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이 암살되고 유신체제(1972년 10월 개헌으로 시작된 대통령의 권력 강화를 특징으로 하는 독재 체제, 자세한 것은 자료실의 우리나라 헌법 개정사를 참고 하세요)가 무너지고 12.12사건(전두환등의 신군부가 최규하 과도 정부를 유명무실하게 하고 정승화 계엄 사령관을 대통령 시해 사건의 용의자로 체포하면서 군부의 권력을 장악한 사건)을 계기로 권력의 핵심을 장악한 전두환 보안사령관 중심의 신군부 세력이 실세로 떠올랐습니다. 이들은 국민들이 요구하는 민주주의를 무시하고 자신들의 권력 기반 강화에 몰두하고 있었습니다. 학생을 중심으로한 수만명의 시민들은 1980년 5월 15일 서울역에서 계엄 철폐 등을 주장하며 이에 저항하였습니다. 당시 이들은 청와대로의 행진을 생각하기도 하였지만, 사태의 추이를 지켜보자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어 해산하고 말았습니다. 이에 신군부는 1980년 5월 17일 계엄령을 오히려 전국적으로 확대한다는 발표를 하고 학생 지도자들에 대한 체포, 휴교령 등의 민주 세력에 대한 대대적인 탄압에 들어갔습니다.
5월 18일 전남대생 200여명은 휴교령이 내려진 학교에 들어가려다 계엄군과 투석전을 벌였고 부상당한 학생들을 보고 합세한 시민들과 시위를 벌였으나 계엄군의 폭력 진압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하였습니다
5월 19일 시위대가 5,000여명으로 불어나자 계엄군은 장갑차를 앞세우고 착검한 총으로 시위대를 진압하였습니다.
5월 20일 20만명의 시민이 군경 저지선을 뚫고 시청건물을 장악하였으며, 계엄군에 의해 모든 시외 전화가 두절되어 광주는 고립되었고, 밤 11시경 계엄군은 시민에게 발포를 하기에 이르렀습니다.
5월 21일 계엄군의 발포로 수십여명이 사망하였으며, 이에 시민들은 스스로를 시민군이라 칭하며, 경찰서나 계엄군으로부터 탈취한 소총으로 무장을 시작하였습니다.
5월 22일 시민들은 계엄군을 몰아내고 도청을 차지 '5.18사태 수습 대책 위원회'를 결성하고 사태 수습에 들어갔으나, 계엄군의 협상 거부로 협상이 결렬되고 27일 계엄군의 총공세로 많은 희생자를 낸 광주 민주화 운동은 막을 내렸습니다
5.18의 의의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의 의의는 시민이 주체가 되는 반독재 민주화 운동이라는 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70년대 김지하 등으로 대표되는 지식인 중심의 저항이 소시민적 특성으로 비판 받아왔던 것에 비하면 5월 광주 민주화 운동은 전 계층이 참여한 민주화 운동이라는 점에서(실제 광주 민주화 운동에서는 초기 대학생에서 운동의 중심이 노동자 농민등 민중 계층으로 옮겨 갔던 것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그 의의가 있습니다.
또한 광주 민주화 운동은 이 후 민주화 운동의 역사적 준거가 되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5.17쿠데타-계엄령 확대-의 주역인 전두환, 노태우 두 전직 대통령은 실형을 이 후 반란 등의 혐의로 실형을 선고 받았으나, 이 후 김영삼, 김대중 정부에게서 사면, 복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