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도 모르게 하고있는 자기 파괴적 행동들은?
나도 모르게 하고있는 자기 파괴적 행동들은?
©Shutterstock
'자기 파괴적 행동'이라는 말은 이 단어가 그대로 내포하고 있듯이,
자신에게 해가 되거나 해가 될 수 있는 행동을 하는 행동을 의미한다.
자기 파괴적 행동은 자해와 같은 뜻이라고 생각하기도 하지만,
이는 정확하지 않다. '자기 파괴적 행동' 일부는 단순한 습관이
중독에 가깝게 지속 되거나, 고의적, 자기 방임 또는
충동적인 행동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이 자기 파괴적 행동은
몸과 마음의 건강에 치명적인 것은 분명하다.
사람들 대부분은 어떤 식으로든 이러한
'자기 파괴적 행동'을 경험해 보았을 것이다.
당신이 가장 일반적인 형태 중 일부를 경험하고 있는지
알고 싶다면, 한번 다음으로 들어가 보자.
계획이 빠진 무성한 목표들
©Shutterstock
계획을 세울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주지 않으면서,
자신을 위해 세운 많은 목표를
성공적으로 달성하기를 기대한다.
타인에 대한 강한 의존도
©Shutterstock
주변 사람들의 지원이 있어야만 행동을 실천한다.
예를 들어, 다른 사람들이 헬스장에 함께 갈 때에만
운동을 할 수 있다.
결과만 본다.
©Shutterstock
흑백논리(완전한 성공 또는 실패)로 사물을 본다.
점진적인 단계를 거치며 느껴야 할 만한
만족감을 박탈당할 수 있다.
너무 바쁜 일상
©Shutterstock
항상 너무 바빠서 시간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정리할 수 있는 시간조차 내기 힘들다.
작은 즐거움 보다는 쾌락을
©Shutterstock
일상에서 느낄 수 있는 소소하고 작은
즐거움을 무시하거나 거부한다.
이는 결국 쾌락적인 활동을 과도하게
즐기게 되는 위험을 초래 한다.
자기 방임
©Shutterstock
같은 맥락에서, 휴식이 필요할 때 그 필요함을 무시한다.
스스로의 필요를 인식하기 보다는, 휴식이 필요할 때,
친구를 만나거나 또는 혼자만의 시간이 필요할 때,
그것을 알아채지 못하거나 심지어 무시할 가능성이 있다.
나의 필요를 무시한다.
©Shutterstock
예를 들면 음악을 너무 좋아 하는데, 커피는 매일 사마시지만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구독이 아까워 구독하지 않는다.
이렇게 나를 위한 즐거움을 작은 것으로 치부해 버리는 것
또한 자기 방임적 행동이 될 수 있다.
남들이 비웃지 않을 일만 한다.
©Shutterstock
일반적이고 보편화 된 일들만 맡아 한다.
어떤 일을 해서 비웃음을 받을 가능성이 있거나,
남들이 특이하게 생각 할 수 있는 것 이라면,
그 일을 좋아하더라도 하지 않을 것이다.
엉뚱한 곳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다.
©Shutterstock
굳이 그러지 않아도 되는 일에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다.
예를 들어, 일주일에 한 번만 장을 보아도 되지만,
매일 또는 이틀에 한 번씩 장을 보러간다.
건강은 뒷전
©Shutterstock
건강이 스스로에게 가장 중요하다는 걸
알면서도 이를 우선시하지 않는다.
불행하기를 선택한다.
©Shutterstock
행복하거나 비참하거나,
이 둘이 있다면
비참하기로 선택한다.
최대한 미룬다.
©Shutterstock
해야 할 일을 계속 미룬다.
"완벽하지 안으면 안 한 것만도 못한다"와 같은
사고 유형이 일을 계속 미루는 행동을 초래하기도 한다.
만약 집 전체를 청소할 수 없다면,
아예 아무것도 청소하지 않기로하는 것과 같다.
일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Shutterstock
곤경에 처했을 때 당장은 이상적인 해결책은 없을지 모르지만,
당신은 아마도 한 가지 해결책을 선택하기보다는 오랫동안
상황을 분석하고 연구하여 더 복잡하게 만든다.
해로운 익숙함
©Shutterstock
심리적 안정감을 주는 것에 같혀있다.
예를 들면, 야근을 하는게 너무 익숙해져서
오히려 야근을 했을때 안정감을 느낀다.
걱정은 되지만,
해결하려 행동하지 않는다.
©Shutterstock
어떤 문제에 대해서 많은 시간 할애하여
걱정은 하지만, 정작 해결하려는 해결책을 찾지 않는다.
부정적인 것에 집중된 인간관계
©Shutterstock
관계가 좋지 않을 때는 좀 더 긍정적인 관계를 만드는 대신,
부정적인 관계를 고치는 데 지나치게 집중하게 된다.
타인의 문제에 지나치게 집중한다.
©Shutterstock
스스로가 통제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는 대신,
다른 사람들과 그들의 행동에 대해 불평하는 데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소비한다.
실패한 방법들을 구태여 반복한다.
©Shutterstock
특정 상황이나 전략이 효과가 없다는 것을
알면서도 이 방법을 반복적으로 한다.
현실을 보지 못한다.
©Shutterstock
종종 머리 속에서 상상의 기대를 만들어내고,
나중에는 실망감만 남는다.
현실적인 것이 아닌 나의 기대치에 맞추어 행동하려 한다.
사람들의 조언에는 귀를 닫는다.
©Shutterstock
더 나은 조건이나 사람이 되기 위해 유용할 수 있는
적절한 지적이 이루어졌을 때, 당신은 듣지 않는다.
감정을 조절하려 노력하지 않는다
.©Shutterstock
아픈 곳이 찔렸을 때
감정을 추스리지 못하고
심한 막말을 쏟아 낸다.
문제를 만든다.
©Shutterstock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심각한 것이 없는데도,
머릿속으로 스트레스받을 만한 것을 되뇌고 있다.
우선순위
©Shutterstock
(집의 먼지를 털어내는 것과 같은) 위생적이고
쾌적한 환경을 만드는 등의 일은 중요시 안 하고
심각하고 큰일 이라 치부되는 일만 우선순위를 둔다.
점점 좁아지는 시야
©Shutterstock
큰 그림을 보는 법을 잊어버리고, 작은 그림에만 집중하게 되어
결국엔 인생에서 진정으로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 잊어버린다
극한에 달았을 때 조처를 한다.
©Shutterstock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해 손을 쓰기에는 너무
스트레스를 받아 그 어떤 조치도 취하려 하지 않는다.
결국엔 불안과 걱정이 위험 수준에 도달했을
때가 되어서 도움을 찾는다.
미래 설계
©Shutterstock
인생에서의 먼 미래를 생각하고 있지 않으며,
미래를 계획하고 있지도 않다.
예를 들어, 돈을 투자하거나 저축하지 않는다.
'위험회피'를 위한 과소비
©Shutterstock
위험회피로 인해 많은 것에 대해
과도한 비용을 지불한다.
실패 확률이 1% 적다고 해서 특정
브랜드를 90% 더 비싸게 구매한다.
마치며...
©Shutterstock
모든 사람은 자신을 변화시키고 스스로를
파탄에 모는 것을 멈출 수 있는 힘을 가지고 있다.
개인적으로 저지르고 있는 실수나 타인과 어떻게
잘못 상호작용하고 있는지를 아는 것은 보통
자기 파괴적 성향을 극복하기 위한 첫 단계이다.
출처:
(Positive Psychology Program)
(Nick Wigna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