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의 본질을 향한 탐구
: 철학의 주요 학파
삶의 본질을 향한 탐구: 철학의 주요 학파
©Shutterstock
우리의 사고와 행동 방식의 정의는
세계 역사상 유명한 철학자들에 의해 확립되고
여러 유명 학파에 크게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나? 철학은 지식, 현실, 그리고 존재의
근본적 본성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는 행동의 지침 원칙으로 작용하는 고대의 학문으로
가장 중요한 철학적 전통지 고대 그리스에서 시작되었지만,
이후 동서양을 막론하여 다양한 형태들로 발전해 왔다.
철학의 의미와 그 지혜를 담은 학파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한 개씩 파헤쳐보자.
플라톤주의: Platonism
©NL Beeld
세계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고 가장 널리 읽히고 연구된
철학자들 중 한 명인 플라톤 (c. 427–348 BCE)은
고대 철학의 중심 인물들 중 첫 번째 인물로 여겨진다.
플라톤주의
©Getty Images
플라톤은 나중에 플라톤주의로 알려지게 될 교리들을
가르쳤던 아테네의 플라톤 아카데미의 설립자였다.
이 교리들은 현실의 본질을 확인했고,
이상적인 실체들은 아름다움, 정의, 평등, 그리고 악이었다.
플라톤은 이 형태들을 영원하고 변하지 않는 현실이라고 불렀다.
아리스토텔레스주의: Aristotelianism
©Public Domain
아리스토텔레스 (384–322 BCE)는
플라톤의 학생이었고 또한 세계 역사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철학자들 중 한 명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플라톤과 마찬가지로, 그는 아테네에
훌륭한 학문의 중심지인 리세움을 설립했다.
아리스토텔레스주의
©Getty Images
아리스토텔레스주의는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으로,
본질적으로 자연과학, 경제학, 정치학, 심리학과 같은
영역에서 형식 논리학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스토아 학파: Stoicism
©Getty Images
키프로스 남쪽 해안에 있는 고대 그리스 도시 왕국의
이름을 딴 시티움의 제노(기원전 334년–기원전 262년)는
아테네에서 가르친 스토아 학파의 창시자였다.
스토아학파
©Getty Images
금욕주의는 자기 수완, 인내, 지혜의 추구를
중심으로 하는 개인 윤리의 철학이다.
금욕주의는 불평하거나 감정을 드러내지 않는 것이다.
에피쿠로스주의: Epicureanism
©Getty Images
고대 그리스 철학자 에피쿠로스(341–270 BCE)는
아테네에 에피쿠로스 학파를 세웠다.
에피쿠로스주의
©Getty Images
에피쿠레아니즘은 음악, 문학, 그리고 예술과 같이
우리의 정신을 가장 고양시키는 모든 활동뿐만 아니라
우정을 기르는 미덕을 칭송하는 매우 영향력 있는 철학 학파이다.
현대적 의미에서 에피쿠레아는 감각적인 즐거움,
특히 훌륭한 음식과 음료 (식도락)등을 의미하게 되었다.
도가사상: Taoism
©Getty Images
노자(老子, 기원전 571년 ~ 기원전 517년)는
중국의 철학자로 도가사상의 창시자이다.
도가사상
©Getty Images
도가는 우주와 조화를 이루는 방법을 알려주는 철학이다.
종교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실제로 도교 사상은 훗날
불교와 융합되어 선(禪)의 탄생을 의미한다.
합리주의: Rationalism
©Getty Images
프랑스 철학자이자 과학자인 르네 데카르트 (1596–1650)는
일반적으로 현대 서양 철학의 창시자로 여겨진다.
그는 또한 합리주의를 주장했던 주요 사상가들 중 한 명이다.
합리주의
©NL Beeld
합리주의는 모든 지식이 인간에게 귀속되어 있다는 철학이다.
즉, 이성은 느낌, 관습, 권위가 아니라 선악, 옳고 그름을
판단함에 있어 궁극적인 지식의 근원으로 본다.
공리주의: Utilitarianism
©Public Domain
영국의 철학자이자 정치적 급진주의자인
제레미 벤담(Jeremy Bentham, 1748–1832)은
현대 공리주의 전통의 기초 시대와
가장 관련이 있는 사람이다.
공리주의
©Getty Images
공리주의는 행동과 선택의 결과에 초점을 맞추어
옳고 그름이 가장 잘 결정된다고 주장하는 윤리철학이다.
실증주의: Positivism
©Getty Images
오귀스트 콩트 (1798–1857)는 프랑스의 철학자, 수학자이자 작가였다.
그는 지식이 추구되고 검증되는 방법에 결정적인 변화를 일으켰던
철학적이고 정치적인 운동인 실증주의의 창시자로 알려져 있다.
실증주의
©NL Beeld
실증주의는 합리적으로 정당한 모든 주장이
과학적으로 검증될 수 있거나 논리적 또는
수학적 증명이 가능하다고 주장하는 철학이다.
과학자들과 기술관료들이 선호하는
현대 철학으로 알려져있다.
실존주의: Existentialism
©Getty Images
실존주의는 대중 사회에 대한 비판으로 잘 알려져 있다.
최초의 실존주의 철학자로 널리 알려진 사람은 덴마크의
신학자 쇠렌 키에르케고르(Søren Kierkegaard, 1813–1855)이다.
실존주의
©Getty Images
실존주의는 인간 본성에 대한 철학으로,
우리가 각자의 삶에서 목적이나 의미를
창조할 책임이 있음을 원칙으로 주장한다.
세속주의: Secularism
©Getty Images
조지 홀리오크 (1817–1906)는 세속주의라는
용어를 만든 영국의 세속주의자였다.
세속주의는 삶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측면으로부터 종교의 분리를 의미한다.
세속주의
©NL Beeld
철학으로서 세속주의 또는 세속적 인간주의는
포괄적이고 비종교적인 삶의 태도로 정의될 수 있으며,
종교적 세계관에 대한 대안이라고 할 수 있다.
마르크스주의: Marxism
©Getty Images
독일 태생의 철학자이자 정치 이론가인
카를 마르크스(1818-1883)는 프리드리히 엥겔스와 함께
1848년 팸플릿 '공산당 선언'을 공동 집필한 것으로 특히 유명하다.
마르크스주의
©Getty Images
마르크스주의는 사회경제적 분석의 정치철학이자 방법으로서
마르크스와 엥겔스에 의해 발전된 교리의 한 부분이다.
넓게 봤을 때 이 사상은 지배 계급이 노동 계급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 사회에서 부와 특권이 불균등하게 분배되는 방식을 분석한다.
실용주의: Pragmatism
©Getty Images
찰스 샌더스 피어스(Charles Sanders Peirce, 1839–1914)는 종종
"실용주의의 아버지"로 묘사되는 미국의 과학자, 수학자, 철학자이다
실용주의
©Getty Images
철학으로서 실용주의는 실질적인 접근과 해결책에 초점을
맞추어 문제나 상황에 대처하는 방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니힐리즘: Nihilism
©Getty Images
니힐리즘과 관련된 역사적 인물들 중에는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니체 (1844–1900)가 있다.
러시아 소설가 이반 투르게네프 (1818–1883)는
그의 1862년 소설 '아버지와 아들'에서 니힐리즘를 언급했다.
그러나 그 용어를 처음 만든 사람은 또 다른
독일 철학자 프리드리히 자코비 (1743–1819)였다.
니힐리즘
©NL Beeld
니힐리즘은 또한 허무주의라고 알려져있다.
사람, 사물, 그리고 삶에 사회가 부여하는
가치와 평가를 거부하는 철학이다.
허무주의자는 세상의 어떤 것도 실재하는 것이
없다고 보고, 그 대신 모든 것이 무(無)의미하다고 주장한다.
교토 학파: Kyoto School
©Public Domain
니시다 기타로(1870–1945)는 일본의 도덕 철학자로,
도쿄 대학을 졸업한 후 교토 학파 철학을 창시했다.
교토 학파
©Shutterstock
이 학파는 선, 신도, 서양 철학과의 교류를 통해 동아시아
철학 전통에 독특한 종교적 및 도덕적 통찰을 재구성했다
부조리주의: Absurdism
©Getty Images
프랑스의 철학자이자 작가인 알베르 카뮈(1913–1960)는
부조리주의로 알려진 철학의 발전에 가장 큰 기여를 한 사람이다.
부조리주의
©Getty Images
부조리주의는 우주가 비합리적이고 무의미하다는
믿음에 기반한 철학이다.
따라서 우주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인간의 노력은
궁극적으로 실패할 것이며,
이는 매우 부조리하다고 보는 것에 초점을 둔다.
객관주의: Objectivism
©Getty Images
객관주의는 러시아계 미국인 작가이자 철학자인
에인 랜드(Ayn Rand, 1905-1982)에 의해
명명되고 발전되었다.
객관주의
©Getty Images
랜드 철학의 핵심 원리는 이성을 지식의 절대적 원천으로
내세우는 합리적 개인주의를 중심으로 전개된다.
예를 들어, 모든 사람은 태어나고 죽는다.
그들이 어떻게 사느냐는 주관적일 수 있지만,
그들의 존재는 객관적 사실이다.
출처:
(Big Think) (ThoughtCo)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National Secular Society) (Grant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