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림유사 고려방언연구(鷄林類事 高麗方言硏究)
ㅅ 으로 시작되는 말
*셋(세 ㅎ): 三曰酒尸아래 斯 乃切 셋은 주시?라 한다.(尸 속에 斯. 옥편에 없는글자에 乃切)
*스물: 二十曰戌沒 스물은 술몰 이라 한다.
*서른: 三十曰實漢 서른은 실한 이라 한다.(셜흔-月)
*쉰: 五十曰舜 쉰은 순 이라 한다.
*소나무 松曰鮓子南. 소나무는 자자남 이라 한다.(잣나무?)
*샘: 泉曰泉 샘은 泉 이라한다.
*숫: 雄曰 骨+鳥(없는 글자)試 숫은?시라 하다. (아무래도 잘못 안 듯)
*소: 牛曰燒 소는 소 라한다.
*사슴: 鹿曰鹿 사슴은 鹿이라 한다.
*손: 手曰孫 손은 손이라 한다.
*사내아이: 男兒曰了姐.亦曰同婆記. 사내아이는 요저(了는 丫의 오자로 아저) 또는 동파기? .
*사람: 人曰人 사람은 人 이라 한다.
*손님: 客曰孫命 손님은 손명 이라 한다.
*선비: 士曰 進士 선비는 진사 라 한다.
*손자:孫曰了寸了姐 손자는 요촌요저라 한다.(了는 丫의 오기, 아촌아저)
*살찌다:肥曰骨鹽眞, 亦曰骨易成 살찌다는 염골진, 또는 골역성이라 한다.(骨鹽眞은 鹽骨眞으로 鹽과 骨이 바뀐 것 같음. 염골지다. 영글>다)
*손씻어: 洗手曰遜時蛇 손씻어는 손시사 라 한다.(손씻어)
*손님께 술 권하기: 勸客飮盡食曰打馬此 손님께 술권하기는 타마차(다마셔 ㅎㅎ)라 한다.
*술취하다: 醉曰蘇孛速 술 취하다는 소발속이라 한다. (여기서 速은 追의 오자로 본다면 수발추> 술빨리 취가 될 수도 있다.)
*술 잘못 마셔:不善飮曰本道安理麻蛇. 술 잘못 마셔는 본도안리마사 라 한다.(본디 아니마셔)
*소금(소곰 鹽-字會): 鹽曰蘇甘 소금은 소감 이라 한다.
*시아비: 舅曰漢了秘 시아비는 한아비라 한다 (了는 丫의 오자)
*시어미: 姑曰漢了彌 시어미는 한아미 > 할머니라 한다(了는 丫의 오자)
*쇠: 鐵曰歲. 쇠는 세 라 한다.
*실: 絲曰絲 실은 絲 라한다.
*삼: 麻曰三 삼은 삼 이라 한다.
*사내: 男子曰沙喃 사내는 사남 이라 한다.
*수놓다: 繡曰繡 수는 繡 라한다.
*탁자: 卓子曰食床. 탁자는 식상 이라 한다.
*숲:林曰林 숲은 林 이라한다.
*술 주인이 병 따 한다. 酒主曰甁砣. 술주인은 병타 한다. ㅎ ㅎ
*술잔: 盞盤曰臺盤. 술잔은 대반? 이라 한다.
*솥: 鬲(막을격, 솥력)曰宰. 솥은 宰 라 한다. ((鼎솓뎡- 字會, 재상宰, 그릇중의으뜸으로 본 모양)
*숫: 炭曰蘇成. 숫은 소성이라 한다. (여기서 成을 戌의 오기로 보면 소술이 되어 재 속에 솟은 것이 된다)
*섭(땔감): 柴曰孛南木 섭은 발남목 이라 한다 (불나무)
*신선(神仙): 仙人曰選 신선은 仙 이라 한다.
*신(神): 神曰神通 신은 신통이라 한다.
*삿갓: 笠曰蓋音渴 삿갓은 개음갈(갇)이라 한다.(갇 笠- 字會)
*수래: 車曰車 수레는 車 라한다.
*손님이 집에 있다: 有客曰孫集移室. 손님이집에 있다 를 손집이실 이라 한다.(室은 뜻를 딴 모양)
*서리: 霜露皆曰率 서리와 이슬은 모두 솔 이라 한다.
*삶(生. 날. 字會) 生曰生. 삶은 生 이라한다.
*술: 酒왈 酉?+禾 孛. 술은 수발?이라 한다. (酉+禾는 없는글자 이므로 酬의 오자 같으며 여기 에서는 ㅅ을 취하고 孛에서는 ㄹ을 취한 반절음
*서다: 立曰立. 서다는 立 이라 한다.
ㅇ 으로 시작되는 말
*여섯: 六曰逸戌 여섯은 일술이라 한다. (어슷六 - 字會)
*일곱: 七曰一急 일곱은 일급 이라 한다.
*여덟: 八曰逸荅 여덟은 일답 이라 한다.(여듧-月, 여-類合)
*아홉: 九曰鴉好 아홉은 아호라 한다.(아흡-月)
*열: 十曰噎 열은 역이라 한다. 噎은 목메일 역 으로도 발음되기 때문 에 열과 유사
*예순: 六十曰逸舜 예순은 일순 이라 한다.(여- 月)
*일흔: 七十曰逸短 일흔은 일단 이라 한다.(닐흔- 龍)
*여든 八十曰逸墩 여든은 일돈 이라 한다.
*아흔: 九十曰鴉順 아흔은 아순 이라 한다.(아- 月)
*저믈다: 暮曰占捺 저믈다는 점날 이라 한다.(저믄날)
*오늘: 今日曰烏捺 오늘은 오날 이라 한다.
*아침: 旦曰阿參 아침은 아참이라 한다. (침-석六)
*위: 上曰頂 위는 정 이라 한다. (頂上)
*아래: 下曰底 아래는 저 라 한다.
*아전: 吏曰主事 아전은 주사 라 한다.
*아비: 父曰子了秘 아비는 자요비라 한다.(了는丫의 오기로보고 子의 아비. 子는 없어도 좋은글자)
*아들: 父呼其子曰 了加, 아버지가 그 아들을 아가라 한다.(了는 丫의 오기)
*어미 母曰了祕 어미는 요비라 한다. 여기서 了는 丫로 보고 비(祕)는 아자미(叔母)가 丫子彌 인
것으로 보아 역시 미(彌)로 보아 암> 아미> 어미 으로 본다.
*큰 아버지: 伯叔亦皆曰了査秘 .큰아비는 요사비라 한다 (了)를 丫의 오자로 보고 아사비> 아자비가 된다.
*큰어머니: 叔伯母皆曰 了子彌 큰어미는 요자미라 한다. 여기서 了를 丫로 봐야 아자미가 된다.
*아내: 悽亦曰漢吟 아내는 한음 이라 한다.(女子曰漢吟 겨집은 한음 이라 한다.와 같다)
*아래: 下曰簾箔 아래는 염박(대발)이라한다.(아래것들을 대할 때 대발을 쳐 놓고 그 아래에서 대하는 모습을 본 모양ㅎ ㅎ)
*우산: 率曰聚笠 우산은 취립이라 한다. (아마草笠을 인용한 것 같다)
*양치질:齒刷曰養支 양치질은 양지 라 한다.
*이불: 被曰泥不 이불은 니불 이라한다.
*예쁜얼굴: 面美曰 㮈翅朝勳. 예쁜 얼굴은 내시조훈 이라 한다. (낮이 좋은, 치맛거를- 용40, )
*추한얼굴: 面醜曰 㮈翅沒朝勳 추한 얼굴은 나치몰조훈 이라 한다.( 낮이 못 좋은ㅎㅎ)
*이별: 相別曰羅戲少時. 이별은 라희소시라 한다.(離別은 여힐씨라.석八. 羅는 女의오기로 보아 녀희소서. ) 行을 자회에서는 년다 라 하기 때문에 년타> 년다로 본다)
*오다: 來曰烏囉. 오다는 오라 라한다.
*읽다: 讀曰乞補. 글읽다는 걸보 라 한다. (독서가는 글보?ㅎㅎ)
*안장:鞍曰末鞍.안장은 말안 이라 한다.(鞍-안장안. 末鞍은 말 안장이 되지만 한자뜻)
*일어나다: 興曰你之. 일어나다를 니지 라 한다.(起-늴긔. 字會 니러나다.)
*앉다: 坐曰阿則家囉. 앉다를 아즉가라 라 한다.(안니.龍, 안자거라)
*웃음: 笑曰胡臨. 웃음은 호림 이라 한다.(기생등이 사내를 홀릴때 웃기 때문에 홀림으로 본다.)
*울다(곡하다): 哭曰胡住.울다는 호주? 라 한다. (胡는 턱밑살 호자 이므로 胡住는 턱을 내리고 우는 동작의 뜻인 듯 하다)
*오세요: 客至曰孫烏囉. 손님 오시는 것을 손오라 라한다.
*올라주세요: 客入曰屋裏坐少時. 손님이 방에 올라오시라는 것을 옥리좌소시 라한다.
*애썻다: 努問曰雅蓋. 수고했다를 아개? 라한다.(아가 애썼다에서 아이의 호칭?)
*있다. 存曰薩囉 있다늘 살라 라한다.(살아 있다를 말하는 모양)
*올무, 옭히다: 擊考曰屋打理. 올무, 옭히다를 옥타리 라한다.
*염소(양): 羊曰羊 양은 羊이라 한다.
*입: 口曰邑 입은 읍 이라 한다.
*이빨: 齒曰你 이빨은 니 라 한다.
*있다: 有曰移實. 있다를 이실 이라한다.(이실미니- 圓序)
*없다: 無曰不鳥實. 없다는 불조실 이라한다.(不은 아니다의 뜻을 취하고 鳥는 烏의 오기로 본다면 不있을이 되어 없다의 뜻과 근접하게 된다)
*우뢰: 雷曰天動 우뢰는 天動이라 한다.
*안개:霧曰蒙 안개는 몽이라 한다(蒙昧하다는 뜻을 취한 모양)
*우뢰: 電曰閃 번개는 閃 이라 한다. (섬광(閃光)의 뜻을 취한 모양)
*은 銀曰漢歲 은은 한세라 한다(한세> 힌쇠)
*의자: 倚子왈 馳馬. 의자는 치마 라 한다(의자를 여자 치마 인줄 아는 모양.ㅎㅎ)
*얕다: 淺曰眼低. 얕은 것은 眼低 라한다. (眼底는 눈아래 낮은 사람)
*암: 雌曰 暗 암컷은 暗이라 한다.
ㅈ 으로 시작되는 말
*장사: 商曰行身 장사는 행신이라 한다.(행상?,장사는 장사밫치,工은 공쟁이 바치 農은 농사바치)
*쥐 鼠曰觜. 쥐는 취 라한다(觜-1.별이름 자, 2.바다 거북 주, 3.부리 취)
*주인: 主曰主 주인은 主人 이라 한다.
*저믈다: 暮曰占捺.或言古沒 저믈다는 점날, 혹 고몰이라 한다.
*장: 醬曰密祖 장은 밀조 라 한다. (며주醬- 字會)
*자주: 紫曰質背. 자주는 질배 라 한다.(딛紫-字會, 양주동은 향가 獻花歌에서 紫布를 딛배로 보았다.)
*저울: 秤曰雌字. 저울은 자자 라 한다.(字를 孛자의 오기로 보면 자발> 저울과 비슷해 진다.)
*자: 尺曰作. 자는 작 이라한다.
*잠자다: 寢曰作之. 잠자다를 작지 라 한다.(부부간 “이제 그만 자지”. 등을 듣고 쓴 말인 듯 ㅎㅎ)
*접시: 楪曰楪至. 접시는 접지 라 한다.(楪뎝시뎝-字회)
자리 : 席曰簦音登. 자리는 등음으로 등 이라 한다 (돗席-字會)
*자리권하다:席薦曰質薦 자리 권하다를 질천 이라 한다.(지즑.지적薦)
*종이: 紙曰垂 종이는垂 라 한다(죠-解例用字, 垂- 드릴수 글쓸때 종이를 드리다 에서 착각한 모양 ㅎ ㅎ)
*죄의 판결: 決罪曰滅 (知아래衣 없는 글자) 底. 멸?저? (멸거저? ,망가져?)
*죽음: 死曰死. 죽음은 死 라한다.(死.주글사. 字會)
*죽음 亡曰朱幾. 죽다를 주기 라한다.(죽이다)
*늙은:老曰刀斤. 늙다를 도근 이라한다.(늘근션 龍,刀자를 累자의 오기로 보면 누근> 늙은)
*젊다: 少曰亞退. 젊다를 아퇴 라 한다.(退를 寸의 오자로 보면 아촌(아아,작은아들- 內一,
아촌아바(叔父-華方)
*중: 僧曰福田 중은 福田이라 한다.(불교를 숭상한 고려때는 중을 福田 이라고도 말한 모양)
*죽; 粥曰謨做. 죽은 모주?라 한다. (술 거르기전 모주?)
* 적다: 小曰胡根. 적다는 호근 이라 한다. (효근이피= 小葉-杜初, 소근대다.= 작게 말하다.
ㅊ 으로 시작되는 말
*치마: 裙曰裙 치마는 군 이라 한다.(치마裙, 한자 뜻 인용)
*채찍: 鞭曰鞭. 채찍을 鞭(편)이라 한다.(뜻 인용)
*차: 茶曰茶 차는 다 라한다.
*찬물: 冷水曰時根沒 찬물은 시근몰 이라 한다(식은물)
*초: 醋曰生根 초는 생근?이라 한다. (초는 술이 쉰 것)
*칠: 漆曰黃漆 칠은 황칠 이라 한다. ( 황칠나무로 황색을 칠하는 것을 본 모양)
ㅋ 으로 시작되는 말
*칼(긴칼): 劍曰長刀. 긴 칼은 장도 라 한다.
* 크다: 大曰黑根. 크다를 흑근 이라한다.(훅근 달았다는 크게 달았다는 뜻이니 훅근이란 말을 듣고 흑근이라 한 것 같다)
ㅌ 으로 시작되는 말
*털: 毛曰毛 털은 毛라 한다.
*탕: 湯曰湯水 탕은 湯水라 한다.
ㅍ 으로 시작되는 말
*풀: 草曰戌 풀은 술 이라 한다. (숲)
*푸른것: 靑曰靑 프른 것은 靑 이라 한다.
ㅎ 으로 시작되는 말
*흙: 土曰轄希 흙은 할희 라 한다. (-月)
*하나(나): 一曰河屯 하둔. 하에서는 ㅎ을 취하고 둔에서는 ㄴ을 취한 반절음)
*황새: 鷺曰漢賽 황새는 한새라 한다. (한새-字會), 지금 황새는 한새에서 나온 말이다)
*학: 鶴曰鶴 학은 鶴이라 한다.
*할아비: 祖曰 漢了秘, 할아비는 한요비라 한다. (한아비, 了는 丫의 오기로 본다.
*형: 兄曰長官 . 혈른 장관이라 한다. (아마 제사지내는 제관중 형이 먼저 잔을 올리는 것을 본 모양이다.)
*형수: 嫂曰長漢吟. 형수는 장한음 이라 한다. (女子曰漢吟 겨집은 한음 이라 한다. 悽亦曰漢吟 아내는 한음 이라 한다. 와 같이 여자를 한음?으로 안 모양)
*힌쌀: 白米曰漢菩薩 힌 쌀은 한보살 이라 한다.(힌 쌀이 귀하니 보살이라 한 모양)
*힌색 白曰漢 힌 것은 한 이라 한다.
*활: 弓曰活 활은 활 이라한다.
*화살: 箭曰薩 亦曰矢 화살은 살 또는 矢 라 한다.
*활쏘다:射曰活索 활쏘다를 활색 이라 한다.
*하늘(하):天曰漢捺. 하은 한날이라 한다. (석 六- 여슷하래...(원물 글자는 木+奈, 捺의 오자인 듯))
*해: 日曰姮 해는 항이라 한다. (, 해는 하+접미사 l 로 볼때 항에 반절 이라는 말이 있어야 한다.
*벌판: 羅曰速 벌은 속이라 한다.? (벌은 빨리 달릴수 있다는 뜻을 쓴 것 같다)
*핫옷(솜옷, 평상복등): 袍曰袍 핫옷은 抱 라한다.
*허리띠: 帶曰腰帶. 亦曰謁子帶 허리띠는 요대, 또는 알자대?라 한다
숫자
*하나(나): 一曰河屯 하둔. 하에서는 ㅎ을 취하고 둔에서는 ㄴ을 취한 반절음인 모양이다.
*둘: 二曰途孛 도발, 도에서는 ㄷ을 취하고 발 에서는 ㄹ을 취한 반절
*셋(세 ㅎ): 三曰酒尸아래 斯 乃切 셋은 주시?라 한다.(尸 속에 斯. 옥편에 없는글자에 乃切)
*넷: 四曰 遒 넷은 주라 한다. (네 ㅎ)
*다섯: 五曰打戌 다선은 타술 이라 한다.(다)
*여섯: 六曰逸戌 여섯은 일술 이라 한다.(어슷- 字會)
*일곱: 七曰一急 일곱은 일급 이라 한다.
*여덟: 八曰逸荅 여덟은 일답 이라 한다. (여듧-月, 여-類合)
*아홉: 九曰鴉好 아홉은 아호라 한다.(아흡-月)
*열: 十曰噎 열은 역 이라 한다. 噎은 목마를 역 으로도 발음되기 때문에 열과 비슷 하기도 하고 또 뜻이 목메다, 꽉차다 등으로 보아 뜻을 차용한 것 같기고 하다.
*스물: 二十曰戌沒 스물은 술몰 이라 한다.
*서른: 三十曰實漢 서른은 실한 이라 한다.(셜흔-月)
*마흔: 四十曰麻兩 마흔은 마양 이라 한다.(마- 月)
*쉰: 五十曰舜 쉰은 순이라 한다.
*예순: 六十曰逸舜 예순은 일순 이라 한다.(여- 月)
*일흔: 七十曰逸短 일흔은 일단 이라 한다.(닐흔- 龍)
*여든 八十曰逸墩 여든은 일돈 이라 한다.
*아흔: 九十曰鴉順 아흔은 아순 이라 한다.(아- 月)
*백: 百曰醞 백은 온 이라 한다.(온-龍)
*천: 千曰千 천은 천이라 한다.(즈믄- 字會)
*一 十 百 千 萬 十萬 百萬 億 兆 京 垓 枾 穰 澗 正 載 極 恒河沙 阿僧祗 無量數 不可思議
*년 춘하추동 年春夏秋冬同 년이나 춘하추동은 같다.
*동서남북: 東西南北同 동서남북은 같다.
이상 계림유사 중에서 간추린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