金日成), 조선공산당 북조선 분국 창 설(46.7.29. 북조선노동당으로 개편. 49.6.∼남로당을 흡수, 조선노동당으로 확대개편)
독립촉 성중앙협의회 결성(총재 이승만).
11월김구(金九) 주석 등 임정 요인들 환국
모스크바 3상회의
반탁(反托)국민 총동원중앙위원회 결성
1946년1월조선공산당, 신탁통치 지지 선언
2월비상국민회의 결성
평양에서 북조선임 시인민위원회 발족(위원장 김일성, 부위원장 김두봉)
6월이범석(李範奭) 등 광복군 환 국
7월38선 이북으로 통행 금지
12월이승만 도미, 남한 단독정부 수립의 필요성 역설
1947년2월공민증(公民證)제도 시행
4월서윤복(徐潤福), 보스턴마라톤대회서 우승
6월군정청, 한국정치기구를 ‘남조선과도정부’로 호칭
12월북한, 화폐개혁 실시.
1948년1월초등교육 의무교육 실시
2유엔 소총회, 유엔한국위원회의 접근가능지역 (남한)에서만의 총선거안 가결
북한·중공, 비밀군사협정 체결
4제주도에서 ‘4˙3사태’ 시작
5김구˙김규식 방북, 남북대표자 연석회의(제1차) 참석
유엔감시하에 남한총 선거 실시(좌익계·남북협상파 불참)
제 헌국회 개원(6.10. 의장 이승만, 부의장 신익희·김동원)
8월대한민국 정부수립
12월유엔총회, 한국정부를 유일한 합법정부로 승인(46대 6 가결)
1949년1월반민족행위 특 별조사위원회(약칭 반민특위) 발족
5월미국 국무부, 미군철수를 발표(군사고문단 제외)
6월정부 농지개혁법 공포
7월김구 국민장 거행(최초의 국민장)
8월장제스[蔣介石] 자유중국 총통 내 한, 진해(鎭海)에서 대통령 이승만과 정상회담.
1950년1월 한·미 상호방위원조협정 조인
이대통령, 맥아더 초청으로 일본 방 문
4월한국, 보스턴마라톤대회 1∼3위 제패
6월6년제 의무교육 실시
북 한군 불법남침으로 6·25전쟁 발발
서울 함락, 한강 인도교 폭파
7월유엔군, 인천상륙작전 개시
국군, 서울 진입 성공, 28일 수복.
10국군, 38선 돌파19일 평양 탈환25일, 중공군, 한국전 개입 시작. 26 일, 국군, 압록강(楚山) 탈환. 27일, 정부, 서울 환도. 29일, 이대통령, 평양 시찰.
1952년1월이승만 대통령, ‘평화 선’ 선포
7월부산정치파동. 대통령직선제 강행으로 정 계 격동
1953년7월27일, 휴정협정 조인.
1954년1월독도에 영토 표지판 설치(5.1. 민간수비대 파견)
반공포로 인수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발족
11월국회, 개헌안 사사오입(四捨五入)이론을 적용, 통과 처리
1955년8월 8일, 증권시장 개장
1956년5월신익희 민주당 대통령 후보, 유세 중 이리(裡里)에서 급서(5.23. 국민장).
제3 대 정·부통령선거 실시. 대통령에 자유당 이승만(李承晩), 부통령에 민주당의 장면(張勉) 당선됨
첫 텔레비전방송국(호출부호 HLKI) 개국
1957년1월유엔총회, 유엔 감시하의 통한(統韓)총선거 결의
10월《우리말큰사전》(전6권) 30년 만에 완간. 국회, 동성동본(同姓同本)과 8 촌 이내 인척의 결혼금지안 채택.
5월 ‘어린이헌장’ 선포.
1958년1월진보당사건 발생. 위원장 조봉암 등, 간부 7명 간첩혐의로 구속
3월북한, 김두봉(金枓奉) 숙청, 천리마(千里馬)운동 시작
19591월국가보안법 시행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으로 확산
12월정부, 재일교포 북송문제와 관련, 국 제사법재판소에 제소를 일본에 제의(일본은 거부)
교포북송 제1진 975명, 일본 니가타[新潟]를 출항, 청진(淸津) 도착.
1960년2월조병옥(趙炳玉) 민주당 대통령 후보 미국 월터리드 육군병원에서 죽음(25. 국민 장)
대구에서 반독재 학생데모 일어남
3월제5대 정·부통령 선거 실시. 대통령 이승 만, 부통령 이기붕 당선.
마산에서 부정선거 규탄 데모
11일, 피살된 김주열(金朱烈)의 시체인양 계기로 제 2마산 데모 발생
4월서울시내 2만여 학 생 총궐기, 4·19혁명 발발
이승만 대통령, 자유당 총 재직 사퇴. 이기붕(李起鵬) 국회의장, 모든 공직에서 사퇴 발표.(24일)
이승만, 대통령 하야 성명 발표
허정 과도내각 성립(5.1. 3·15선거 무효확인)
29일, 이승만, 하와이로 망명
제 2 공화국(1960~1961 )
1960년8월제2공화국 대통령에 윤보선(尹潽善) 선출.
14일, 북한 김일성, 남·북 연방제 제의.
1961년2월대일정책결의안(선국교·후경제 등) 채택
5월군사정변. 군사혁명위원회 발족(의장 장도영·부의장 박정희)
장면내각 총사퇴. 혁명위, 국가재건최고회의로 개편(18)
7월경제재건 5개년 계획 발표
8월박정희 최고의장 8·12성명(정권 이양시기˙국회 구성문제 등) 발표
12월 첫 학사자격 국가고시 실시.
1961년1월공용년호를 서력으로 변경
제1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성안
3월원자력연구소 원자로에 첫 점화
윤보선 대통령 사임
증권시장, 약 500억 환의 5월분 수도 결제 불이행(증권파동)
제2차 통화개혁(10대 1로 평가절하, ‘환’을 ‘원’으로 변경)
제 3 공화국(1963~1972 )
1963년1월민간인 정치활동 재개
2월박정희 최고회의 의장 2·18성명(민정 불참선언 및 정국수습 9개 방안 제시) 발표
10월서울 가정법원 개원
12월박정희 제5대 대통 령 취임, 제6대 국회 개원.
1964년8월한국기자 협회 발족
10월한·월남, 월남지원을 위한 국군 파견에 관한 협정 체결.
1965년1월국무회의, 비전투병력 2,000명 월남파병 의결.
3월단일변동환율제 실시
4월한·일협정 반대데모대, 효창공원서 시민궐기대회.
6월한·일 협정 조인, 국교 정상화
7월이승만 하와 이서 사망, 23일 유해 환국.
1966년2월과학기술연구소(KIST) 발족
3월국세청·수산청 발족
6월김기수, 세계주니어미들급 챔피언이 됨
7월한·미행정협정 조인(1967. 2. 9. 발효)
제2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공표
10월존슨 미국 대통령 한국 방문
19673월과학기술처 신설, 원자력원을 청으로 개 칭
6월제6대 대통령 선거(공화당 박정희 후보 당선, 7.1. 취임).
8월제1차 한·일각료회담 개최(도쿄).
1968년1월1·21사태, 북한 무장공비 31명 서울 침입
미 정보함 푸에블로호, 원 산 앞바다서 북한에 피랍
2월경전선 개통
4월향토예비군 창설
5월제1차 한· 미국방장관회의(워싱턴)
7월문교부, 중학입시제도 폐지 발표
9월제1회 한국무역박람회 개막.
10월문교부, 대학입시 예비고사제 실시 발표.
11월시·도민증 없애고 주민등록증으로 대체
서울시의 전차 철거
12월광화문 복원 준공
1969년3월국토통일원 개원
가정의례준칙 발표
김수환 대주교, 추기경에 서품
6월3선개헌반대 학생 데모 시작
7월경인고속도로 개통
9월3선개헌안·국민투표법안 국회서 변칙 통과
12월국제통화기금, 한국을 특별인출권(SDR)통과공여국 으로 지정.
1970년4월서울 와우시민아파트 도괴. 사망 33명
5월서울대교 개통
금산 인공위성지구국 우주통신 중계 개시
7월우편번호제 실시
경부고속도로 개통
10월국토종합개발 10개년계획 확 정
1971년2월제3차 경제개발5개년계획 발표
4월제7대 대통령선거 실시(박정희 후보 당선, 7. 3. 취임)
7월충남 공주에서 백제 무령왕릉(武寧王陵) 발굴
12월국가보안법 국회서 변칙 통과.
제 4 공화국 : 유신(1972~1979 )
1972년5월프랑스 파리에서 세계 최고의 고려금속활자로 인쇄된 《직지심경(直指心經)》 발견.
8월박정희 대통령, ‘경제안정과 성장에 관한 긴급명령’ 발표(기업사채 동결)
남북적십자사, 첫 본회담 평양에서 개막
10월계엄사, 포고 제1호로 대학휴교, 신문·통신 사전검열제 실시
11월유신헌법 확정
12월첫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 선거. 12월 23일, 통일주체국 민회의, 제8대 대통령에 박정희후보 선출(12. 27. 취임).
1973년2월비상국무회의, 국정감사 폐지법안 의결.
3월한국방송공사 발족
4월한국 여자탁구팀 세계 제패(유고 사라예 보)
5월어린이 대공원 개원.
8월김대중피랍사건 발생(일본 도쿄), 한일간 긴장 야기
1974년1월박정희 대통령, 긴급조치 1호(개헌논의 금지)·2호(비상군법회의 설치) 선포
8월광복절기념식장서 박정희 대통령 저격 미수사건 발생. 대통령부인 육영수 피격 서거
서울시지하철(서울역~청량리역 간) 개통.
11월유엔군사령부, 북한은 비무장지대에 땅굴을 파고 남방 1`km까지 콘크리트구조물을 구축했다고 발표.
포드 미국 대통령 내한, 한·미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975년2월유신헌법 찬반 국민투표 실시(찬성 73.11`%).
9월여의도에 새 국회의사당 준공
민방위대 발대식
10월영동·동해고속도로 개통.
1976년6월경제기획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계획 발표
8월양정모 몬트리올 올림픽 경기대회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에서 첫 금메달 획득
북한군 판문점 공동경비구역 내에 서 집단 도끼만행으로 미군 장교 2명 살해
10월전남 신안 앞바다에서 송·원대의 유물 대 량 인양.
1977년5월하비브 브라운 미국 대통령 특사, 박정희대통령과 회담, 철군문제 협의.
6월국내 최초로 고리원자력 1호 발전기 점화
7월부가가치세제 실시
1978년4월세종문화회관 개관
6월한국정신문화연구원 개원
제2기 통일주체국민회의 대의원집회에서 박정희후보 제9대 대통령 당선
11월한·미연합사 령부 발족
1979년6월카터 미국 대통령 내한. 1·2차 정상회담 후 공동성명 발표
10월국회, 김영삼의원 제명
마산·창원에 위수령 선포. 충남 삽교호방조제 준공. 박정희 대통령 김재규 정보부장에 의해 피격 사망(10·26사태).
대통령권한대행에 최규 하 국무총리 취임
제 5 공화국(1980~1988 )
1980년2월최규하 대통령, 각계 원로·중진 23명으로 국정자문회의 구성
5월정부, 전국에 비상계엄 확대
광주학생시민대규모 데모(5.18 광주항쟁)
계엄하의 대통령 자문보좌기관으로 국가보위비상대책위 신설(의장 최규하 대통령, 상 임위원장 전두환 중앙정보부장서리).
8월컬러 텔레비전 시판 개시
최규하 대통령 하야
전두환 국보위상임위원장, 제11대 대통령에 당선
9월대학교육개혁시안 발표 (학과별 최소 졸업정원제 채택).
11월신문협회·방송협회, 언론기관 통폐합 결정
1981년1월민주정의당 창당(총재 전두환)
정부, 비상계엄 전면 해제
4월국정자문회의 발족(의장 최규하)
5월공정거래위원회 발족.
9월제84차 IOC총회, 제24회 하계올림픽경기대회 서울 개최 의결.
1982년1월중고생 교복(83년부터)과 머리형 자율화하기로 결정
1983년1월공직자윤리법(고위공직자의 재산등록)발표.
6월KBS 이산가족찾기 생방송 시작. 1만 189명 혈육 상봉
10월미얀마 양곤의 아웅산묘소서 북한 공작원이 장치한 폭탄 폭발, 참배 준배 중이던 서석준 부총리 등 한국 고위관리 17명 순국.
11월미국 대통령 레이건 내한(12일 1차 한·미정상회담, 14일 공동성명 발표).
88서울올림픽경기대회 휘장·마스 코트 발표.
5월교황 바오로 2세 방한(6일 여의도에서 한국순교자 103위의 시성식 집 전).
1984년4월미국 대통령 레이건 한반도 안정위해 남북한과 미·중국의 4자회담 제의
홍콩서 실종된 영화배우 최은희, 감독 신상옥의 북한 납치사실 발표
5월서울대공원 개원
1985년6월김영삼·김대중 회동, 민주화요구 공동발표문 채택
8월고대 의대, 냉동정액을 이용한 수정으 로 임신된 아기가 국내에서 처음 탄생했다고 발표
9월서울과 평양에서 이산 40년만에 고향방문단 혈육 상봉
한국이 참여한 첫 해외개발유전인 인도네시아 마두라 유전서 생산 개시
11월한국, 남극자원보존협약 가입.
1986년3월납북된 최은희·신상옥, 오스트리아 빈에서 미국 대사관으로 탈출
재무부, 덤핑방지관세제 실시
8월새 국립중앙박물관, 구 중앙청청사를 개조해 개관
9월제10회 서울아시아경기대회 개막(∼10월 5일)
10월(주)삼성전자 문태원 연구원, 세계 최 초로 초소형 4mm VTR개발.
1987년1월서울대생 박종철군, 경찰고문으로 사망.
2월과학기술원 윤한식·손태항 박 사팀, 최강력고분자 알로이섬유 세계 최초로 개발
6월민정당, 노태우 대표위원을 대통령후보로 선출
12월중앙선관위 노태우 민정당후보 당선 공 포.
제 6 공화국(1988~1992 )
1988년1월대한상의, 공산권 경제단체와는 처음으로 헝가리 상공회의소 경제협력확대를 위 한 업무협조협정 체결
2월금호그룹에 제2민간항공인가
보사부, 국내 첫 AIDS환자 발생 발표
노태우 대통령 당선자, 제13대 대통령 취임
7월월북작가의 해방전 문학작품에 대한 출판허용조치 발표
9월서울장애자올림픽 개막(65개국 4,361명 참가)
11월전두환 전 대통령, 자신의 재임 중에 일어났던 비리를 시인·사과하고 재산 일체를 국가에 헌납하 기로 발표.
1989년2월헝거리와 국교 수립(공산권 국가로는 처음).
3월문익환 목사, 북경을 경유 평양에 도착, 김일성과 회담
8월동아건설, 세계 최대규모인 리비아 2차대수로공사를 수주(53억달러)
1990년1월노태우 대통령·김영삼 민주당 총재·김종필 공화당 총재, 청와대에서 3당 통합 을 선언.
2월외무부, 모스크바주재 영사 처 개설을 발표
5월교통부, 수도권 신공항입지를 영종도로 확정
6월국무회의, 새 민방(民放)의 방송법 개정안 의결
12월소련 방문(∼17일). 14일 양 국 정상이 모스크바 크렘린궁에서 회담 후 모스크바선언
국회, 지방자치 법·지방의회선거법·지방자치단체선거법 등 지자제관계 3개법안 통과.
1991년1월정부, 걸프전의 군의료진지원조사단 26명 사우디에 파병
한국의료지 원단 현지로 출발
3월시·군·구의회의원선거 실시
9월유엔총회, 남북한유엔가입안을 만장일치로 통과
12월새 민방 서울방송 (SBS) 개국.
1992년1월노태우 대통령과 부시 미국 대통령,정상회담에서 미국측의 대북한 직접협상을 배제하고 한반도핵문제는 당사자끼리 해결해야 하며, 북한은 조기에 핵안전협정에 서명하고 국제 사찰을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재확인
2월남북한, 두만강개발회담 실무접촉에서 나진·선봉지구개발에 공동보조하기로 합의
남북고위급회담(평양)에서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와 비핵화에 관한 공동선언 등 합의서 본문을 교환·발효
4월정부, 쌀을 제외한 모든 농산물을 개 방한다는 내용의 농산물협상이행계획서를 GATT에 제출
8월황영조 (黃永祚), 바로셀로나올림픽경기대회 마라톤 우승
12월 , 김영삼후보 당선
대한민국 (大韓民國) 2
문민정부(1993~1998 )
1993년2월북한, 핵확산금지조약(NPT)탈퇴 선언
4월정부, 소말리아 유엔평화유지활동(PKO)에 약 250명의 건설공병부대를 파견하 기로 유엔측에 공식통보
5월국회, 공직자윤리법 개정안 처리
8월경부고속철도 차종을 프랑스 알스톰사의 TGV로 확정
금융실 명거래 및 비밀보장에 관한 대통령긴급재정경제명령을 발표
대전 엑스포 개막
9월우리별 2호 발사 성공(프랑스령 기아나)
10월전교조(全敎組), 해직교사의 복직문제와 관련하여 쟁점이 되어 온전교조탈퇴 조건을 수용 복직
12월한국 및 미국, 쌀시장개방안 타결.
1994년1월서울지검, 장영자(張玲子)를 107억원을 편 취하고 37억원의 당좌수표 중 5억원을 부도낸 혐의로 재구속
4월김영삼 대통령과 이희창(李會昌) 국무총리,통일안보정책조정회의의 갈등으로 국무총리 사표 제출
7월평양방송, 김일성 사망(8일)을 보도
9월국제올림픽위원회(IOC),태권도 2000년 시드니 올림픽경기대회 정식종목으 로 승인
10월성수대교 붕괴
12월기획원-재무부, 건 설부-교통부를 통합하는 등 정부조직개편.
삼성 자동차 진출 허용
WTO비준 동의안 국회 통과
1995년1월부동산실명제 7월 1일부터 실시하기로 확정발표
3월케이블TV 27개채널 본방송 개시
5월북한에 조건없이 곡물을 제공할 용의가 있음을 밝히고남북 대표회담개최 제의
6월27 일, 지방선거 실시. 서울시장 조순(趙淳) 후보 당선, 여당 참패
쌀 15만톤 북한지원 합의
서울 삼풍백화점 2개동 중 북쪽건 물 붕괴
7월김대중 정계 복귀 선언
10월수출 1000억달러 돌파
11월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
5.18 특별법 제정 지시
12월전두환 전 대통령 구속
1996년4월한반도 4자회담 제안
5월2002 월드컵 일본과 공동 유치
8월 한총련 사태
9월북한 무장공비 침투사건
10월OECD(경제협력개발기구) 가입
11월조선총독부 건물 완전 철거
1997년1월 한보 철강 부도
2월황장엽 북한 노동당 비서 망명
5월김현철 구속
8월KAL기 괌 추락 사고
11월IMF구제금융 공식요청
12월IMF협상 타결 (구제금융 약 550억 달러 결정)
제 15대 대통령 선거 김대중(국민회의-현 민주당) 후보 당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