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um
  • |
  • 카페
  • |
  • 테이블
  • |
  • 메일
  • |
  • 카페앱 설치
 
카페정보
카페 프로필 이미지
THIS IS TOTAL WAR
카페 가입하기
 
 
 
카페 게시글
[푸른 장미] 역사 시리즈 중일전쟁사 "반자이 돌격"과 일본육군의 보병교리의 문제점에 대해
푸른 장미 추천 2 조회 1,305 13.10.20 01:10 댓글 9
게시글 본문내용
 
다음검색
댓글
  • 13.10.20 07:18

    첫댓글 정말로 우리나라 군대 같은 경우에도 비슷한 문제가 많죠.

  • 13.11.05 18:26

    일본황군의 후예가 현대한국군이라서.자위대도 안하는 짓을 하는 현대한국군.한국인들은 뭐랄까,일본황군이 미군 무시했던거와 비슷한 심리로 자위대 무시하는 경향이 있어요

  • 13.10.20 14:04

    헐 더 심햇군욬ㅋㅋ
    그냥 단면만 보여주는 식이라 생각햇었는데 ㄷㄷ

  • 13.10.20 15:55

    좋은 글 감사합니다. 한국전과 베트남전에서 이런 전술사고의 경직성에 대한 사례를 소개 부탁드려도 될까요?

  • 작성자 13.10.20 22:15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 13.10.21 12:23

    적의 포로가 되는 것을 수치스러워 하는 풍조와 죽음의 미학 문화가 자살의 수단으로 반자이돌격으로 나타난 것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요. 태평양전쟁중에 실제로도 반자이 돌격을 안해도 집단으로 독약을 나누어 먹거나, 할복 자살한 케이스가 여럿 있었습니다.
    그리고 반자이 돌격이 행해진 시기를 보면 대다수가 이미 절대적으로 불리한 상황에서 시도된 경우가 많습니다.
    즉 다른나라 군대같으면 항복을 고려해야 할 시기에 일본군은 집단 자살의 방법으로 반자이 돌격을 고려한다고 해야 할까요.

  • 13.10.21 13:13

    좋은 글입니다 !!

  • 13.10.21 17:37

    좋은글 감사합니다. 거기에 더해 중세이후 유럽에서 유행한 돌격병신드롬(?) 도 한가지 이유가 아닐까요? 당시 문학작품들 보면 전쟁에 출전해 전사하는걸 미화하는 풍조가 있었지요. 기억은 가물합니다만 명예롭게 장렬히 전사하러 참전한다는 지원병들을 문학작품들에서 본 기억이 있습니다. 요즘 영화들에서는 잘 안나옵니다만 고전영화들에서는 명예롭게 생환한 참전군인이 "죽을 기회를 얻지 못했다" 라는 대사로 파티에서 여자들을유혹하는 장면도 더러 나오기도 했지요. 참고하자면 돌격병신드롬은 지금도 남아있는데 해병대가 대표적 예라고 할 수 있습니다.

  • 14.01.03 00:07

    문제는 착검반자이~가 특수한 경우에 사용된 게 아니라, 쪽국군의 주력전술이였다는 게 문제죠. ㅋ

최신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