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자 '니체'는 미쳐서 죽었습니다.
그 의 말년 모습은 강렬한 충격으로 다가옵나다.
1889년 겨울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휴가를 보내던 중 '니체 '는 집을 나선다.
우체국으로 편지를 부치러 가다 광장에서 매를 맞는 늙은 말을 발견합니다.
무거운 짐마차를 끌고 가던 말은 미끄러운 빙판 길에서 그만 발이 얼어 붙고 맙니다.
겁 먹은 말은 馬夫가 아무리 채찍을 휘둘러도 움직이지 않고, 馬夫는 화가 나서 더욱 세차게 채찍질을 한다.
그 광경을 본 '니체'는 갑자기 마차를 뛰어 들어 말의 목에 팔을 감고 흐느낍니다.
이웃이 그를 집으로 데려갔고, 그는 침대에서 이틀 꼬박 누워 있다가 몇마디말을 응얼거립니다.
"어머니, 저는 바보였어요."
그 후로 11년 동안 정신 나간 상태로 침대에 누워 죽음을 맞는다.
'니체'가 늙은 말을 부둥켜안은 것은 존재에 대한 연민 때문이었을 것이다.
짐마차를 끌고 가는 말과 삶의 등짐을 지고 가는 자신을 같은 처지로 여기고 감정 이입을 했는지도 모른다.
무거운 짐을 벗어 던지지도 못한 체 체찍을 맞아야하는 삶이라면 얼마나 고달푼가 그것이 가족의 채찍이든 말이다.
'니체'가 눈물샘이 터져 울부짓는 것이 바로 그 지점이다.
1960년 방한 한 미국 소설가 '펄벅'은 '니체'와는 전혀 다른 경험을 한다.
그녀는 늦가을에 군용 짚차를 개조한 차를 타고 경주를 향해 달렸다.
노랗게 물든 들판에선 농부들이 추수하느라 바쁜 일손을 놀리고 있었다.
차가 경주 안강 부근을 지날 무렵, 볏가리를 가득 실은 소달구지가 보였다.
그 옆에는 지개에 볏짐을 짊어진 농부가 소와 함께 걸어 가고 있었다.
그녀는 차에서 내려 신기한 장면을 카메라에 담았다.
'펄벅'이 길을 안내하는 통역에게 물었다.
"아니, 저 농부는 왜 힘들게 볏단을 지고갑니까?
달구지에 싣고 가면 되잖아요."
"소가 너무 힘들까 봐 농부가 짐을 나누어 지는 것입니다."
'펄벅'은 그 때의 감동을 글로 옮겼다.
"이제 한국의 나머지 다른 것은 더 보지 않아도 알겠다."
볏가리 짐을 지고 가는 저 농부의 마음이 바로 한국인의 마음이자, 오늘 인류가 되찾아야 할 인간의
원초적인 마음이다.
내조국, 내고향, 미국의 농부라면 저렇게 힘들게 짐을 나누어지지 않고, 온가족이 달구지 위에 올라 타고
채찍질하면서 노래를 부르며 갔을 것이다.
그런데 한국의 농부는 짐승과도 짐을 나누어지고 한 식구처럼 살아 가지 않는가.
동물이든, 사람이든 모든 생명체는 자기 삶의 무게를 지고 간다.
험난한 생을 견뎌내는 그 일만으로도 충분히 위로 받을 자격이 있다.
하물며 같은 종의 인간끼리라면 더 말할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그런마당에 SNS에는 오늘도 비수 같은 말들이 홍수를 이룬다.
우리 모두는 늙은 말에 채찍질 하는 馬夫이기 보다 등짐을 나누어지는 인정의 샘물이 넘쳐나는 農夫였으면 합니다.
-퍼온 글-
첫댓글 펄벅의 유명한 메세지는 지구인들의 몇 %가 가슴에 담고 있을까요.
'함께 행복'한다면 지구가 바로 천국인 것을.
'함께'란 가정(家庭)도 포함되겠지요.^^
나를 바라 볼 수 있는 아침을 열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시길 기원합니다.
좋은 글 감동적입니다. '등짐을 나누어지는 인정의 샘물이 넘쳐 나는 農夫보다 늙은 말에 채찍질 하는 馬夫'가 더 똑똑한 사람으로
여러가지 이익을 보면서 살아가는 사회가 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