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베소서 4장 31~32절
어떻게 상한(부정적인) 마음을 극복할 수 있을까요? 상한 마음을 치유하는 이론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그리스도인들의 기본 원리는 하나님의 말씀에 있습니다. 오늘 본문은 구원받은 성도의 생활에 대한 말씀으로 상한 마음 극복에 대한 말씀으로 우리에게 상한 마음을 버리고 거기에 건강한 마음으로 채우라는 말씀을 해주고 있습니다.
먼저, ‘버리는 것’입니다(31절). 우리가 버려야 할 것들을 살펴보면, ‘악독’이란 좋은 것은 보지 않고 나쁜 것만 보고 어떤 결점이나 흠집만 끄집어내려는 독기가 있는 상태입니다. ‘노함’은 일시적인 분노를 가리키고, ‘분냄’은 일시적인 분노가 오랫동안 마음에 자리 잡아 두고두고 품고 있는 것입니다. ‘떠드는 것’은 감정을 통제하지 못한 상태로 분노를 밖으로 표출하는 것이고, ‘비방’은 고의적으로 나쁘게 말하는 것입니다. 마지막 ‘악의’는 앞에서 말한 모든 것들을 뜻합니다. 이런 것들을 버려야 합니다. 여기서 ‘버리다’는 헬라어 단어로 ‘아르데토(αρθητω)’인데, 쓰레기를 치우듯 깨끗하고 과감하게 쓸어버리라는 뜻입니다. 그런데 성경은 소극적으로 버리는 것을 넘어 더욱 적극적으로 친절과 불쌍히 여김과 용서와 같은 은혜롭고 경건한 선한 마음으로 채우라고 말씀하십니다(32절).
사실 인생은 버리고 채우는 것의 연속입니다. 신앙생활도 상한 마음도 마찬가지입니다. 버리는 것과 채우는 것은 순차적인 것이 아니라 어두운 곳에 불을 밝히면 어둠이 자연히 사라지는 것처럼 동시적인 것입니다. 경건하고 거룩한 것으로 채워지면 세속적이고 악한 것들이 사라지게 됩니다. 우리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온전하여지는 것입니다. 이것은 말씀이 육신이 되어 우리 가운데 거하시는(요1:14) 예수님이 말씀으로 충만해져서 예수님 안에, 예수님과 함께, 예수님 처럼의 통치가 우리 삶 속에 이루어지는 것입니다. |
첫댓글 1. 관 찰 오늘 말씀에서 남겨지거나 새롭게 다가온 단어나 표현은 무엇인가요?
31 너희는 모든 악독과 노함과 분냄과 떠드는 것과 비방하는 것을 모든 악의 함께 버리고 32 서로 친절하게 하며 불쌍히 여기며 서로 용서하기를 하나님이 그리스도 안에서 너희를 용서하심과 같이 하라
2. 해 석 왜 그리스도 같이 친절, 불쌍히 여김, 용서를 실천해야 할까요?
공동체 전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부정적인 생각이나 감정, 혹은 태도를 버리고, 생각, 긍정적인 좋은 감정, 아름다운 신앙적인 태도를 채워야 합니다.
3. 적 용 어떻게 상한 마음을 극복하고, 말씀과 같이 실천하며 살 수 있을지 나눠봅시다.
말씀으로 충만한 삶, 말씀으로 가득한 삶, 말씀으로 넘치는 삶, 말씀의 지배를 받는 삶, 그 안에 있는 기쁨이, 사랑이, 은혜가, 부요함이 우리 안에 샘 솟듯 솟아나게 됩니다. 그래서 가난해도 실패해도 고난중에도 부정적인 상한 마음이 사라지고, 은혜롭고 경건한 마음, 건강하고 좋은 마음이 가득 채워지게 됩니다.
찬송가 357 장 ( 주 믿는 사람 일어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