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故) 김대중(DJ) 전 대통령의 3남 김홍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이 더불어민주당 일반경쟁분야 비례대표 후보 21명에 포함됐다. 김홍걸 상임의장의 순번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나, 그의 위상과 상징성을 고려한다면 상위 순번에 배치할 가능성이 높다.
《월간조선》은 지난해와 올해, 총 세 차례에 걸쳐 ‘미국 내 DJ 비자금 의혹’을 기사화했다. 본지는 비자금 의혹의 중심에 김홍걸 상임의장이 있음을 방증하는 여러 정황 증거와 물증을 확인했다.
그 중 핵심은 김홍걸 의장 측으로부터 나온 것으로 의심되는 1억 달러 수표 사본의 존재다. 1억 달러 수표가 발행된 배경은 이러하다(이하 존칭 생략).
<2008년 DJ 일가와 친분이 깊은 전성식(전 포틀랜드주립대 교수)은 시애틀 거주 한국인 사업가 테리 스즈키(Terry Suzuki)에게 중국 선양(瀋陽)에 월드트레이드센터(WTC)를 건립하기 위한 자금 1억 달러를 ‘김홍걸로부터 조달받기로 했다’며 WTC 사업 참여를 권유했다. ‘김홍걸이 앞장서 사업에 나설 수 없으니 대신 실무를 맡아달라’는 취지였다. WTC 사업이 성사됐을 때, 거기서 발생하는 수익의 일부를 김진경이 운영하는 평양과기대에 기부하는 조건도 달려 있었다.
사업이 가시화되던 중 김진경은 DJ 일가로부터 나오는 자금의 성격에 의문을 가졌다. 비자금이기 때문에 훗날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결국 김진경의 반대로 이 사업은 좌초됐다는 게 스즈키의 주장이다. 선양 WTC 사업이 불발되자 스즈키는 사업 추진에 쓴 수백만 달러를 손해 봤다며, 내용증명을 작성해 김홍걸과 전성식에게 각각 발송했다. 스즈키는 금전적 손실 등에 불만을 품고, 문제의 사업과 1억 달러의 출처 등을 국정원에 제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 기사]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A&nNewsNumb=202003100013)
사업이 가시화되던 중 김진경은 DJ 일가로부터 나오는 자금의 성격에 의문을 가졌다. 비자금이기 때문에 훗날 문제가 될 수 있다는 이유였다. 결국 김진경의 반대로 이 사업은 좌초됐다는 게 스즈키의 주장이다. 선양 WTC 사업이 불발되자 스즈키는 사업 추진에 쓴 수백만 달러를 손해 봤다며, 내용증명을 작성해 김홍걸과 전성식에게 각각 발송했다. 스즈키는 금전적 손실 등에 불만을 품고, 문제의 사업과 1억 달러의 출처 등을 국정원에 제보한 것으로 추정된다.> [관련 기사] 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A&nNewsNumb=202003100013)
1억 달러 수표는 2009년 12월 21일 US Bank가 발행한 것이다. 12월 24일 김홍걸·전성식·스즈키 등이 함께한 자리에서 김홍걸씨는 참석자들에게 문제의 수표를 보여줬다고 한다. 며칠 후 전성식은 스즈키에게 팩스로 수표 사본을 보내줬다고 한다.
이명박 정부 시절, 국정원은 이러한 내용이 담긴 첩보를 제보 받았다. 제보자는 김홍걸씨와 WTC 사업에 함께 참여했던 스즈키였다. 스즈키의 제보를 받은 국정원은 ‘DJ 비자금으로 추정되는 돈이 북한(평양과기대)으로 유입된다면 국가 안보 상 예사로운 일이 아니다’라는 판단 하에 공작을 벌였다. 그 과정에서 문제의 1억 달러 수표 사본을 입수한 것이다.
본지가 확인한 1억 달러 수표는 편지봉투 크기의 가로로 긴 모양이다. 1억 달러 수표 사본뿐 아니라 관련자들의 증언, WTC 사업을 뒷받침하는 각종 자료도 상당히 구체적이고 신빙성 또한 높다.
《월간조선》은 'DJ 비자금' 의혹을 보도하기에 앞서, 김홍걸 상임의장의 입장을 물었었다. 그때마다 김 의장 측은 ‘답변하지 않겠다’ ‘사실이 아니다’라는 식으로 일관해왔다.
김홍걸 상임의장이 민의(民意)를 대변하는 국회의원이 되려면 이 의혹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다. 그렇지 않으면 훗날 큰 정치 문제로 비화할 소지가 있다.
김홍걸 의장이 참고해야 할 사례가 있다. 바로 선친(先親)의 케이스다. DJ 정권은 2000년 남북정상회담을 성사시키기 위해 국정원과 현대그룹을 앞세워 북한에 4억5000만 달러를 송금한 사실이 있다. DJ 정권은 처음에 이를 감췄다가 2002년 《월간조선》의 끈질긴 추적 끝에 사실로 드러나 곤욕을 치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